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한국의 민중극과 유럽의 민속극에 나타나는 희극적 요소의 비교 연구

"[인문]한국의 민중극과 유럽의 민속극에 나타나는 희극적 요소의 비교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3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7.02.03 최종저작일 2007.02
34P 미리보기
[인문]한국의 민중극과 유럽의 민속극에 나타나는 희극적 요소의 비교 연구
  • 미리보기

    목차

    1. 서언
    2. 희극적 인물 유형
    3. 희극적 몸짓
    4. 희극적 신체 기형
    5. 희극적 복장
    6. 결언

    본문내용

    1. 서언

    한국 현대의 민중극은 민중에 대한 정치적, 교육적 계몽이 긴급히 요구되었던 국내의 정치적 상황의 변화와 더불어, 그리고 매스 미디어 시대의 각종 오락, 유흥 문화의 대중성에 압도되어 이제 그 빛은 거의 바래 가고 있는 실정이다. 민중극은 그러나 민주화 운동, 탈식민화 운동, 남북이념문제, 광주사태, 교육문제, 환경공해문제, 농촌문제 등 한국 현대사의 첨예했던 정치적, 사회적 문제점들을 정면으로 다루면서도 전통탈춤을 비롯한 민족 고유의 연극 양식을 재 발굴한 한국현대사의 유일한 자생적 연극양식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극 양식은 따라서 한국 현대사의 민중문화예술의 특성을 밝히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뿐만이 아니라 우리만의 고유한 연극양식을 외국에 소개하고자 할 경우 이를 대표할 수 있는 극 양식이라 주장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극 양식에 대한 미래 발전적인 전망에 대하여 지속적이고도 생산성 있는 논의는 차지하고서라도 이것에 대한 연구 자체도 줄어드는 추세다.
    민중극의 중심 개념인 마당극의 두 가지 연행 목적은 “‘마당정신’과 ‘놀이정신’인데 극의 이념적인 내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열거하자면 “정치적 민주, 경제적 자립, 사회적 평등, 문화적 주체”가 될 것이다. 마당극은 이러한 극명한 정치적 연행목적을 표방함으로 인해 극이 내포하는 여러 가지의 예술 유희적 기능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예술의 이념적 도구로 전락했다는 비판에 자유로울 수가 없었으며 또한 극의 강한 실험적 성격 때문에 그 자체 해결되지 않았던 여러 가지 드라마 기법적인 문제들(갈등구조 결여, 기계적이며 낙천적인 결말, 플롯의 비 치밀성 및 개연성 결여, 일방적인 도덕률, 도식화된 사물인식)도 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극의 발전을 고무하는 비평가들은 일부의 작품에서만 표출되는 효과적인 드라마 기법들이 민중극 작품 전체를 염두에 둘 때 대수로운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법들이 마치 민중극 전체의 보편적인 특성인 양 기술하고 있음도 부인할 수 없다

    참고자료

    · 강영희: 「연극운동의 새좌표」, 󰡔실천문학 1987󰡕, 실천문학사, 1987.
    · 강영희: 「리얼리즘 정신의 제고를 위하여」, 󰡔공동체문화󰡕 3집, 공동체, 1986.
    · 김문환: 󰡔한국연극의 위상󰡕,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 김원희: 「브레히트 영향전략에 대한 비펀적 검토-서사극과 마당극의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93.
    · 김형식: 「한국 마당극의 극기법 발전을 위한 Commedia dell‘arte의 수용 가능성」, 󰡔독일문학󰡕 77집, 한국독어독문학회, 2001.
    · 다니엘 A. 키스트: 󰡔무속극과 부조리극󰡕, 서강대출판부, 1986.
    · 민중극연구회편: 󰡔민중극대본선 1, 전문연행집단󰡕, 풀빛, 1988.
    · 앙리 베르그송: 󰡔웃음, 희극성에 관한 시론󰡕, 정연복 옮김, 세계사, 1994.
    · 이미원: 󰡔한국근대극연구󰡕, 현대미학사, 1994.
    · 이영미: 󰡔마당극 양식의 원리와 특성󰡕, 한국예술종합학교, 1997.
    · 이영미: 󰡔마당극. 리얼리즘. 민중극󰡕, 현대미학사, 1997.
    · 임진택: 󰡔민중연희의 창조󰡕, 창작과 비평사, 1990.
    · 송동준: 「서사극과 한국 민속극」, 󰡔문학과 지성󰡕 제17호, 1974년.
    · 전신재: 󰡔양주별산대 놀이와 아르뜨 연극󰡕, 성균관대 석사학위논문, 1980.
    · 조동일: 󰡔탈춤의 역사와 원리󰡕, 홍성사, 1981.
    · 조동일: 󰡔카타르시스, 라사, 신명풀이󰡕, 지식산업사, 1997
    · 채희완, 임진택 공편: 󰡔한국의 민중극, 마당극 연희본 14편󰡕, 창작과비평사, 1985, 창비신서 65.
    · Michail Bachtin: Literatur und Karneval. Zur Romantheorie und Lachkultur, München 1969.
    · Anna Braeder: Zur Rolle des Körperlichen in der alt-französischen Dichtung. Gießener Beiträge zur romanischen Philologie 24, Gießen 1931.
    · Charles Baudelaire: Vom Wesen des Lachens und allgemein von dem Komischen in den bildenden Kunst, in: Ders. Sämtliche Werke und Briefe, hg. von F. Kemp u. a. Bd. 1. Darmstadt 1971.
    · Henri Bergson: Das Lachen. Ein Essay über die Bedeutung des Komischen, Zürich 1988.
    · Hans Heinrich Borcherdt: Das europäische Theater im Mittelalter und der Renaissance, Leipzig 1935.
    · Schnorr von Caroldsfeld, F.(Hg.): Vier ungedruckte Fastnachtsspiele des 15. Jhdts. Archiv für die Literaturgeschichte 3, 1984.
    · Rolf Conrad: Der Teufel bei Hans Sachs, Tübingen 1926.
    · Friedrich Dürrenmatt: Der Besuch der alten Dame, Zürich 1980.
    · James K. Feiblemann: Der Sinn des Komischen, in: R. Grimm/K. L. Berghahn(Hg.): Wesen und Formen ds Komischen im Drama, Darmstadt 1975.
  • 자료후기

    Ai 리뷰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지식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입니다. 지식판매자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추천하고 싶습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