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기본자료
· ․ 이광수, ‘무정’, 소담출판사, 1995.
· 2. 국내논저
· ․ 조연현, “한국 근대 비평문학개요”, ‘예술원보 제 7호’, 예술원 1961.
· ․ 김복순, “근대 문학 비평의 여명기”, ‘한국 현대 문학사’, 현대문학, 1989.
· ․ 이동하, ‘이광수 - 무정의 빛, 친일의 어둠’, 동아일보사, 1992.
· ․ 전광용, ‘이광수 연구서설’, 동양학, 동양학연구서, 1974.
·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3권, 지식산업사, 1994.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5권, 지식산업사, 1994.
· ․ 윤홍로, ‘이광수’, “한국문학작가론4-근대의 작가”, 집문당, 2000.
· ․ 김윤식, ‘개정증보 이광수와 그의 시대’, 솔 출판사, 1999.
· ․ “신생활론”, (매일신보 : 1918.9.6-1019), ‘전집’, 17권.
· ․ “동경잡신”, (매일신보 : 1916), ‘전집’, 17권.
· ․ 이선영(편), ‘문학비평의 방법과 실제’, 동천사, 1983.
· ․ 김치수(편), ‘구조주의화 문학비평’, 홍성사, 1983.
· ․ 안병직외, ‘변격시대의 한국사’, 동평사, 1980.
· ․ 김병철, ‘한국문단사’, 일지사, 1978.
· ․ 이재선, ‘한국현대소설사’, 홍익사, 1977.
· ․ 소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인문사, 1974.
· ․ 강만길, ‘한국근대사’, 창작과 비평, 1984.․ 서정자 ․ 박영혜, ‘근대여성의 문학활동’, “한국근대여성연구”, 한국여성연구총서 제2집, 아세아여성문제연구소, 숙명여자대학교, 1987.
· ․ 방지수, ‘무정에 나타난 근대성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 최주한, ‘이광수 소설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 ․ 이주은, ‘한국 근대소설의 애정관 연구’,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 강옥희, ‘이광수 무정의 인물 중심 연구’, 대불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 조현성, ‘이광수의 근대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 ․ 조희정, ‘이광수 소설연수’, 숭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4.
· ․ 주온, ‘이광수의 무정 연구’, 대불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 정재봉, ‘무정의 여성중심적 시각 연구’, “연민학지” 11집, 연민학회, 2004.
· ․ 양송이, ‘이광수의 무정에 나타난 유학생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