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본권(1991). 지체장애아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특수교육의 실제 및 개선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편, 21세기를 향한 특수교육의 방향. 제6회 특수교육 심포 지움 자료집.
· 김광웅(1990). 정신지체 아동의 통합교육에 관한 연구. 미간행박사학위논문, 단국 대학교 대학원.
· 김동연(1991). 정서장애 및 자폐아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실제 및 방안- 토론Ⅰ. 한국특수교육학회편, 21세기를 향한 특수교육의 방향. 제6회 특수교육 심포 지움 자료집.
· 김영환(1996). 통합교육 당위성과 실제.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학과편, 통합교 육의 현황 및 과제, 제3회 이화특수교육 학술대회 자료집.
· 김정권(1997). 완전통합교육과 학교교육의 재구조화.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 김정권(1996). 21C 장애인의 사회통합 방향. 대구대학교 장애인종합연구소편. 21C 장애인의 사회통합 방향, 영광학원 설립 50주년․대구대학개교 40주년 기념 특수교육 및 재활전문가 초청 국제학술심포지움 자료집.
· 김성애(1997). 특수교육과 통합교육의 긴장관계 : 한국특수학급체제의 새로운 과 제, 전망, 그리고 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편. 제61회 한국특수교육학회 연 구발표회 자료집.
· 김윤옥(1997). 특수아동 완전통합교육을 위한 미국의 동향과 한국적 과제. 특수교 육연구, 4, 45-72.
· 박은혜(1996).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방법. 이화여자 대학교 특수교육학과편, 통합교육의 현황 및 과제, 제3회 이화특수교육 학 술대회 자료집.
· 박승희(1993). 지역사회중심 교육과정의 발달 배경과 과제. 추국희교수 정년기념 논총간행위원회 편, 특수교육 연구의 동향과 과제, 서울 : 도서출판 특수교육.
· 박승희(1994a). 일반학급의 비장애학생과 특수학급의 장애학생과의 사회적 관계 에 대한 일 분석 : 통합교육을 통한 비장애학생의 긍정적 경험. 특수교육 논총, 11, 95-126.
· 박승희(1994b). 통합교육의 여건 조성. 한국특수교육학회 제9회 심포지움 자료집.
· 박승희(1996).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특수교육 교사 역할의 확립.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학과편, 통합교육의 현황 및 과제, 제3회 이화특수교육 학술대회 자료집.
· 서경희(1995). 취학전 단계에서의 통합교육의 과제와 대책-토론Ⅱ. 특수교육학회 지, 16(2), 69-72.
· 손상희(1998). 통합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태도 분석. 특수교육연구, 5, 101-116.
· 유장순․권주석 (1995). 특수학급 학생과 일반 학생의 사회적 관계 연구. 대구재 활연구, 6, 7-32.
· 윤점룡(1991). 정서장애 및 자폐아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실제 및 방안. 한국특수 교육학회편, 21세기를 향한 특수교육의 방향. 제6회 특수교육 심포지움 자 료집.
· 윤점룡(1995). 취학전 단계에서의 통합교육의 과제와 대책. 특수교육학회지, 16 (2), 49-63.
· 이소현(1996). 장애아동의 사회적 통합 : 일반학급 교사들을 위한 제언. 이화여자 대학교 특수교육학과편, 통합교육의 현황 및 과제, 제3회 이화특수교육 학 술대회 자료집.
· 이창미(1996). 우리끼리 통해요 : 곡교어린이집 사례를 중심으로 한 장애영유아 통합보육 프로그램.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학과편, 통합교육의 현황 및 과제, 제3회 이화특수교육 학술대회 자료집.
· 이효신(1998).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교육동향에 관한 고찰. 정서․학습장애연 구, 14(1), 65-86.
· 이효신․조인수․이은주(1998). 중증장애아동을 위한 지역사회 중심의 교수법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편. 특수교육 및 재활의 동향과 전망, 제16회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국제학술심포 지움 자료집.
· 조광순․정봉도(1998). 장애유아의 통합을 위한 교육과정과 교수방법에 관한 교 원 발달프로그램 추수평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편. 특수 교육 및 재활의 동향과 전망, 제16회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소 국제학술심포지움 자료집.
· 추국희(1991). 21세기를 향한 특수교육의 방향. 한국특수교육학회편, 21세기를 향 한 특수교육의 방향. 제6회 특수교육 심포지움 자료집.
· 황용길(1998). The void of knowledge transfer in the American special education system (미국의 경도장애아동 특수교육의 실패와 그 원인의 분석). 특수교 육연구, 5, 117-128.
· Aveno, A.(1987). A survey of leisure activities engaged in by adults who are severly retarded living in different residence and community types.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22, 121-127.
· Baumgarten, D., & Vanwelleghem, J.(1986). Staffing strategies for implementing community-based instruction.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the Severely Handicapped, 11, 92-102.
· Begemann, E.(1999). Gesellschaftliche integration behinderter menschen erfordert eine solidarische kultur(장애인의 사회통합은 연대적인 문화를 필요로 한 다). 대구재활연구, 6, 109-120.
· Bronfenbrenner, U.(1977). Toward an experimental ecology of human develop -ment. American Psychologist, 32, 513-531.
· Bronfenbrenner, U.(1989). Ecological systems theory. In R. Vasta (Ed.), Annals of Child Development (Vol. 6, pp. 187-249). Greenwich, CT: JAI Press.
· Browder, D. M., Snell, M. E., & Wildonger, B. A.(1988). Simulation and community-based instruction of vending machines with time delay.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23, 175-185.
· Brown, L., Pumpian, J., Baumgart, D., Vandeventer, P., Ford, A., Nisbet, J., Schroeder, J., & Gruenewald, L(1981). Longitudinal transition plans in programs for severely handicapped students. Exceptional Children, 47, 624-630.
· Brown, L., Branston, M. B., Hamre-Nietupski, S., Pumpian, I., Certo, N., & Gruenewald, L.(1979). A strategy for developing chronologically age- appropriate and functional curricular content for severely handicapped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13, 81-90.
· Bryan, T.(1991). Social problems and learning disabilities. In B. Y. L. Wong (Ed), Learning about Learning Disabilities (pp. 195-229). San Diego : Acade -mic Press.
· Dever, R. B.(1989). A taxonomy of community living skills. Exceptional Children, 55, 395-404.
· Falvey, M. A.(1986). Community based Curriculum :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Severe Handicaps. Baltimore, MD: Paul H. Brookes.
· Feragon, S., Wheeler, J., Brankin, G., McDaniel, K., Costello, D., & Peter, W. M.(1992). Curricular Process for the School and community Integration of Severely Handicapped Students Aged 6 throuth 21. Dekalb, IL :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and Dekalb County Special Education Association.
· Guralnick, M. J.(1992). Mainstreaming young handicapped children. In B. Spodek
· (Ed.), Handbook of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 465), Macmillan Publishing Co.
· Hallahan, D. P., & Kauffman, J. M.(1995). Exceptional Children -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sixth edition). Boston, Mass: Allyn and Bacon.
· Hamre-Nietupski, S., Nietupski, J., Bates, P., & Maurer, S.(1982). Implimenting a community based educational model for moderately/severely handicapp -ed students : Common problems and suggested solution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the Severely Handicapped, 7, 38-43.
· Haring, T. G., kennedy, C. H., Adams, M. J., & Pitts-Conway, V.(1987). Teaching generalization of purchasing skills across community settings to autistic youth using videotape modelling.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20, 89-96.
· Kavale, K. A., & Forness, S. R.(1999). Effectiveness of special education. In C. R. Reynolds, & T. B. Gutkin (Eds.), The Handbook of School Psycho -logy (pp. 984-1024). New York : Wiley.
· LaGreca, A. M., & Vaughn, S.(1992). Social functioning of individuals with lear -ning disabilities. School Psychology Review, 21, 340-347.
· McDonnell, J., & Hardman, M.(1985). Planning the transition of severely hand -icapped youth from school to adult services : A framework for high school programs.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Mentally Retarded, 22, 275-285.
· Meyer, D., & Kohl, F. L.(1985). Teaching domestic living skills to severely handicapped students in the natural environments.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18, 38-45.
· Meyer, J., & Nastasi, B. K.(1999). Primary prevention in school settings. In C. R. Reynolds, & T. B. Gutkin (Eds.), The Handbook of School Psycho -logy (pp. 764-799). New York : Wiley.
· Pearl, R.(1992).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learning disabled students. In N. N. Singh & I. L. Beale (Eds.), Learning Disabilities: Nature, Theory, and Treatment (pp. 96-125). San Diego : Academic Press.
· Peck, C. A., Donaldson, J., Pezzoli, M.(1990). Some benefits nonhandicapped adolescents perceive for themselves form their social relationships with peers who have severe handicaps. The Journal of Persons with Sever Handicaps, 15(4), 241-249.
· Reynolds, C. R., & Gutkin, T. B.(1999). The Handbook of School Psychology. New York : Wiley.
· Schumaker, J. B., & Hazel, J. S.(1988). Social skills and learning disabilities : Current issue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J. Kavanagh & T. Truss (Eds.), Learning Disabilities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conference (pp. 293-344). Parkton, MD : York Press.
· Van Biervliet, A., & Van Biervliet, P. (1983). Community-based educational planning for severely handicapped students : An expanding role for teachers. Exceptional Children, 30, 111-118.
· Wehman, P., & Hill, J.(1985). Transition Form School to Work. Ve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Richmond Rehabilitation Research and training Center.
· Wheeler, J., Ford, T., Nietupski, S., Loomis, R., & Brown, L.(1992). Instructional scheduling systems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S. Feragon, J. Wheeler, G. Brankin, K. McDaniel, D. Costello, & W. M. Peter, Curricular Process for the School and community Integration of Severely Handicapped Students Aged 6 throuth 21. Dekalb, IL :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and Dekalb County Special Education Association.
· Williams, M., Fox, T., & Thousand, R.(1990). Intergration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 Potential teacher liability in community based program.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10, 2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