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서울의 문화사적과 사라진 명소

제목 그대로 서울의 문화사적 조사 모음입니다. 하나하나 순서대로 나열하면서 해설되어있는 전문자료입니다. 자세한 부분은 목차와 본문내용 참고하세요. (목차는 너무많은 관계로 일부 생략하였습니다.)
2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8.02.02 최종저작일 2008.01
21P 미리보기
서울의 문화사적과 사라진 명소
  • 미리보기

    소개

    제목 그대로 서울의 문화사적 조사 모음입니다.
    하나하나 순서대로 나열하면서 해설되어있는 전문자료입니다.
    자세한 부분은 목차와 본문내용 참고하세요.
    (목차는 너무많은 관계로 일부 생략하였습니다.)

    목차

    1. 문화사적
    ○ 서울 숭례문(崇禮門, 남대문, 국보 제1호)
    ○ 서울 흥인지문(興仁之門, 동대문, 보물 제1호)
    ○ 서울성곽 (사적 제10호)
    ○ 광주 풍납리토성(廣州 風納里土城, 사적 제11호)
    ○ 독립문(獨立門, 사적 제32호)
    ○ 삼전도비(三田渡碑, 사적 제101호)
    ○ 경복궁(景福宮, 사적 제117호)
    ○ 창덕궁(昌德宮, 사적 제122호)
    ○ 창경궁(昌慶宮, 사적 제123호)
    ○ 덕수궁(德壽宮, 사적 제124호)
    ○ 경희궁(慶熙宮, 사적 제271호)
    ○ 종묘(宗廟, 사적 제125호)
    ○ 전관교(전관교:살곶이다리, 사적 제160호)
    ○ 서울 사직단(社稷壇, 사적 제121호)
    ○ 우정총국(郵征總局, 사적 제213호)
    ○ 구 대한의원(大韓醫院) 본관(사적 제278호)
    ○ 약현성당(藥峴聖堂, 사적 제252호)
    ○ 구 러시아공사관(사적 제253호)
    ○ 구 벨기에영사관(사적 제254호)
    ○ 정동교회(貞洞敎會, 사적 제256호)
    ○ 운현궁(雲峴宮, 사적 제257호)
    ○ 명동성당(明洞聖堂, 사적 제258호)
    ○ 환구단( 丘壇, 사적 제157호)
    ○ 한국은행 본관(사적 제280호)
    ○ 서울역사(驛舍, 사적 제284호)
    ○ 석촌동 백제초기적석총(石村洞 百濟初期積石塚, 사적 제243호)
    ○ 암사동 선사주거지(岩寺洞 先史住居址, 사적 제267호)
    ○ 방이동 백제고분군(방이동 백제고분군, 사적 제270호)
    ○ 몽촌토성(夢村土城, 사적 제297호)
    ○ 장충단비(奬忠壇碑, 서울특별시 지정유형문화재 제1호)
    ○ 봉황각(鳳凰閣, 서울특별시 지정유형문화재 제2호)

    생 략

    본문내용

    1. 문화사적
    ○ 서울 숭례문(崇禮門, 남대문, 국보 제1호)
    중구 남대문로 4가 29번지에 있다.
    서울 숭례문은 한양 도성의 정문으로 남대문은 그의 속칭이다. 태조5년(1396)에 창건되었던 것이지만 현존 건물은 세종30년(1448)에 다시 지은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1961~1963년에 있었던 해체 수리에 의한 조사에서 성종 10년(1479)에도 비교적 대규모의 보수공사가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건평 53.79평, 정면 5간(間), 측면 2간의 남대문은 현존하는 한국성문 건물로서는 가장 규모가 큰 것으로 우리나라 건축사상 가장 중요한 건물의 하나라 할 수 있다.

    ○ 서울 흥인지문(興仁之門, 동대문, 보물 제1호)
    종로구 종로 6가 69번지에 있다.
    한양 도서의 정동(正東)에 위치하는 흥인지문(興仁之門)은 속칭 동대문으로 불리운다. 이 문루는 태조 5년(1396)에 중수(重修)되었으나, 현존건물은 고종 6년(1869)에 개축된 것이다.
    화강암의 무사석(武砂石)으로 중앙부에 홍예문(虹門)을 만들고 그 위에 중층(重層)의 문루를 세운 점 등은 서울 숭례문과 같은 수법이며 문밖으로 반월형의 옹성(甕城)을 돌린 것은 고종 6년에 개축한 것이다. 그리고 옹성 상부에는 여장(女墻)을 쌓았으며 여장에는 총안(銃眼)을 두고 있다. 조선후기 다포계(多包系) 건물의 전형적인 양식을 갖추고 있다.

    ○ 서울성곽 (사적 제10호)
    서울은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한지 3년(1394)만에 조선의 수도가 되었다. 태조는 그 이듬해 궁궐과 종묘·사직을 먼저 조성한 뒤에 도성축조도감을 열어 성 쌓기에 착수하였다.
    평생을 전쟁터에서 보내다시피 했던 태조로서는 성곽이 수도방위에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성이라는 것은 국가의 울타리요, 강포한 것을 방어하고 민생을 보호하기 위하여 없을 수 없는 것이다"라고 태조는 강조한 바 있다.
    성안과 성밖을 구별하여 쌓은 한성의 성벽은 돌이나 흙으로 북악산등을 타고 낙산·동대문·남산을 거쳐서 인왕산 산등성이를 둘리는 총연장 18,1km로 쌓아졌다. 당시 서울의 총 인구가 5만명에 미치지 못하였는데, 성을 쌓기 위해 전국 각지에서 동원한 장정들의 수효는 4년간에 걸쳐 19만 7천여명에 이르렀다.
    이 성에는 4대문을 두었는데, 동쪽에 흥인지문, 서쪽에 돈의문, 남쪽에 숭례문, 북쪽에 숙청문을 두었다. 그리고 4소문으로는 동북에 동소문, 동남에 광희문, 서북에 창의문, 서남에 소의문을 두었다. 조선왕조 건설의 주역이었던 정도전(鄭道傳)에 의해 기본설계가 마련된 서울의 성벽은 둘레가 40리 남짓 되고, 그 후 세종 4년(1422)과 성종 10년(1479) 등 여러번에 걸쳐 중수가 있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이 관여하게 되면서 성문과 성벽을 하나 하나 허물어 버렸다.
    현재 대문 가운데 남아있는 것은 남대문과 동대문, 숙청문(1976년 복원)이며, 소문으로는 창의문과 광희문(1975년 복원), 동소문(1994년 복원)이며, 성벽으로는 삼청동, 성북동, 장충동·남산·인왕산 일대이다.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