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史料
· 엔닌 지음, 김문경 역,『입당구법순례행기』, 중심, 2001.
· 『신당서』213권 이정기전.
· 『책부원귀』권107 제왕부 조회문.
· 『삼국사기』(김문경 편, 『7~10세기 한․중․일 교역관계 자료 역주』, 해상왕 장보고 기념 사업회, 2003)
· 『대당육전』(김문경 편, 『7~10세기 한․중․일 교역관계 자료 역주』, 해상왕 장보고 기념 사업회, 2003)
· 『당률소의』(김문경 편, 『7~10세기 한․중․일 교역관계 자료 역주』, 해상왕 장보고 기념 사업회, 2003)
· (2) 硏究書
· 누노메 조오후 공저, 임대희 옮김, 『세미나 수당 오대사』, 서경문화사, 2005.
· 누노메 조오후 공저, 임대희 옮김, 『중국의 역사 : 수당오대』, 혜안, 2001.
· 윤혜영, 신성곤 공저, 『한국인을 위한 중국사』, 서해문집, 2004.
· 김문경 저, 『당대의 사회와 종교』, 숭실대학교 출판부, 1984.
· 해상왕 장보고 연구회 편, 『장보고관련연구논문선집-한국편』, 해상왕 장보고 기념 사업회, 2002.
· 해상왕 장보고 연구회 편, 『장보고관련연구논문선집-중국편, 일본편』, 해상왕 장보고 기념 사업회, 2002.
· 해상왕 장보고 연구회, 『대외 문물 교류 연구 1』, 해상왕 장보고 기념 사업회, 2002.
· 해상왕 장보고 연구회, 『대외 문물 교류 연구 2』, 해상왕 장보고 기념 사업회, 2003.
· 조성을 역주, 『중국 중세사회로의 여행-라이샤워가 풀어 쓴 엔닌의 일기』, 한울, 1991.
· 김문경,『당 고구려 유민과 신라교민』, 일신사, 1986.
· 한정섭,『장보고와 법화원』, 불교 통신 교육원, 1999.
· 김문경,「적산 법화원의 불교의식」, 사학지 제 1집, 1967.
· (3) 硏究論文
· 김문경,「적산 법화원의 불교의식」, 『사학지 제 1집』, 1967.
· 김문경,「재당 신라인의 취락과 그 구조」, 신구문화사, 1969.
· 김문경,「당대 번진의 한 연구 - 고구려 유민 이정기 일가를 중심으로」, 『성곡논총 6』, 성곡학술 문화재단, 1975.
· 권덕영,「재당 신라인의 종합적 고찰 - 9세기를 중심으로」, 해상왕 장보고 기념 사업회, 2003.
· 정명준,「이사도 번진의 멸망에서 장보고의 등장으로」, 해상왕 장보고 기념 사업회, 2003.
· 조범환,「장보고와 적산 법화원 - 적산법화원과 9세기 동아시아 세계」, 해상왕 장보고 기념 사업회, 2002.
· 최근영,「9세기 신라의 대당 진출에 대한 일고」, 해상왕 장보고 기념 사업회, 2002.
· 권덕영,「신라 하대 서․남해 해적과 장보고의 해상활동」, 해상왕 장보고 기념 사업회, 2002
· 김택민,「재당 신라인의 활동과 공험(과소)」, 해상왕 장보고 기념 사업회, 2002.
· 박근칠, 「당 후기 강회운하와 신라인의 활동」, 『한성사학』19집, 2003.
· 권덕영, 「신라 견당사의 나당간 왕복행로에 대한 고찰」, 『장보고관계연구논문선집-한국편』, 해상왕 장보고 기념사업회,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