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경제]다자주의와 지역주의와 21세기 세계경제의 전망
- 최초 등록일
- 2006.04.25
- 최종 저작일
- 2005.03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국제경제학
목차
1. 들어가는말
2. 다자주의 (WTO)
(1) WTO의 創設
(2) WTO出帆의 意義
(3) WTO의 地位
(4) WTO & GATT
(5) WTO의 組織構造
(6) WTO의 分爭解決節次
(7) WTO와 新多者間協商
(8) WTO體制 出帆에 따른 韓國의 影響
(9) 韓國의 課題
3. 지역주의
(1) 지역주의의 槪念및 趨勢
(2) EU
(3) NAFTA
(4) APEC
4. 21세기의 세계경제 변화추이 예측
(1) WTO體制出帆 이후의 世界貿易規模의 變化
(2) 2010년 각국의 國內總生産(GDP) 展望
(3) 全世界 自動車 生産展望
(4) 世界輸出額中 開發途上國의 輸出比重
5. 맺음말
본문내용
1. 들어가는말
제 2 차 世界大戰이 끝날무렵 인류는 국제경제질서의 중요성을 재인식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동구권및 아시아 몇몇 나라들이 사회주의화 하여 정치적 질서가 재편되는 등 자본주의는 외견상 일대의 위기를 맞이하였다. 이때 미국이 중심이된 브레튼우즈협정에 따라 1945년 IMF라는 다국간 결제체제와 IBRD로 불리우는 장기자본조달및 공급체제 그리고 1948년 국제부역의 자유화를 주장하면서 GATT가 출범하게 되었다. 전후의 국제경제질서는 금융부문의 질서를 담당한 IMF와 실물부문을 담당한GATT에의해 이른바 IMF-GATT체제로 지칭되는 쌍두마차로써 유지되었다. 특히 GATT는 관세인하와 보호주의적 무역장벽의 철폐를 통해 자유무역화및 무차별주의를 고수하면서 국제무역의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여 국제경제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여 왔다.
그러나 우루과이 라운드 이전 7차례에 걸친 무역협상에도 불구하고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국제무역환경에 능동적으로 적응함에 있어 그 한계를 들어낸 GATT는 UR타결및 세계무역기구(World Trade Organization : WTO)의 출범으로 제2의 탄생, 즉 새로운 변신을 하고 있다. 7년이 넘는 오랜협상기간과 최대 협상참여국을 기록한 UR은 과거 어느때보다 광범위한 무역문제를 논의하였고 드디어 ‘경제부문의 UN’으로 지칭되는 WTO를 출범시키기에 이르렀다. 또 이러한 자유무역에 반대되는 지역주의가 심화되었는데 이는 경제통합이라는 것으로 대변된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유럽경제통합(EU) 북미경제통합(NAFTA) 아시아 지역의 경제통합(APEC)등으로 볼 수 있는데 이는 지역의 블록화로 보호무역을 추진함으로써 자국의 이익을 얻고자함에 있다.
이에 본 과제에서는 세계무역기구(WTO)의 창설과 그 의미, 구조등 WTO의 모든것과 앞으로 변화될 세계무역환경과 한국의 방향, 그리고 자유무역주의에 반대되는 지역주의와 각 경제통합에 따르는 한국의 자세및, 21세기의 세계경제를 예측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 WTO體制와 競爭的 强化方案 ·박 운서著
◉ WTO 規制하에서의 貿易分爭과 그 解決方案 에 대한 考察 ·박 종수著
◉ 변화하는 무역환경과 WTO
(경인여자 전문대학교 경인논집)
◉ WTO분쟁해결연구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등 각 신문의
1995년 1월 1일자
◉국제무역론 ·김 기흥著
◉국제지역경제 ·이 종원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