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겐 슐체, 반성완 옮김, 새로 쓴 독일 역사, 지와 사랑, 2000
· 아이힐러.W, 이태영 옮김, 독일사회민주주의 100년, 중앙교육문화, 1989
· 하종강, 한국사회 노동문제 바로보기
· 김상곤, 사회적합의주의와 노사정위원회
· 한국은행 발간자료, 기업경영분석통계, 2006.8.25자 발행물
· 조영철, 20세기 자본주의의 역사-미국과 독일 자본주의를 중심으로, 한국산업사회학회, 경제와사회 제52권, 2001. 12, pp. 39 ~ 65 (27pages)
· 서병철, 유럽통일-단일국가 형성과정, 평민사, 1996
· 이종원, 최신 EU(유럽연합)론, 해남, 2001
· 조르주발랑스, 조홍식 옮김, 미국․일본․독일이 세계를 지배한다, 고려원, 1995
· 조두환․사순옥․김병용 공저, 유로․게르만․독일의 문화나들이, 건국대학교출반부, 2001
· 베를린리포트<http://www.berlinreport.com>
· 독일정보<http://www.nobelmann.com>
· 구본학․김계동 외, 세계 외교 정책, 을유문화사, 1995
· 전득주, 박준영, 김성주, 김호섭, 홍규덕 공저, 대외정책론, 박영사, 1998
· 이호재, 유럽통합과 국제정치(각국의 EU정책과 쟁점), 법문사
· 가우리학문공동체<http://cafe.naver.com/gaury.cafe>
· 이규철, 독일 사례를 통해 본 사회적 합의주의
· 독일사민당의 역사<http://blog.naver.com/uuuau/40010074693>
· 강철구, 독일의 노동조합과 산업관계
· 제삼노총, 공동결정제도, 한국민주노동조합총동맹카페
· 독일 노사제도 특징, 월간조선 world village4호, 2004.1.19
· 조지현, 독일의 감사회제도에 있어서 근로자의 공동결정, 한국비교사법학회, 비교사법 통권 제27호下, 2004. 12, pp. 147 ~ 165 (19pages)
· 이광택, 종업원 경영참여제도의 도입과 과제, 한국기업법학회, 기업법연구 제13집, 2003. 6, pp. 9 ~ 36 (28pages)
· 김태형․김희천, 미국․독일․일본의 이사회 제도의 비교, 한국전략경영학회, 전략경영연구 제3권 제2호(특별호), 2000. 12, pp. 71 ~ 96 (26pages)
· 조진한, 독일의 기업지배구조에서 배우자, 브레이크뉴스<http://www.breaknews.com> 기사 中, 2006. 5
· 강동균, 독일 폭스바겐 노조의 변신, 한국경제<http://www.hankyung.com> 기사 中, 2005.4
· 노중기, 노사정위원회 5년 평가와 전망, 한국사회과학연구소, 동향과전망 (통권 제56호), 2003. 4, pp. 48 ~ 76 (29pages)
· 김규태, 노사협의회 운영실태 비교연구-근참법 제정 이전과 이후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 대한경영학회지 (제24권), 2000. 6, pp. 441 ~ 459 (19pages)
· 신철호, 이사회에 대한 평가와 국내 사외이사제도 정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전략경영학회, 전략경영연구 제3권 제2호(특별호), 2000. 12, pp. 117 ~ 149 (33p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