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The Comparison of Analytic and Holistic Scoring

The Comparison of Analytic and Holistic Scoring -> 전부 영어
2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6.12.29 최종저작일 2006.12
23P 미리보기
The Comparison of Analytic and Holistic Scoring
  • 미리보기

    소개

    The Comparison of Analytic and Holistic Scoring -> 전부 영어

    목차

    Contents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of Review
    2.1 The History of Writing Assessment
    2.2 Two Basic Kinds of Writing Assessment : Analytic and Holistic Scoring

    Ⅲ. Research Questions

    Ⅳ. Method
    4.1 Subjects
    4.2 Materials
    4.3 Procedures
    4.4 Analyses

    Ⅴ. Results

    Ⅵ. Discussion /Conclusion

    Reference

    Appendix



    Tables

    Table 1. The summary of analytic and holistic scoring
    Table 2. A comparison of holistic and analytic scales in terms of test usefulness
    Table 3. Scores of writing samples
    Table 4. Average scores of analytic and holistic scoring
    Table 5.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analytic and holistic scoring
    Table 6. The result of using paired-T test in the analysis of Rater 1`s analytic and holistic scoring
    Table 7. The result of using paired-T test in the analysis of Rater 2`s analytic and holistic scoring
    Table 8. The result of using paired-T test in the analysis of Rater 3`s analytic and holistic scoring
    Table 9. The result of using Friedman Test
    Appendixes

    Appendix 1. Essay question
    Appendix 2. Analytic scoring used
    Appendix 3. Holistic scoring used
    Appendix 4. Interview questions about the scoring

    본문내용

    Ⅰ. Introduction

    In Korea, the entrance to university is generally determined mainly by CSAT(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However, the examination consisting of MCQ(multiple choice question) has been criticized on the ground that it lacks the validity, which especially applies to the English writing test. In this trend, English essay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alternatives against that. Although it is not adopted in the present university entrance system, an issue of using English essay for choosing a student will be kept being raised in Korea. In fact, English essay has already been made use of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 assess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In this regard, it would be desirable to think of how valid English essay is and what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put it into practice in classroom.
    Making a good use of writing an essay in English is closely related to scoring method, which is well shown in the history of writing being made up of three stages like objective testing, holistic scoring and portfolio assessment. That is to say, the Korean situation and the history of testing writing can be said to show the scoring of writing has been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subjects with the probability that one type plays a positive or negative role in developing students` ability to write.

    참고자료

    · 박태현. (2005). The Place of Analytic and Holistic Scorings in EFL Writing Classes. 영미어문학. 75, 213-227.
    · 지은림. (2000). 논술형 수행평가를 위한 채점방법들의 비교. 경희대학교 교육문제 연구소 논문집. 16, 235-246.
    · 이호. (2005). 영작문 평가 상황에서 학생들의 평가과정에 대한 연구. 영어교육연 구. 17(3), 215-234.
    · Robert L. Johnson, James Penny, Belita Gordon. (2000). The Relation Between Score Resolution Methods and Interrater Reliability : An Empirical Study of an Analytic Scoring Rubric. Applied Measurement in Education. 13(2), 121-138.
    · Stephen P. Klein, et al. (1998). Analytic Versus Holistic Scoring of Science Performance Tasks. Applied Measurement in Education. 11(2), 121-137.
    · Yuji Nakamura. (2002). A comparison of holistic and analytic scoring methods in the assessment of writing. Retrieved December 8 , 2006. from Tokyo Keizai University http://www.jalt.org/pansig/2004/HTML/Nakamura.htm Nancy Nesbit Vacc. (1989). Writing Evaluation : Examining Four Teachers` Holistic and Analytic Scores. Retrieved December 8, 2006. from http://links.jstor.org
    · 심재홍. (1994. 7). 논술시험 출제와 평가. 우리교육. 54-57.
    · Liz Hamp-Lyons. (2002). The scope of writing assessment. Assessing Writing. 8, 5-16.
    · Lyle F. Bachman. (1990). Fundamental Considerations in Language Testing.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 Lyle F. Bachman, & Adrian S. Palmer. (1996). Language Testing in Practice. Oxford : Oxford University Press.
    · 이완기. (2003). 영어평가방법론. 서울: 문진미디어.
    · Brown H.D. (2001). Teaching by Principle. (2nd Ed.). New York: Addison Wesley Longman.
    · Brown H.D. (2000).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4th Ed.). New York: Addison Wesley Longman.
    · Jack C. Richards, & Willy A. Renandya. (2002). Methodology in Language Teaching : An Anthology of Current Practi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Hatch, E., & Lazaraton, A. (1991). The research manual: Design and statistics for applied linguistics. Boston: Heinle & Heinle.
    · Brown, J. D. (1988). Understanding research in second language learning: A teacher`s guide to statistics and research desig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