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도 콘크리트
- 최초 등록일
- 2007.09.18
- 최종 저작일
- 2004.05
- 2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실험계획 및 방법
2.1 실험계획
2.2 공시체의 제작 및 양생
2.3 콘크리트의 각종 시험방법
2.3.1 압축강도시험
2.3.2 초음파 속도
2.3.3 반발도
2.3.2 동탄성계수
3.1 압축강도와 초음파와의 관계
3.1 압축강도와 초음파와의 관계
3.2 압축강도와 반발도와의 관계
3.2 압축강도와 동탄성계수와의 관계
3.4 압축강도와 복합법과의 관계
4.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강도 콘크리트
1. 서론
콘크리트는 현재 지구상에 존재하고 있는 건축구조물의 주된 재료로서 강재에 비하여 경제성, 안전성, 내진 및 내풍, 진동문제 등 여러 가지 잇점 때문에 그 사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건물의 고층화, 대형화에 따라 콘크리트에 요구되어지는 소요의 강도와 내구성이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고, 고강도 콘크리트의 발현연구도 활발히 되고 있다. 최근 성수대교 붕괴와 삼풍백화점 붕괴사고로 인하여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 여부에 대한 인식이 새로이 되었고,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설계를 위한 유지보전의 중요성 및 안전성에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어, 이에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추정을 위한 비파괴 검사가 중요시 되고 있다.
한편, 국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추정을 위한 비파괴 시험식의 대부분은 외국의 시험식을 인용한 것이고, 이러한 강도치가 콘크리트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평가하는 중요 체크 포인트로 되고 있다. 또한 반발도 및 초음파속도 등을 이용하여 기존의 제안된 식에 의해 추정된 압축강도 값은 각 제안식마다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또한 기존의 제안식들은 300kgf/cm2이하의 저강도 영역에서 행하여졌기 때문에 고강도 영역(건축공사 표준시방서에서는 고강도 영역을 300kgf/cm2이상으로 정의하고 있으나, 초고강도의 하한선은 아직 정의되고 있지않다.)에서의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국내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에 따른 제반 여건이 국외와 다르다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현재 압축강도 추
정을 위한 제안식의 검토 및 제안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참고 자료
[1] 권영진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