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매스의 에너지 변환과 산업화에 관한 연구
- 최초 등록일
- 2007.10.20
- 최종 저작일
- 2007.01
- 4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바이오매스의 종류와 에너지 변화기술, 산업화에 대한 논문입니다.
목차
초록
1. 서론
2. 바이오매스와 종류
2-1. 바이오매스의 정의
2-2. 바이오매스의 종류
2-2-1. 농경폐기물
2-2-2. 삼림폐기물
2-2-3. 도시의 고형 산업폐기물
2-2-4. 에너지 농작물
3. 바이오매스의 에너지 변환기술
3-1. 생화학적 방법
3-1-1. 메탄발효
3-1-2. 알코올발효
3-1-3. 광생물학적 수소생산
3-2. 열화학적 방법
3-2-1. 가스화
3-2-2. 합성가스로부터 연료유 제조
3-2-3. 액화법
3-2-4. 직접이용법
4. 바이오매스 산업의 특성
5. 바이오매스 산업의 장단점
6.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및 동향
7.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바이오매스는 모든 식물과 기본적으로 광합성에 의해 획득된 모든 에너지를 함유하는 식물이 근원인 재료를 말한다. 재생에너지의 종류인 바이오매스는 나무, 풀, 농작물, 다른 생물학적 재료 등과 같은 유기물 재료로, 햇빛을 화학적 에너지의 형태로 저장한다. 식물이 햇빛으로부터의 복사에너지를 포도당 또는 설탕의 형태인 화학적 에너지로 변환한다. 이러한 변환과정을 화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6H2O + 6CO2 + 복사에너지 → C6H12O6 + 6O2
연소가 일어나면, 화학적 에너지는 열로 방출된다. 벽난로에서 연소되는 나무들은 바이오매스 연료이며, 바이오매스는 수천 년 동안 주택과 건물의 난방용으로 사용하는 주요 근원이다. 사실 바이오매스는 개발도상국의 대부분에서 주요한 에너지의 원천으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 나무, 식물, 농경 또는 임산물 찌꺼기, 도시와 산업용 쓰레기의 생물학적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바이오매스의 형태들이 있으며, 현재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오늘날 많은 바이오에너지원은 바이오에너지 공급재료라 불리는 빨리 성장하는 나무와 풀과 같은 에너지 작물의 경작으로 보충된다.
바이오에너지라고도 불리는 바이오매스는 전기생산, 열, 화학제품, 또는 차량용에 고체연료로 사용되거나, 액체 또는 기체형태로 변환되어 이용되며, 온실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다른 재생에너지와는 달리 수송용에 사용하기 위하여 직접 액체로 변환될 수 있는 바이오매스를 바이오연료라고 하며, 에탄올과 바이오디젤의 2가지로 분류된다. 알코올인 에탄올은 맥주 양조과정과 유사하게 옥수수 같은 탄수화물을 고도로 발효시켜 생산된다. 에탄올은 차량의 일산화탄소와 스모그를 유발하는 배기가스를 감소하기 위하여 보통 연료첨가제로 사용된다. 에스테르인 바이오디젤은 식용유, 동물의 지방, 해조류, 재생된 요리용 수지 등을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또, 차량의 배기가스를 감소하는 디젤첨가제로 사용되거나 순수하게 차량연료로 사용될 수 있다. 바이오매스는 미국에서 재생에너지 생산량 중 수력 다음으로 많이 사용하며, 주요에너지 생산량의 약 3%를 점유한다. 현재 설치된 용량이 7,000MK 이상인 바이오매스는 매해 370억kWh의 전기를 생산하며, 이러한 전기량은 연간 콜로라도주 전체가 사용하는 양보다 더 많다. 따라서
참고 자료
[1] 고대식 외 4인. [목재 당화액을 이용한 Alcohol 생산에 관한 연구]. 임산에 너지. 제 1권 제 1호. 서울: 한국임산에너지학회. 1981.
[2] 김래현. [바이오매스의 에너지 변환과 산업화]. 서울: 아진출판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