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홍준,『虛白堂 成俔의 미술사적 증언과 화론』, 미술사학연구회, 2003.
· · 이정원,『成俔의 文學思想』, 한국고시가문학회 고시가연구, 2003.
· · 박수천,『慵齋叢話의 詩話批評』, 한국한시학회 한국한시연구, 2002.
· · 김동준,『成俔의 삶과 시세계』, 한국한시학회 한국한시작가연구, 1998.
· · 이강옥,『慵齋叢話의 장르구성과 敍述構造에 관한 연구』, 구비문학연구, 1998.
· · 이연성,『慵齋叢話의 原典 硏究:慵齋閑話의 原典 再構를 위한 試論』, 홍익대학교, 1998.
· · 선상구,『虛白堂의 문예인식과 《風雅錄》의 시세계』, 동국어문논집, 1997.
· · 송혜진,『成俔의 실전-玄琴合字譜 연구』, 연세음악연구, 1997.
· · 장주옥,『慵齋叢話의 문학적 고찰』, 성신어문학연구회, 1996.
· · 홍순석,『成俔의 사물인식과 미의식』, 국문학논집 단국대학교, 1994.
· · 이홍주,『虛白堂 成俔의 문학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 · 최상진,『慵齋叢話의 한자어휘 자료에 대하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992.
· · 홍순석,『成俔文學硏究』,한국문화사, 1992.
· · 이경자,『成俔의 禮樂에 關한 硏究:禮樂詩를 中心으로』, 성신여자대학교, 1990.
· · 홍순석,『虛白堂 成俔의 문학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 · 이종묵,『成俔의 의고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 · 홍순석,『虛白堂 成俔시의 寫實主義적 경향』, 한문학논집7 단국한문학회, 1989.
· · 홍순석,『成俔의 문예의식과 문학론』, 1989.
· · 홍순석,『成俔의 문예의식과 문예론』, 논문집19집 강남대학교, 1989.
· · 홍순석,『虛白堂 成俔文學 硏究 序說-가문의 배경과 가문의식을 중심으로』, 국문학논집 13집 단국대학교 국문과, 1989.
· · 김정수,『金宗直과 成俔의 문학사상연구』, 인하대학교, 1988.
· · 김태안,『成俔의 文學觀 小考』, 안동대학교 눈문집, 1988.
· · 황태면,『慵齋叢話 구조의 분석적 연구』, 복현한문학4집 복현한문학회, 1988.
· · 이래종,『慵齋 成俔의 문학론』, 한문학논집5집 단국한문학회, 1987.
· · 이래종,『成俔의 시론과 작품세계』, 1987.
· · 이문세,『慵齋叢話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 · 홍순석,『慵齋叢話연구』, 국어국문학98집 국어국문학회, 1987.
· · 장덕순,『成俔의 慵齋叢話와 그의 수필』, 한국수필문학사 새문사, 1985.
· · 김은매,『慵齋叢話 小考』, 광주개방대학 논문집, 1984.
· · 김태안,『慵齋叢話연구-골계산문 중심』, 안동대학교 논문집6집, 1984.
· · 김태안,『成俔의 문학론과 시세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2.
· · 오춘택,『虛白堂 成俔 硏究』,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0.
· · 성악훈,『慵齋叢話해제』, 韓國의 名著 현암사, 1970.
· · 남만성,『慵齋叢話해제』, 대양서적, 1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