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단행본 및 논문
· 강상욱, NGO에 대한 정부재정지원 실태분석, 기부와 자원봉사, 한국 비영리학회 2001년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2001
· 강춘석, 한국 비정부기구(NGO)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고웅건, 국방정책에 있어서 NGO의 역할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권정소, NGO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김승일, NGO의 형성요인과 대정부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김병진. 이홍택, 정부와 NGO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고찰, 행정문제연구 제7권 제1호, 2000
· 김인영 외, 시민운동 바로보기, 21세기북스, 2001
· 김정린, 비영리조직 이사회의 특성, 권력, 역할수행도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 김혁래, 한국의 시민사회와 비정부단체(NGO) 연구 - 현황 및 발전전략, 동서연구 제9권 제2호, 1997
· 김호기, 신사회 운동과 한국의 시민운동, 시민,사회 운동과 엔지오 활동, NGO 가이드, 2001
· 문병관, 지방정부와 지역NGO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청주시를 사례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박상필, NGO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한울, 2001
· 소재진. 김병진. 강제상, 지방정부와 지역NGO의 정책적 협력방안,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5권 3호, 2000
· 송재봉, 충북지역 NGO운동의 성과와 과제, 충북자치시민연대 홈페이지 게재논문, 2000
· 시민의 신문, 2003 한국민간단체총람 상, 시민의 신문사. 2003
· ___________, 2003 한국민간단체총람 하, 시민의 신문사. 2003
· 원유미, 시민단체 재정자립화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NGO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유팔무, 한국 시민운동에 대한 평가와 나아갈 길, 한국NGO지도자협의회. 2001
· 이근주, 정부와 NGO간의 파트너십에 관한 연구-환경NGO를 중심으로, 연구보고 99-04, 한국행정연구원, 1999. 12
· ______, NGO 실패와 정부의 지원에 관한 연구: 환경NGO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34권 제1호, 2000
· 이민정, 한국 비정부조직(NGO)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이원웅. 최창현, 지방자치와 NGO-강릉시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세미나 발표논문, 2000
· 임승빈, 정부와 NGO간의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 98-11, 한국행정연구원, 1999
· 정여진, 한국의 외교정책 결정과정에서 NGO의 영향력 분석-이라크 추가파병 사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조희연 외 공저, 시민.사회운동과 엔지오 활동, 한겨레신문사, 2001
· 차태정, 로컬거버넌스 발전을 위한 지역NGO의 역할에 관한 연구-전북지역 NGO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지방자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참여연대, 참여연대 1997, 참여연대, 1997
· ________, 참여연대 10년의 기록 1994-2004, 참여연대, 2004
· 2. 기타
· http://www.beautifulfund.org/
· http://www.ccej.or.kr
· http://www.gcs-ngo.org
· http://www.greenkorea.org
· http://www.kngo.net
· http://www.ngo.or.kr
· http://www.peoplepower21.org
· http://www.pspd.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