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장애인]장애인 직업재활사업의 문제와 개선방향

장애인 직업재활사업의 문제와 개선방향
17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6.04.14 최종저작일 2001.06
17P 미리보기
[장애인]장애인 직업재활사업의 문제와 개선방향
  • 미리보기

    소개

    장애인 직업재활사업의 문제와 개선방향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의 방법 및 제한점

    Ⅲ. 현황 및 문제점
    1. 직업재활의 변화추이 및 실태
    2. 직업재활기금사업에 따른 서비스 실태
    3. 시민권(citizenship) 증대에 따른 서비스 실태

    Ⅳ. 개선방향
    1. 다양한 직업재활프로그램 개발
    2. 지역사회재활프로그램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3. 직업재활법 제53조의 특례조항의 개선이 필요하다.
    4. 지역사회의 직업재활사업을 위한 효율적인 연계망이 구축되어야 한다.
    5. 서비스 실시기관별 사업을 명확히 하고 전문화해야 한다.
    6. 기관의 책임성 확보를 위한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7. 전문요원들의 전문성과 윤리성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Ⅴ. 요 약

    본문내용

    보건복지부는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개정과 관련하여 일반회계 예산에서의 직업재활사업에서 보다 확대된 직업재활기금사업을 추진하여 전국적으로 직업재활센터 35개소, 전문직업평가센터 4개소, 작업활동시설 24개소, 직업훈련시설 9개소, 보호작업시설 42개소, 장애인복지단체 25개소를 선정하여 보다 전문적인 직업재활사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직업재활 연구 및 홍보사업 단체를 1개씩 지정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로서 국내외 장애인 직업재활사업의 경향 및 직업재활기금사업 수행과 관련된 각종 통계자료와 계획(안)을 활용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여 제한점을 가질 수밖에 없으나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개선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수는 증가하고 욕구는 다양화되어 가고 있는데 직업재활실시기관들은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어 이를 위한 적극적인 프로그램개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직업재활실시기관들이 아직 시설중심의 서비스를 함으로써 서비스가 제한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재활프로그램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셋째, 전달체계의 혼선으로 보건복지부 직업재활기금사업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직업재활법 제53조(사업계획 및 예산안 작성의 특례)의 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일선 서비스 실시기관들이 중복서비스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직업재활센터를 중심으로 한 효율적인 연계망 구축이 시급하다.
    다섯째, 직업재활서비스의 제공기관이 다양하게 분산됨으로 일반화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서비스 실시기관별로 그 기능과 역할을 분명히 하여 보다 전문화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기관의 책임성에 대한 욕구는 증대하고 있는데 이를 위한 대안이 없다. 이를 위해 책임성 확보를 위한 고객의 참여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직업재활실시기관의 요원에 대한 전문성과 윤리성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참고자료

    · 강위영․나운환(2001). 직업재활개론, 도서출판 나눔의 집.
    · 나운환(2001). 직업재활기금사업지침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보건복지부(2001). 2000년도 장애인실태조사결과, 보건복지부.
    · Barnes, C., Mercer, G., & Shakespeare, T.(1999). Exploring disability : A Sociological introduction, Polity Press.
    · Chemerinsky, E.(1999). Unfulfilled promise : The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Trial, 35(9).
    · Ford, L., & Sweet, E.(1999). Job placement and rehabilitation counselors in the state-federal system, Rehabilitation Counseling Bulletin, 42.
    · Jenkins, W., & Strauser, D.(1999). Horizontal expansion of the role of the rehabilitation counselor, Journal of Rehabilitation, 65(1).
    · Rubin, S. E., & Rossler, R. T.(2001). Foundations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cess(5th ed.), Austin, TX: Pro-ed.
    · Schneider, M.(1999). Achieving greater independence through assistive technology, Job Accommodation and Supported Employment,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12(2).
    · Szymanski, E. M., Hershenson, D. B., & Power, P. W.(1988). Enabling the family in supporting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In P. W. Power, A. Dell orto & M. B. Gibbons(Eds.), Family Interventions throughout Chronic Illness and Disability, NY : Springer.
    · Thomas, K. R., & McGinnis, J. D.(1991). The psychoanalytic theories of D. W. Winnicott as applied to rehabilitation. Journal of Rehabilitation, 57(3).
    · Tymchuk, A. J.(1982). Strategies for resolving value dilemmas, American Behavior Scientist, 26.
    · Webster`s ninth new collegiate dictionary.(1995). Springfield, MA : Merrian-Webster.
    · Wehman, P., Kregel, J., & Barcus, J. M.(1985). From school to work : A Vocational Transition Model for Handicapped Students. Exceptional Children, 52(1), 25-38.
    · Wehman, P., Moon, M. S., Everson, J. M., Wood, W., & Barcus, J. M.(1988).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 New Challenges for Youth with Severe Disabilities, Baltimore : Brookes.
    · Will, M. C.(1984). OSERS programming for the transition of youth with disabilities, Bridges from school to working life, Washington, DC : Office of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Services. U. S. Dept. of Education.
    · Wolfensberger & Thomas.(1983). Program analysis of services systems in plementation of normalization goals, University Park Press.
    · Wright, G. N.(1980). Total rehabilitation. Boston: Little Brown & Company, Inc.
  • 자료후기

    Ai 리뷰
    구매한 자료가 제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판매자의 자료는 다음에도 다시 이용하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