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소수 민족과 그 생활상의 모든것

중국은 56개의 민족으로 이루어져 있다. 땅도 넓은데다가 민족적 특성도 다양해서 마치 56개의 다른 나라가 모여 있는 것과 인상이 든다. 언어는 물론이고 생김새도 너무 다르기 때문에 단일 민족 국가인 우리나라의 사람들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모습이다. 무려 55개나 되는 소수 민족 하나 하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자료에 대해서는 후회하지 않으실 겁니다.
13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7.08.21 최종저작일 2006.06
138P 미리보기
소수 민족과 그 생활상의 모든것
  • 미리보기

    소개

    중국은 56개의 민족으로 이루어져 있다. 땅도 넓은데다가 민족적 특성도 다양해서 마치 56개의 다른 나라가 모여 있는 것과 인상이 든다. 언어는 물론이고 생김새도 너무 다르기 때문에 단일 민족 국가인 우리나라의 사람들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모습이다.

    무려 55개나 되는 소수 민족 하나 하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자료에 대해서는 후회하지 않으실 겁니다.

    목차

    Ⅰ서론 동기와 목적


    Ⅱ본론
    1. 중국의 소수민족 개황
    (1) 소수민족의 생성, 발전 그리고 변화
    (2) 소수민족의 특징
    (3) 소수민족 인구와 그 분포
    ⓛ 소수민족별 현재 인구
    ② 인구에 따른 소수민족 분류
    (4) 소수민족 분포의 특징

    2. 소수민족과 그들의 생활상
    (1) 언어와 문자
    (2) 종교
    (3) 결혼
    (4) 장례
    (5) 민족별 주요명절
    (6) 소수민족의 금기
    (7) 지구별 소수민족과 생활상
    ① 동북, 내몽고 지구
    1) 만족 2) 조선족 3) 허저족 4) 몽고족 5) 다월족 6) 에벵크족
    7) 오르죤족
    ② 서북 지구
    1) 회족 2) 동향족 3) 싸라족 4) 보안족 5) 투족 6) 위구족
    7) 위구르족 8) 카자흐족 9) 키르기스족 10) 다지크족 11) 우즈베크족
    12) 다다르족 13) 러시아 14) 시버족
    ③ 서남 지구
    1) 장족 2) 먼바족 3) 뤄바족 4) 챵족 5) 이족 6) 바이족
    7) 하니족 8) 다이족 9) 리수족 10) 와족 11) 라후족 12) 나시족
    13) 징퍼족 14) 부랑족 15) 아창족 16) 푸미족 17) 누족 18) 더앙족
    19) 두룽족 20) 지눠족 21) 묘족 22) 부이족 23) 둥족 24) 수이족
    25) 거로족
    ④ 중남, 동남지구
    1) 장족 2) 요족 3) 무로족 4) 모난족 5) 징족 6) 투쟈족
    7) 리족 8) 서족 9) 고산족

    3. 민족 지구의 사회 및 경제형태
    (1) 경제와 문화발전
    (2) 교육
    ⓛ 교육 정책
    ② 교육 현황
    (3) 사회

    4. 중국 역사 발전에 있어서의 소수민족의 역할

    5.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 전개과정과 민족정책
    (1) 하나의 중국정책
    (2) 소수민족 정책의 변화과정
    (3) 소수 민족 정책의 원칙

    6.. 중국 소수민족의 문제점


    Ⅲ결론 소수민족과 관련된 현재의 문제점과 해결방향

    본문내용

    1. 중국의 소수민족 개황
    (1) 소수민족의 생성, 발전 그리고 변화
    중국에서는 오늘날 국민 가운데 한족에 속하지 않는 다른 민족들은 “소수민족”으로 구분한다. 모두 합해서 55개 소수민족이 있는데, 그 생성과 발전의 역사에 근거하면 대략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지난 몇 세기 동안 국경 밖에서 국경 안으로 이주해온 민족, 둘째는 옛날부터 현재의 위치에서 지속적으로 발전해온 민족, 셋째는 거주지의 범위가 변화를 많이 하였거나 거주지 자체가 여러 번 바뀐 민족 등으로 구분된다.
    첫째 유형에는 조선족러시아인경족타타르족 등의 소수민족이 포함된다. 경족은 대략 16세기 초에 베트남의 도산 등지에서 지금의 광서장족 자치구 방성 일대 연해안 지방으로 이주하였다. 조선족은 1870년대 한반도에서 만주 동북3성 지역으로 이주하여 정착하였다.
    둘째 유형에 속하는 소수 민족으로는 장족고산족여족장족포의족통족 등이 있다. 이들 민족들의 거주지 범위는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였지만 본래의 핵심적인 거주지는 거의 변하지 않았다. 이런 민족들은 한족과 융합되기도 하고, 다른 민족들을 융합하기도 하면서 발전하였다.
    셋째 유형의 소수 민족에는 신강위그르족유고족철랍족동향족몽고족만주족회족 등이 있다. 이들은 이주의 과정이 만족의 발전에 어떠한 작용을 하였는가에 따라 대체로 두 가지 유형으로 다시 구분된다. 즉, 이주하는 과정에서 민족이 형성된 유형과 민족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이주 활동을 경험한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몽고족의 조상은 예부터 북방에서 살아온 동호족선비족거란족실위족 등이다. 13세기 초에 칭기즈칸은 주변 부족들을 통합하여 대몽고제국을 건립하였다. 그 후, 몽고의 군대가 곳곳에서 정벌에 성공하면서 그 일부가 정벌한 곳에 머물렀으므로 몽고족들의 분포 범위는 중앙아시아서아시아동유럽중국각지로 크게 확대되었다. 그리고 주원장(朱元璋)이 明을 건립하고 元제국의 수도인 大都를 함락시켰을 때 元의 順帝는 수십만 명의 몽고족을 이끌고 몽고고원으로 되돌아갔다.

    참고자료

    · 『中國 少數民族 宗敎信仰』 허휘훈,신현규 태학사 (1997)
    · 『중국상식 ⓛ문화』 다락원 (2003)
    · 『中國民族史』 羅香林 著, 中華文化出版事業社
    · 『중국 소수민족 복식』 박춘순, 조우현 민속원(2002)
    · 『中國學入門』 高英根 (1998)
    · 『중국문화개관』한창수김영구 공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03)
    · 『현대 중국 사회상』 박광희 저 (2005) 학고방.
    · 『중국 소수민족 정책의 형성과 전개』 박병광 저, (2004)
    · 『中國民族 國家民委民族題硏究中心編』 主編: 號文明, 執行主編: 王鐵志, 중앙민족대학출판사 (2001)
    · www.chinabang.co.kr
    · www.cafe.naver.com/tramic
    · http://www.seri.org
    · http://www.ldskorea.net
    · http://blog.naver.com/cj1625
    · http://blog.naver.com/kbbc11
    · http://blog.daum.net/yulri/7178010
    · http://blog.empas.com/songglory/12490850
    · http://chinalook.x-y.net/
    · http://iwad.net/home.html
    · http://blog.naver.com/bonny21/80022456582
    · http://jlm.co.kr/COOLBBS/there/중국4소수민족.hwp 
    · http://www.chinainkorea.co.kr
    · http://www.yunnanair.com
    · http://news.xinhuanet.com/ziliao/2005-04/21/content_2857674.htm
    ·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6&dir_id=612&eid=+03tOt0VeC4TDeZwAg0k6jvIV/Byqp2d
    · http://www.guizhou.pe.kr/
    · http://csf.kiep.go.kr/home.nsf/fmMainFrame?OpenForm&TopMenuPath=fmInfoOfferTopMenu&SubMenuPath=fmInfoOfferSubMenu&BodyFramePath=fmInfoOfferMain
    · http://www.mediamob.co.kr/hmjbjk/blog.aspx?id=15946
    · http://planet.daum.net/pcp/Gate.do?daumid=kcy2503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었고, 과제를 를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