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고소설 10편 작자 시대배경 줄거리 연구성과 감상 비평

고소설 10편 작자 시대배경 줄거리 연구성과 감상 비평내용입니다.
2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7.10.07 최종저작일 2006.04
24P 미리보기
고소설 10편 작자 시대배경 줄거리 연구성과 감상 비평
  • 미리보기

    소개

    고소설 10편 작자 시대배경 줄거리 연구성과 감상 비평내용입니다.

    목차

    1. 홍길동전
    1.1 작가와 시대적 배경 1.2 줄거리
    1.3 연구 성과 요약
    1.4 감상 및 비평
    2. 토끼전
    2.1 작가와 시대적 배경
    2.2 줄거리
    2.3 연구 성과 요약
    2.4 감상 및 비평
    3. 장끼전
    3.1 작가와 시대적 배경
    3.2 줄거리
    3.3 연구 성과 요약
    3.4 감상 및 비평
    4. 박씨전
    4.1 작가와 시대적 배경
    4.2 줄거리
    4.3 연구 성과 요약
    4.2 감상 및 비평
    5. 구운몽
    5.1 작가와 시대적 배경
    5.2 줄거리
    5.3 연구 성과 요약
    5.4 감상 및 비평
    6.1 작가와 시대적 배경
    6.2 줄거리
    6.3 연구 성과 요약
    6.4 감상 및 비평
    7. 국선생전
    7.1 작가와 시대적 배경
    7.2 줄거리
    7.3 연구 성과 요약
    7.4 감상 및 비평
    8. 장화홍련전
    8.1 작가와 시대적 배경
    8.2 줄거리
    8.3 연구 성과 요약
    8.4 감상 및 비평
    9. 김인향전
    9.1 작가와 시대적 배경
    9.2 줄거리
    9.3 연구 성과 요약
    9.4 감상 및 비평
    10. 심청전
    10.1 작가와 시대적 배경
    10.2 줄거리
    10.3 연구 성과 요약
    10.4 감상 및 비평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홍길동전
    1.1 작가와 시대적 배경
    작가 허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단보(端甫), 호는 교산(蛟山)·성소(惺所)·백월거사(白月居士)이다. 1589년(선조 22) 생원이 되고, 1594년 정시문과에 급제, 검열(檢閱)·세자시강원 설서(世子侍講院說書)를 지냈다. 1597년 문과중시에 장원급제, 이듬해 황해도도사가 되었다가 서울 기생을 끌어들였다는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 뒤에 춘추관기주관(春秋館記注官)·형조정랑(刑曹正郞)을 지내고 1602년 사예(司藝)·사복시정(司僕寺正)을 거쳐 전적(典籍)·수안군수(遂安郡守)를 역임하였다. 1606년 원접사(遠接使)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명나라 사신 주지번(朱之蕃)을 영접하여 명문장으로 명성을 떨쳤다. 1610년(광해군 2) 진주부사(陳奏副使)로 명나라에 가서 한국 최초의 천주교 신도가 되었고, 천주교 12단(端)을 얻어왔다. 같은 해 시관(試官)이 되었으나 친척을 참방(參榜)했다는 탄핵을 받고 파직 후 태인(泰仁)에서 창작에 전념하다가 1613년 계축옥사(癸丑獄事) 때 평소 친교가 있던 박응서(朴應犀) 등이 처형되자 신변의 안전을 위해 권신 이이첨(李爾瞻)에게 아부하여 예조참의·호조참의·승문원부제조(承文院副提調)를 지냈다. 1617년 폐모론(廢母論)을 주장하는 등 대북파의 일원으로 왕의 신임을 얻었다. 같은 해 좌참찬(左參贊)으로 승진하고, 광해군 폭정에 항거하여 이듬해 하인준(河仁俊)·김개(金闓) ·김우성(金宇成) 등과 반란을 계획하다가 탄로되어 1618년 가산이 적몰(籍沒)되고 참형되었다. 시문(詩文)에 뛰어난 천재로 여류시인 난설헌(蘭雪軒)의 동생이며 소설 《홍길동전(洪吉童傳)》은 사회모순을 비판한 조선시대 대표적 걸작이다. 작품으로 《교산시화(蛟山詩話)》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성수시화(惺叟詩話)》 《학산초담(鶴山樵談)》 《도문대작(屠門大爵)》 《한년참기(旱年讖記)》 《한정록(閑情錄)》 등이 있다.

    참고자료

    · 구인환 역음, 『중학생이 알아야할 고전』, 신원, 2000
    · 김기동 편, 『토끼전. 장끼전. 김진옥전. 홍계월전』, 서문당, 1984
    · 김병국, 『구운몽』, 시인사, 1984
    · 김태준, 『조선소설사,』 학예사, 1939
    · 박성의, 『한국고대소설사』, 일신사, 1958
    · 소재영 외, 『임진록 ․ 박씨전』, 정음사, 1986
    · 이광규(1978), 한국 가족의 사적 연구, 일지사, 235쪽 참조.
    · 이상익, 「가전체문학론에 대한 비판」, 국어교육 14,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968
    · 전성탁, 「김인향전 고」, 논문집 12, 춘천교육대학 1973
    · 정학성, 「우화소설 연구」, 『국문학 연구』17, 1972
    · 조동일, 「가전체의 장르규정」, 국어국문학 53, 국어국문학회, 1971
    · 차용주, 「허균론재고」, 『아세아연구』48호, 1972
    · 최운식,『심청전 연구』, 서울:집문당, 1985, p. 29~36,124
    · 최운식,『한국 고소설 연구』, 보고사, 개정판 2006 p.502~506
    · 허균, 『홍길동전』(박동우 역), 청목, 2000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