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자본시장의 구조
- 최초 등록일
- 2006.12.09
- 최종 저작일
- 2006.04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200원

판매자seo****
46회 판매

소개글
...
목차
1. 자본시장의 의의
2. 한국증권선물거래소(KRX)의 출범과 구성
1) 한국증권선물거래소(KRX)의 출범
2) 한국증권선물거래소(KRX)의 구성
3. 자본시장구조의 변화
1) 유가증권시장
2) 코스닥시장
3) 선물시장
본문내용
1. 자본시장의 의의
자본시장은 사업의 창설 ·확장 ·개량 등, 기업의 투자를 위하여 필요로 하는 자금의 조달이 이루어지는 시장을 말한다. 기업의 투자자금은 비교적 장기에 걸치는 것이 많기 때문에 장기금융시장이라고 하며, 운전자금의 조달을 위한 단기금융시장인 화폐시장과 구별된다. 그러나 원인 여하를 불문하고 장기의 자금대차가 이루어지는 장소를 “자본시장”이라고 한다.
전형적인 자본시장은 주식발행시장과 사채발행시장으로 나누어지지만, 장기금융기관의 대부시장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자본시장 또는 장기금융시장은 자금공급 방식에 따라 장기대부시장과 신증권 발행시장 및 기발행 증권매매시장(증권유통시장)으로 나누어진다.
전자는 금융기관이 저축자로부터 조달한 자금을 장기자금수요자에게 장기대출하는 시장이고, 후자는 주식·공사채의 발행·매매를 통해 자금의 수급이 이루어지는 시장으로, 일괄해서 증권시장이라고 한다.
여기에서는 후자인 증권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증권거래소(KRX)의 출범과 관련하여 한국의 자본시장 구조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2. 한국증권선물거래소(KRX)의 출범과 구성
1) 한국증권선물거래소(KRX)의 출범
세계증권시장의 구조적 환경변화에 따른 경쟁의 심화에 대응하여 우리나라도 증권선물시장의 효율성을 제고할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면서, 2004년 1월 29일 제정된 한국증권선물거래소법에 따라 2005년 1월 27일, “한국증권선물거래소(KRX)”를 출범시키게 되었다. 이는 기존의 한국증권거래소 및 코스닥, 한국선물거래소, 코스닥위원회가 합병된 것으로서 현물거래소와 상품거래소가 통합되어 거래규모가 종전보다 대형화, 글로벌화 되었음을 의미한다. 현재 현물부문은 2004년 12월 기준 상장회사 수 1571개, 거래대금 813조원으로 세계 10위권에 올라있으며, 선물·옵션부문은 거래품목 19개로 거래량의 경우 세계 9위, 옵션거래량은 세계 1위를 유지하면서 출범과 동시에 세계 금융시장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