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 중 일부입니다)
본론 3. 장애인 이동권 실태
*편의시설의 실태
-저상버스 및 셔틀버스
:저상버스 서울시에 12-5번이 2대 운영중이고, 2004년 7월부터 저상버스 56대, 굴절버스 26대 운행예정
:무료셔틀버스 서울시, 강원도, 경기도 등 시,도 장애인복지관 셔틀버스 중심
*편의시설의 실태
-장애인 콜택시
:2002년 12월 1,2급 중증장애인 대상 시범운행 후 2003년 1월 1일부터 운행
현재 서울시에 100대, 수원시에 6대 운행
문제점-서울시내에서만 운행됨,수요에비해 공급이 부족함, 요금할인 및 차량유지에 정부보조가 부족
*편의시설의 실태
-장애인을 위한 엘리베이터/휠체어리프트
표6 엘리베이터 및 휠체어리프트 지하철 설치역 현황
호선 설치역
국철 응봉, 간석, 도원, 개봉, 소사, 부개, 수서, 경원대, 태평, 모란, 야탑, 서현, 초림, 백궁, 미금, 오리, 지축, 삼송, 원당, 화정 등(45개)
1호선 서울역, 시청, 종로3가, 동대문(4개)
2호선 을지로입구, 을지로3가, 을지로4가, 동대문운동장, 왕십리, 성수, 신설동, 건대입구, 강변, 성내, 잠실, 종합운동장, 강남, 사당, 신도림, 영등포구청, 충정로(17개)
3호선 종로3가, 충무로, 고속터미널, 교대, 양재, 학여울, 수서(7개)
4호선 상계, 노원, 혜와, 동대문, 동대문운동장, 충무로, 서울역, 이촌, 사당, 남태령(10개)
5호선 개화산, 김포공항, 까치산, 영등포구청, 여의도, 공덕, 동대문운동장 등(17개)
7호선 마들, 하계, 태릉입구, 상봉, 어린이대공원(5개)
8호선 암사, 강동구청, 몽촌토성, 잠실, 가락시장, 단대오거리, 모란(7개)
5. 이동권 확보를 위한 방안
*법적,제도적 측면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 증진에 관한 법률의 현실화
-활동보조인 제도의 활성화:국가 차원의 지원 확충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