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한국은 해방후 국토분단에서 초래된 자원의 불균형 1950년의 625동란 등으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외국의 원조에 힘입어 그 명맥을 유지하여 왔다. 50년대의 한국경제는 빈곤의 악순환 만성적 인플레이션, 외원에 의존하는 소비경제, 그리고 가격의 이중구조와 경제력비능률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빈곤의 악순환은 구한말의 혼란과 정체, 일제하의 식민지 수발, 남북분단 그리고 625동란 등으로 민족자본의 축적이 미약하여 공업화를 통한 근대화가 이룩되지 못함으로써 한국경제가 전통적 농업사회의 태두리에서 벗어나지 못한 데 기인하는 것이었다.
만성적 인플레이션은 해방후의 혼란과 전쟁이라는 경제외적 요인이 크게 작용하였던 것이므로 어느 정도 불가피하였던 것이지만 이로 인해 국민생활의 불안정, 자원의 낭비, 투기의 성행 등 많은 폐해를 가져왔다. 이와 같은 인플레이션의 만연은 소비수요에 비하여 재화의 공급능력이 낮았을 뿐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 재정적자 또는 금융여신의 팽창등 유동성이 과잉 공급되었기 때문이다.
재원조달에 있어서도 외원에 크게 의존하여 45년부터 61년까지 도입된 원조총액은 총 30억 달러에 달함으로써 해방이후의 혼란과 625동란으로 인한 경제파탄을 막는데 기여하였고, 재정면에서는 원조판매대금을 주축으로 하는 대충자금 세입이 총세입중 약 50%를 차지함으로써 막대한 재정수요를 충당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제원조는 경제자립기반의 구축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고 소비수요를 직접 간접적으로 총족시켜주는데 그침으로써 외원의존적 재정구조, 만성적 국제수지의 역조, 소비재 경공업 위주의 산업구조를 낳게 하였다. 이것은 전후복구와 기아 해결에는 크게 기여하였으나, 반면 한국경제의 기본적인 자립을 위해서는 크게 기여를 하지 못하였다.
물가정책의 운용에 있어서도 ‘55년 단일 환율제의 채택을 계기로 가격규제를 강화함으로써 가격의 이중구조를 낳았다. 다시 말하면 경제정책면에서 자유경제체제를 표방했음에도 불구하고 저환율, 저금리, 저곡가, 저공공요금정책을 추구한 결과 자원 배분면에서 비효율을 초래했다.
· 재무부․한국산업은행, 1993, <한국외자도입 30년사>.
· 한국경제연구원, 1998, <최근 경제현안과 정책과제 - 국민의 정부 100일에 즈음하여>.
· 한국무역협회, 1998, <우리나라의 외국인 투자유치정책 개선방안>.
· 김준동, 1997, <외국인직접투자의 장애요인과 촉진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김준동, 1995, <우리나라 외국인직접투자의 추가개방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 이필상 외, <2001년 한국경제 해법>, 시공사
· 스티븐 마빈, <한국에 제2의 위기가 다가오고 있다>.
· 장대환, <맥킨지 보고서>, 매일경제신문사
· 변형윤 외, <IMF 관리 후 한국의 경제정책>, 새날
· 남덕우 외, <IMF 극복의 정책과제>, 삼성경제연구소
· 이근식 외, <IMF 체제의 사회과학적 진단>, 서울대 출판부
· 남덕우 외, <IMF 사태의 원인과 교훈>, 삼성경제연구소
· 홍상화, <IMF의 경제식민주의를 경계한다>, (주)한국문학사
· 국민대학교 경제연구소, <한국 외환위기의 원인, 전개 및 대응>.
· 건국대 한국문제 연구원, <경제위기와 사회변동>.
· 경제산업연구회, <개방시대 한국경제>.
· 강경식, <강격식의 환란일기>, 문예당
· 한국사회과학연구소, <신경제정책과 한국경제의 미래>, 녹두
· 송대희 외, <밖에서 본 한국경제>, 한국개발연구원
· 부즈앨런&해밀턴, <한국보고서>, 매일경제신문사
· 김연석 외, <21세기 한국경제비전>, 매일경제신문사
· 신장섭, <한국경제 제3의 길>, 중앙 M&B
· 이교관, <누가 한국경제를 파탄으로 몰았는가>, 동녘
· 정창영, <IMF 고통인가 축복인가>, 문이당
· 김동훈 외, <IMF 이후 한국의 빈곤>, 나남출판
· 강봉균, <IMF 위기를 넘어 디지털 경제로>, 재정경제부
· 강정호, <IMF 실체와 한국경제 위기극복 프로그램 “캉드쉬 총재의 웃음”>, 고려서적(주)
· 경향신문사 경제부, <DJ 시대의 경제읽기>, 영언문화사
· 곽해선, <꼭 알아야 할 IMF 경제>, 21세기 북스
· 윤진호 외, <구조조정의 정치경제학과 21세기 한국경제>, 풀빛
· 권화섭, <IMF의 덫>, 중앙 M&B
· 권순우 외, <IMF 시대 한국경제>, 서해문집
· 김대래, <한국경제와 IMF 이야기>, 세종출판
· 김성수, <IMF 한국경제의 재도약을 위해서>, 법경사
· 매일경제신문사 국제부, <IMF 한국이 바뀐다>.
· 박병윤, <한국경제 위기 뒤에 찬스있다>, 에디터
· 배병휴 외, <IMF 개혁 기회와 또 다른 위기>, 좋은이웃집
· 백영훈, <한국자본주의 제3의 혁명>, 연암프레스
· 백우진, <한국경제 실패학>, 지식공작소
· 삼성경제연구소, <한국경제의 회고와 과제>.
· 삼성경제연구소, <IMF 충격, 그 이후>.
· 삼성경제연구소, <IMF 1년과 한국경제의 변모>.
· 이병천 외, <위기 그리고 대전환>, 당대
· 이헌재, <한국경제의 기회와 도전>, 재정경제부
· 민주노조운동연구소, <경제대공황과 IMF 신탁통치>, 한울
· 정태성, <IMF 사태의 절망과 희망>, 자유기업센터
· 조동성, <한국경제 더 물러설 수 없다>, 한국경제신문사
· 차동세, <한국경제 대전환의 길>, 21세기 북스
· 이병천 외, <한국경제, 재생의 길은 있는가>, 당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