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著書 및 調査報告書
· 윤경렬, 『경주남산고적순례』, 경주시, 1979.
· 경주시, 『고도 경주』, 1982.
· 황수영 외 17인, 『역사도시 경주』, 열화당, 1984.
· 윤경렬, 『겨레의 땅 부처님의 땅』, 불지사, 1993.
· 국립경주박물관, 『특별전- 경주남산』, 1995.
· 김원룡․강우방, 『경주남산』, 열화당, 1987.
· 윤경렬, 『경주남산』1,2, 대원사, 1989.
· 국립경주박물관, 『경주 이야기』, 1991.
· 황수영․김길웅, 『특별전- 경주 남산 탑곡 사방불암』, 통도사 성보박물관, 1990,
· 윤경렬, 『경주남산의 탑골』, 열화당, 1991.
· 문화재 연구소 경주발굴조사단, 『掘佛寺調査報告書』, 1986.
· 동국대박물관, 『天龍寺塔址 發掘調査報告書』(고적조사보고서 제2책), 1991.
· 동국대박물관, 『天龍寺廢三層石塔 復元報告書』(고적조사보고서 제3책), 1991.
· 문명대, 『경주 남산의 불상실측과 조사연구』, 한국미술사연구소, 1989.
· 신창수, 「배리 석불입상주변 발굴조사」『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긴급발굴조사보고Ⅰ),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1992.
· 국립문화재연구소, 『경주남산의 불교유적』Ⅰ(탑 및 탑재 조사보고서), 1992.
· 경주문화재연구소, 『慶州遺蹟發掘調査報告書』, 992.
· 경주문화재연구소, 『慶州西岳址表調査報告書』, 1994.
· 국립문화재연소, 『경주남산의 불교유적』Ⅱ(서남산 폐사지 조사보고서), 1997.
· 국립문화재연소, 『경주남산의 불교유적』Ⅲ(동남산 폐사지 조사보고서), 1998.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天龍寺址 發掘調査報告書』, 1998.
· 2. 논문
· 진홍섭,「新發見南山新城碑小考」『역사학보』13집, 역사학회, 1960.
· 진홍섭, 「南山 新城碑 片 二個의 發見」『고고미술』제2권 제 1호, 1961.
· 진홍섭,「경주 남산 미륵곡의 마애여래좌상」『고고미술』33호, 고고미술동인회, 1963.
· 황수영,「경주 남산 장창곡에서 옮긴 삼존석상」 『사학회지』7, 연세대 사학연구회, 1964.
· 정영호,「慶州 南山 佛蹟 補遺」 『사학지』1집, 단국대사학회, 1967.
· 황수영,「신라 남산 삼화령 미륵세존」 『김재원박사회갑기념논총』, 을유문화사, 1969.
· 홍맹곤,『경주 남산 칠불암 마애불상 연구』, 홍익대석사학위청구논문, 1976.
· 문명대,「太賢과 茸長寺의 석불조각」『白山學報』17집, 백산학회, 1977.
· 문명대,「新羅 四方佛의 起源과 神印寺의 四方佛」『한국사연구』18, 한국사연구회, 1977.
· 문명대,「禪房寺 三尊石佛立像의 考察」『미술자료』23, 국립중앙박물관, 1978.
· 문명대,「新羅 四方佛의 展開와 七佛庵佛像彫刻의 硏究」『미술자료』27, 국립중앙박물관, 1980.
· 김길웅,「남산 탑곡 마애조상군」『신라문화』5집,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1988.
· 문명대,「경주 남산 윤을곡 태화9년명 마애불상의 연구」『손보기박사정년기념고고인류학논총』, 지식산업사, 1988.
· 장충식,「남산리 동서3층석탑」『한국의 탑』, 일지사, 1989.
· 강우방,「경주 남산론」『원융과 조화』, 열화당, 1990
· 김동윤,「신라 중대 아미타신앙과 경주남산」『고고역사학지』5․6합집, 동아대박물관, 1990
· 최희선,『경주 남산 선방곡 사지 삼존석불의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 박방룡,「경주 남산 왕정곡 석조여래입상」『박물관신문』266호, 국립중앙박물관, 1993.
· 진현선,『경주남산 石佛의 法衣 樣式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 유마리,「경주남산 9세기의 마애불상고찰」『신라문화』10․11집,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1994.
· 문명대,「경주 남산불적의 변천과 불곡감실불상고」『신라문화』10․11집,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1994.
· 박방룡,「경주남산 삼릉계 석불좌상」『박물관신문』281호, 국립중앙박물관, 1995.
· 박홍국,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의 명문과 조성연대」『경주사학』17집, 경주사학회, 1998.
· 3. 남산 관련 기타 논문
· 강인구, 「신라왕릉의 再檢討」『동방학지』41, 연세대학교 동방학연구소, 1955, 12.
· 홍사준, 「경주 포석정의 명칭과 실물」, 『고고미술』129․130호, 고고미술동인회, 1976.
· 강경숙, 「경주 배리출토 土器骨壺 小考」『삼불김원룡교수정년퇴임기념논총』1, 일지사, 1987.
· 박방룡, 「경주 남산 新城의 硏究」『고고역사학지』10, 1994.
· 4. 日文
· 豊秋,「佛像-朝鮮慶州南山石彫」『佛敎美術』6, 佛敎美術社, 1926.
· 大坂六村, 「慶州の南山」『朝鮮』184, 朝鮮總督府, 1930.
· 大坂金太郞, 「朝鮮 慶州에 있는 廢寺址 寺名推定에 關하여」『朝鮮』197, 조선총독부, 1931.
· 杉原莊介, 「慶州南山に遺蹟を探る」『トルメン』2-4, 岡書院, 1933
· 小場恒吉, 『慶州南山の佛蹟』 朝鮮總督府, 1940.
· 小泉顯夫,「慶州南山の佛蹟調査」『親和』139號, 日韓親和會, 1965.
· 中吉功,「慶州南山の佛蹟」 『新羅․高麗の佛像』, 二玄社, 1971.
· 正木 晃,「慶州南山」『藝叢』3, 筑波大學 藝術學硏究誌, 1985.
· 久野 健, 「慶州の石佛と石窟庵]」『佛像のきた道』, 日本放送出版協會刊, 1985.
· 小坂泰子編著, 「南山」『韓國の石佛』, 株式會社 成出版社, 1987.
· 東潮․田中俊明, 「南山の佛蹟」 『韓國古代遺蹟- 新羅篇』, 中央公論社, 1988
· 田中俊明,「慶州新羅廢寺考(1)」『堺女子短期大學紀要』第23號, 堺女子短期大學, 1988.
· 田中俊明, 「慶州新羅廢寺考(2)」『堺女子短期大學紀要』第24號, 堺女子短期大學,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