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장애인 교육의 현황
특별한 교육적 조치를 필요로 하는 아동들의 세부적인 권리는 특수교육 진흥법에서 보장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UN은 1975년 제 30차 총회에서 ‘장애인의 권리선언’을 결의하였으며, 1976년 제 31차 총회에서 1981년을 ‘세계 장애인의 해’로 정하기로 결의하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이를 배경으로 삼아 그때까지 특수교육 및 장애인복지 관련 단체의 요구를 수렴하여 1977년에 『특수교육진흥법』을 제정하고, 그 다음 해에 그 시행령과 시행규칙을 제정 ․ 공포하였다. 이 법은 1979년부터 시행되었는데, 이 법의 시행으로 특수교육기관의 수가 과거에 비해 많이 늘어났으며, 특수교육을 받게 된 장애아동의 수도 비약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1994년 1월 특수교육진흥법(이 법의 특징은 통합교육과, 의무/무상교육, IEP(개별화 교육 프로그램)로 요약될 수 있다)의 전면적인 개정에 따라 우리나라 특수교육의 양적 ․ 질적 성장의 토대를 마련하게 되었다. 위 법 제5조에 의하면 특수교육 대상자에 대한 초등・중등학교 교육 과정은 의무교육으로 하고, 유치원 및 고등학교 과정의 교육은 무상으로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이 법에 따르면 장애학생들은 일반학생들에게 뒤지지 않는 교육기회를 보장받고 있음은 물론이고 자신들의 특성에 적합한 교육을 제공받을 수 있다. 장애학생들의 교육권 실현의 여부는 여러 가지 통계 수치를 통해 알아볼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수교육 요구아동과 특수학급 현황을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1) 특수교육 요구아동
최근 장애아동의 특수교육 수혜율 문제는 출현율을 근거로 파악하고 있으며, 특수교육대상자 출현율은 학령 인구중(6~21세) 특수교육이 필요한 자의 비율을 말한다.
현재, 미국과 일본의 경우는 특수교육대상자 출현율을 산출하지 않고, 학령인구 중 특수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 수에 따른 특수교육 수혜율을 산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특수교육대상자 출현율은 국가마다 연구자마다 특수교육대상자의 범위가 다르고, 연구 방법이 달라 각각 그 비율이 다르다.
1995년 OECD 주요국의 특수교육대상자 출현율을 보면, 미국과 독일이 각각 7.0%, 노르웨이가 6.0%, 오스트레일리아가 5.22%, 스위스가 4.90% 등으로 1997년의 우리나라 출현율 (한국 교육부(1995)에서는 특수교육대상자 출현율을 2.44%로 추정)보다는 높다. 그러나 네덜란드 3.63%, 영국 1.85%, 일본 0.89%로 나타나서 국가별 장애의 정의 및 범위에 따라 그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특수교육 요구아동 수는 출현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2001년의 경우 출현율을 2.44%로 보았기 때문에 특수교육 요구아동의 수는 학령기인 6세∼17세까지의 인구수인 7,956,678명 중 194,143명으로 추정되었다. 2001년에 교육인적자원부와 국립특수교육원이 공동으로 발표한 출현율 2.71%를 적용하면 2002년 기준 특수교육 요구아동 추정수는 .....
· ☞ 장애인복지발전5개년 계획안 2003. 2.
· ☞ 장애우 권익문제 연구소, 장애우복지개론, 나눔의 집, 2002.
· ☞ 장애 교육권 포럼 자료, 2002.
· ☞ William L. Heward, 특수교육학 개론, 시그마프레스, 2002. 1.
· ☞ 최중옥, 특수아동의 이해와 교육, 교육과학사, 2001. 2.
· ☞ 신현기 외, 특수교육의 이해, 교육과학사, 2001. 2.
· 박옥희, 『장애인 복지론』, 2000.
· 대구대학교 출판부,『정신지체아의 교육이론과 방법』, 1999.
· Robert ingal(金正楎역), 『정신지체아 교육의 원리와 실제』, 1987.
· 김현용,『현대 사회와 아동』, 2001.
· 김종문,『통합교육과 특수교육진흥법』, 서울특별시교육연구원, 1995.
· 박옥희,권중돈,『장애인 복지의 현황과 정책과제』,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4.
· 이정기,「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 졸업생의 취업 및 사회적응 실태연구」, 부산교육대학원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2001.
· 류애숙,「중학교 특수학급 졸업생의 진로실태 분석 연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2000
· 교육부, 특수교육진흥법
· 강경숙, <세 학교의 통합운영 사례>, 국립특수교육원, 2000
· 김수균, 『장애 이해와 교육』 교육과학사, 2003
· 박승희, 한국 장애학생 통합교육』, 교육과학사, 2003
· 김남순, <한국의 특수교육정책 분석>, 특수교육학연구(38권 제2호), 2004
· 김정권,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이해와 교육』, 국립 특수교육원 연수자료집, 2004
· 김은주, <통합학급운영실태 분석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3
· 김승국, 『장애 학생의 통합교육』, 교육과학사, 1999년
· 박승희, 『한국 장애학생 통합교육』, 교육과학사, 2003년
· 박옥희, 『장애인 복지론』, 2000.
· 대구대학교 출판부,『정신지체아의 교육이론과 방법』, 1999.
· Robert ingal(金正楎역), 『정신지체아 교육의 원리와 실제』, 1987.
· 김현용,『현대 사회와 아동』, 2001.
· 김종문,『통합교육과 특수교육진흥법』, 서울특별시교육연구원, 1995.
· 박옥희,권중돈,『장애인 복지의 현황과 정책과제』,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4.
· 이정기,「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 졸업생의 취업 및 사회적응 실태연구」, 부산교육대학원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2001.
· 류애숙,「중학교 특수학급 졸업생의 진로실태 분석 연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2000
· ☞ 장애인복지법, 특수교육 진흥법
· ☞ 2002 특수교육 연차보고, 2002. 4.
· 1. 국립특수교육원(1998). 장애인 교육․ 복지실태 국제비교
· 2. 국립특수교육원(1999). 특수교육 5개년 발전계획(안). 현장특수교육.
· 3. 교육인적자원부(2000). 특수교육실태보고서
· 4. 교육인적자원부(2001). 특수교육연차보고서
· 5. 김원경(1992), 장애아동 교육권 보장의 전개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특수교육논총 제9집
· 6. 김정권(1996). 개별화 교육의 배경. 한국정신지체아교육연구회(편).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 대구: 대구대학교 출판부, 12-27.
· 7. 이혜원(1992). 장애아동의 교육을 받을 권리에 관한 연구 : 미국과 우리 나라의 관련 법령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 8. 이효자 외 4인(1998). 특수아동교육. 서울: 도서출판 정일
· 9.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0). 장애인 실태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10. 황윤환(2000). 特殊敎育의 최근 動向과 통합 교류교육(전라남도특수교육연구회 하계 연구발표회)
· 11. 장애인인터넷신문 위드뉴스(www.with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