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와 반세계화
- 최초 등록일
- 2006.11.11
- 최종 저작일
- 2005.1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세계화와 반세계화에 관한 학술보고서입니다.
목차
1. 서론
- 세계화의 등장
- 현 세계의 모습
2. 본론
1) 정치적인 측면에서의 세계화
- 공생을 통한 더 나은 정치세계의 추구
- 정치개입을 통한 약소국들의 피해
2)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세계화
- 자유무역을 통한 하나의 단일시장 형성
- 약소국들의 경제적 예속 심화
3) 문화적인 측면에서의 세계화
- 다양한 문화의 접촉을 통한 국가의 문화적 이해
- 무분별한 문화수용을 통한 문화정체성의 혼란
3. 결론
- 세계화 시대에 대응하는 우리의 자세
본문내용
오늘날 세계는 각각 국가간의 상호 연관성이 심화되면서, 하나의 공동체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유럽연합(EU) 유럽의 정치적, 경제적 통합을 강화하기 위해 제정한 마스트리히트 조약(1992.2.7 체결, 1993.11.1 발효)에 따라 창설되었다. 2002년 현재 회원국은 그리스, 네덜란드, 덴마크, 독일, 룩셈부르크, 벨기에, 스웨덴. 스페인. 아일랜드. 영국,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포르투칼, 프랑스, 핀란드 등 15개국이다., NAFTA 북미자유무역협정(北美自由貿易協定, North America Free Trade Agreement). 미국, 캐나다, 멕시코 북미 3개국을 단일 시장으로 통합하는 세계 최대의 자유무역 지대를 형성시킨 무역 협정이다., APEC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 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APEC)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경제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이 지역 국가의 국제협력기구이다. 같은 연합 공동체가 형성되면서 전 세계는 점점 각 지역, 그룹별로의 모임을 통해 그들의 발언권을 얻고 있으며, 이런 연합단체의 힘을 빌어서 서로의 단결을 다지고 있다. 그러나 이런 초국가적인 연합 공동체가 전 세계에 미치는 영향이 그리 긍정적이지는 않다. 지금 세계는 이런 세계화에 따른 초강대국들의 지휘아래 점점 그들에게 동화되어가는 분위기속에서 그에 따른 문제점들을 논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이 보고서에서는 세계화에 따른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통해 세계화와 반 세계화에 대한 논쟁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참고 자료
* 윌리엄 K 탭 . 반 세계화의 논리. 월간 말. 2001
* 김창민 . 세계화 시대의 문화 논리 . 한울 . 2005
* 헤롤드 제임스 . 세계화의 종말. 한울.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