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는 환경문제와 경제발전이 상호 연계되지 않은 채 분리되어 논의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환경보호문제와 경제발전이 상호 공존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즉 과거에는 환경보호가 국가의 임무만으로 파악되어 국가가 주도적으로 환경을 보호하려고 노력하여왔다. 그러나 국가주도의 환경보호는 개인과 기업의 협조 없이는 불가능하게 되었다. 국가가 개인과 기업의 활동에 대하여 직접적인 통제수단이나 제재를 통하여 환경보호임무를 실현하는 데에는 한계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국가는 종래의 질서법상의 수단이 아닌 간접적인 수단에 의하여 개인과 기업을 환경보호에로 유도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유지태, 기업의 자율적 환경보호제도, 「공법학의 현대적 지평」(心泉桂禧悅博士華甲記念論文集), 1995, 880면.
이러한 하나의 수단에 해당하는 것이 바로 환경감사제도이다.
환경감사는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다. 기업활동이 환경방침이나 법적 기준에 부합하고 있는지 감시하는 것 또는 기업활동과 대기, 수질, 토양, 생태계 등과 같은 주변환경과의 상호작용에 관한 체계적인 조사라고도 한다. 구자건, 환경감사의 원리와 활용 방안, 환경영향평가(제7권 제1호), 환경영향평가학회, 1998, 126면.
또한 미국의 연방환경청(EPA)은 1986년 7월 「환경감사지침(Guide to Environmental Auditing)」을 발표하였는데, 그에 의하면 환경감사란 “환경법상의 요건의 충족문제와 관련한 시설운영 및 법집행에 관한 피규제 당사자에 의한 체계적․실증적․정기적․객관적인 심사”라고 한다. Environmental Auditing Policy Statement, 51 Fed. Reg. 25,004, 25,006 (1986); Lynn Holdsworth, Florida`s Environmental Selt-Audit Legislation: An incentive for Environmentally-Conscientious Business or An Opportunity for the Corporate Polluter to Suppress the Truth?, 27 Stetson L. Rev. 210, 214 (Summer 1997).
· 구자건, 환경감사의 원리와 활용 방안, 환경영향평가(제7권 제1호), 환경영향평가학회, 1998, 126면.
· 김명용, 환경감사법의 제정방안 연구, 연구보고(2002-02), 한국법제연구원, 2002.11.
· 김은원․강신민, ISO900/14000 품질/환경경영 시스템 추진 실무, 대경, 2000.
· 박수혁, 환경감사에 관한 법제도적 고찰, 환경법연구(제16권), 1994, 41면.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편, 연세 한국어사전, 두산동아, 1998.
· 유지태, 기업의 자율적 환경보호제도, [공법학의 현대적 지평](心泉桂禧悅博士華甲記念論文集), 1995, 880면.
· 유지태, 환경법,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0, 228면 이하.
· 이순용․김오우․이종호, 환경경영시스템(ISO 14000)을 통한 시장기회창출과 활용에 관한 연구 - 제조업을 중심으로 -, 생산성논집(제12권 제2호), 1998, 7면 이하.
· 이종영, 환경경영감사제도의 내용, 법제연구(통권 제14호), 1998, 185면.
· 정영태, 환경경영시스템 이렇게 구축하자, KSA한국표준협회, 2000, 37면
· 한 철, 임의적 환경감사의 법리, 경영법률(한국경영법률학회), 1999, 575면.
· 허완․정찬영 공역, 환경경영․감사 시스템의 벤치마킹, 한국생산성본부 품질인증원, 1994.
· 환경부, 2002 환경백서, 2002. 11, 109면.
· 환경부, 기업환경보고서(환경정보공개) 시범사업, 2002.4, 87면 이하.
· Balzereit/Kassebohm/Kettler: Umwelthaftung und Versicherungsschutz, BB 1996, S. 212.
· Bartsch, T.: Erfahrungen mit Umwelt-Öko-Audits in den USA, ZUR 1995, S. 14.
· Bell, Christopher L.: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s and ISO 14001, Environmental Watch, Western Europe, 1995. 12.1, S. 5.
· Bräker, Stefan: Die erste Umweltprüfung, Beratende Ingenieure, 1996, S. 38 f.
· Das nordrhein-westfälische Wirtschaftsministerium, EG-Öko-Audits in nordrhein-westfälischen Unternehmen, 1995, S. 28.
· Ewer, W.: Öko-Audit: Der Referentenentwurf für ein Umweltgutachter- und Standortregistierungsgesetz und die ?ergangsl?ung zur Anwendung der EG-Öko. Audit-Verordnung, NVwZ 1995, S. 458.
· Falk, H./Frey, S.: Die Prüftätigkeit des Umweltgutachters im Rahmen des EC-Öko-Audit-Systems, UPR 1996, S. 59.
· Falk, H.: Die EG-Umwelt-Audit-Verordnung: die Zulassung von Umweltgutachtern in sechs Mitgliedstaaten, Manuskript, Sinsheim, 1996, S. 11.
· Falke, J.: Umwelt-Audit-Verordnung. Grundsätze und Kritikpunkte, ZUR 1995, S. 6.
· Feldhaus, Gerdhard: Umwelt-Audit und Betriebsorganisation im Umweltrecht, in: J. Kormann (Hrsg.), Umwelthaftung und Umweltmanagement, 1994, S. 9, 19.
· Feldhaus, Gerhard: Umweltschutz durch Betriebsorganisation und Auditing, Dokumentation zur 17. wissenschaftlichen Fachtagung der Gesellschaft für Umweltrecht e.V., Berlin-Bielefeld, 1993, S. 46.
· Grund/Gebhard/Hubert Peter/Kaus/Sanfleber/Siebert: Umweltschutz - die Herausforderung meistern, Düsseldorf,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