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인간은 과거로부터 현재의 정보기술시대까지 혁신을 이루면서 변화해 오고 있다. 이러한 혁신과 변화는 생활 양식과 사회 구조를 바꾸어 가고 있으며, 이미 우리들은 20세기를 거쳐 21세기 정보화 사회에 살고 있다. 우리 나라도 세계화 속의 정보화 사회를 지향하여 지식․정보를 대량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그 생산과정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개인이나 국가의 발전은 이러한 지식과 정보를 창출․처리․활용하는 능력 이 능력은 상상․생각․판단․조직․종합․창조로 표현되는 지적 능력, 곧 고등 정신력(Higher Order Intellectual Thinking Ability)에 의하여 좌우된다.
에 의존하고 있다.
정보화 사회는 사회구성원의 의식발달이 강조되고 , 대량생산과 대량소비에서 벗어나 정보중심의 생산양식을 창조하는 초산업사회로 간주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정보화 사회는 사회적․교육적․기술적․경제적 측면에서 많은 도전을 일으킬 것이며, 이러한 도전에 대한 개척이 뒤따르지 않으면 글로벌(Global) 사회에서 뒤쳐지게 될 것이다. 정보화 사회에서는 대량의 정보유통으로 인하여 끊임없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살아남기 위해서 학교의 교육은 평생교육의 기틀을 마련하고 끊임없는 재교육을 통하여 개인의 능력을 개발시켜야 한다. 지금까지의 학교 교육방법으로는 이러한 역할의 수행이 불가능하며, 변화하는 환경에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점들이 다각도로 지적되고 있는 상황 J. I. Goodlad은 “아직도 가르침은 ‘강의’로 행해지고, 교실 앞에 혼자 서서 지식과 정보를 전하고 있는 교사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이러한 학교는 교사와 학생 양쪽 모두를 풀 죽게 한다” 라고 지적하고 있다.
J. I. Goodlad, A Place Called School : prospects for future, 1984. pp.105~123
이다.
· ꋪ 변우열 외,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운영실태 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
· 교육학술정보원, 2002. 연구보고서.
· ꋪ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국어, 대한 교과서 주식 회사,
· 2002.
· ꋪ 교육인적자원부, 학교도서관 활용 우수 사례, 선명인쇄, 2002.
· ꋪ 경상북도교육청, 독서활동 중심의 수업방법, 대창사, 2001.
· ꋪ 경상북도교육청, 아름다운 학교도서관, 중앙인쇄기획, 2002.
· ꋪ 경상북도교육청, 학교도서실 운영편람, 중앙인쇄기획, 2000.
· ꋪ 한상완 외, 지식기반사회의 학교도서관 정책 방향에 방향 : 학교도서관 기본계
· 획 검토 작업단 구성․운영.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001.
· ꋪ 한윤옥, 지식정보시대의 학교도서관 활성화 정책 개발. 서울 : 한국교육학술정보
· 원. 2000. 연구과제 보고서.
· ꋪ 이삼형, 국어교육 평가의 관점, <학술발표회자료집>,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 1999.
· ꋪ 이인제 외,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7.
· ꋪ 이재승, 국어교육의 원리와 방법, 박이정, 1997.
· ꋪ 천경록․이재승, 읽기 교육의 이해, 우리교육, 1997.
· ꋪ 허병두, 학교도서관을 활용하는 교육
· (http://www.bumokyoyuk.com/44-1.htm.)
· ꋪ 대전교육연수원, 초등 도서담당교사 직무연수 교재, 가람문화사, 2002.
· ꋪ 김종문, 개정 대화학습의 도덕교육, 교육과학사, 1996.
· ꋪ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서울특별시인쇄공업협동조합, 1998.
· ꋪ 김상수, 수업 방법 개선을 위한 수업 설계의 절차, 1999.
· ꋪ 경상북도교육청, 초등학교 독서 교육의 길잡이, 구일출판사.
· ꋪ 김효정 외, 독서 교육의 이론과 실제, 열린문화, 1999.
· ꋪ 서울특별시교육청, 독서 교육 이런 방법도 있습니다, 2002.
· ꋪ 연구․시범학교 보고서 : 인천 인주초등학교(2001), 전남 용상초등학교(2002), 강원 남원주초등학교(1999)
· ꋪ 곽형식 외 공저, 수업의 이론과 실제, 중앙적성출판사, 1996.
· ꋪ 유소영․한윤옥, 학교도서관과 교육, 건국대출판부, 1996.
· ꋪ 이덕주, 독서 교육연구보고서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을 통한 독서활동 활성화 방
· 안」 - 사서교사와 교과교사의 협력수업을 중심으로, 송곡여자고등학교, 1999.
· ꋪ 부산 충렬여중, 디지털자료실을 활용한 독서 교육, 충렬여자중학교, 2002.
· ꋪ 교육인적자원부 학교정책실 학교정책평가팀. 「학교도서관 활용 우수 사
· 례」. 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2002.
· ꋪ 교육인적자원부 정책분석과. 「학교도서관 활성화 및 독서교육 우수 사례
· 집」. 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2001.
· ꋪ 김용철 외. 「초등학교 정보와 도서관」. 서울 : 대한교과서, 2002.
· ꋪ 김용철 외. 「중학교 정보와 도서관」. 서울 : 대한교과서, 2002.
· ꋪ 김용철 외. 「고등학교 정보와 도서관」. 서울 : 대한교과서, 2002.
· ꋪ 연은미.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 연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996.
· ꋪ 학교도서관운영편람. 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서을특별시 교육청, 2003.
· ꋪ 학습독서 활성화를 위한 도서활용 교수․학습 방법 탐색. 대전 : 충청남도교육과학
· 연구원, 2002.
· ꋪ 함명식. “정보능력 개발을 위한 컴퓨터․정보이용 교육과정 : 교과교육의 관점을 중
· 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3권, 제3호(1999. 9), pp.127-144.
· ꋪ 함명식. “초․중등학교 「정보와 도서관」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교과교육의 4대
· 기반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6권, 제4호(2002. 12), pp.127-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