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한시50수

우리 나라의 엄선된 한시 50수 입니다. 윤리과 및 윤리교육과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한자 및 음독을 옮겨놓았고 한글 해석까지 달아놓았습니다.
2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6.09.24 최종저작일 2006.06
20P 미리보기
한시50수
  • 미리보기

    소개

    우리 나라의 엄선된 한시 50수 입니다.
    윤리과 및 윤리교육과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한자 및 음독을 옮겨놓았고
    한글 해석까지 달아놓았습니다.

    목차

    1. 山中 송익필
    2. 雲山吟 안정복
    3. 井中月 이규보
    4. 山居卽事 次民望韻산중에서 지내며 - 民望의 詩에 차운하다. -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
    5. 松竹問答 소나무와 대나무의 대화 - 이식 李植
    6. 山寺夜吟   산속 절에서 밤에 한 수 읊다 - 송강(松江)  정철(鄭徹)
    7. 絶 句      자연을 노래하다 - 최충 
    8. 入山詩 산에 들어가면서 - 최치원
    9. 作墨戱題其額 贈姜國鈞
    그림을 그리고 그 위에 시를 한 수 적어 강국균에게 주다. - 강희맹 姜希孟
    10. 登龍門山白雲峯     
    용문산 백운봉에 오르다. - 임영
    11. 偶吟 - 홍세태
    12. 題伽倻山讀書堂    가야산 독서당에 써 붙임 -  최치원
    13. 題江石     강가의 돌에 적다 - 홍유손(洪裕孫)
    14. 送人       님을 보내며 - 정지상   鄭知常
    15. 大愚菴銘   대우암에 새긴 글 - 안방준 安邦俊
    16. 有感 - 최창대(崔昌大)
    17. 秋夜雨中   가을비 내리는 밤에 - 최치원(崔致遠)
    18. 聞雁(문안) - 기러기 소리를 듣다.
    19. 訪曹雲伯
    20. 雨過
    21. 晩晴      저녁 비 개이고
    22. 詠雪      눈 - 이색 李穡
    23.  曉坐     새벽에 일어나 앉아  정약용(丁若鏞)
    24. 동림사추석야반(東林寺秋夕夜半) - 사명대사(四溟大師)
    25. 고송(孤松)-민정중(閔鼎重)
    26. 제함영송수(題咸營松樹) - 정도전(鄭道傳)
    27. 재송원(栽松原)-김시습(金時習)
    28. 음호창송(蔭戶蒼松)-홍우원(洪宇遠)
    29. 관산월(關山月)-정도전(鄭道傳)
    30. 백상루월야(百祥樓月夜)-신흠(申欽)
    31. 월야(月夜)-김시습(金時習)
    32. 해월(海月)-김시습(金時習)
    33. 의월정(宜月亭)-정철(鄭澈)
    34. 이화월백(梨花月白)-신위(申緯)
    35. 滿月臺(만월대)-李珥(이이)
    36. 漢浦弄月(한포농월)-李穡(이색)
    37. 춘풍(春風) - 정도전(鄭道傳)
    38. 대풍(大風) - 강후석(姜後奭)
    39. 동풍(東風) - 최치원(崔致遠)
    40. 서새풍우(西塞風雨)-이인로(李仁老)
    41. 한풍(寒風 1) - 이색(李穡)
    42. 寒風 2 - 이색(李穡)
    43. 斗尾値逆風(두미치역풍) - 丁若鏞(정약용)
    44. 風 - 許篈 (허봉)
    45. 詠竹 - 정지상(鄭知常)
    46. 詠竹(영죽) - 曺好益(조호익)
    47. 詠竹韻(영죽운) - 權近(권근)
    48. 風竹 - 柳根(유근)
    49. 畵竹 - 徐居正(서거정)
    50. 血竹 -黃玹(황현)
    끝.

    본문내용

    1. 山中    산속에서 송익필(宋翼弼) 1534(중종29)~ 1599(선조32)

    독대천봉진일면獨對千峯盡日眠    일천 봉우리 마주하여 졸음에 해 지는데
    석람화우하렴전夕嵐和雨下簾前    저녁 산 으스름이 비를 안고 내려오네.
    이변무어하증세耳邊無語何曾洗    세속 잡설 안 들리니 귀 씻을 일 무엇이랴
    청록래유음벽천靑鹿來遊飮碧泉    푸른 사슴 노닐면서 맑은 샘물 마신다네.

    * 독대천봉(獨對千峯) : 산속에 앉아 홀로 일천 봉우리를 마주보고 있다. 일천이라는 숫자는 꼭 일천 개의 봉우리라는 뜻이 아니라, 깊은 산중에 있다보니, 눈앞에 첩첩 산봉우리들이 수없이 중첩되어 있는 것이다.

    (중략)

    * 진일면(盡日眠) : 진일, 날이 다하도록. 면, 졸고 있다. 아주 한가로운 모습이다.
    * 하증세(何曾洗) : 하증세, 어찌 일찍이 씻으랴. 귀를 씻어낼 일이 무엇이 있겠느냐 라는 뜻입. 더러운 세속 잡소리를 들으면, 귀를 씻어야 한다. 옛날 요임금이 허유라는 사람에게 천하를 물려주려고 하니, 허유가 더러운 소리를 들었다고 하여 귀를 씻었다는 일화가 있다.
    * 청록래유(靑鹿來遊) : 청록, 푸른 사슴. 사슴이 털이 새파란 녀석은 없다. 짙은 잿빛 털을 지닌 사슴, 청순하고 산뜻하고 앳되고 함초롬한 사슴을 말하는 것 같다. 래유, 와서 노니는 것이다. 산중 집근처에 사슴이 내려와 한가롭게 걸어다닌다.

    2. 雲山吟     구름과 산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