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장애인]발달장애인의 지원고용을 위한 프로그램의 모델과 전략에 관한 연구

발달장애인의 지원고용을 위한 프로그램의 모델과 전략에 관한 연구
29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6.02.20 최종저작일 2002.12
29P 미리보기
[장애인]발달장애인의 지원고용을 위한 프로그램의 모델과 전략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소개

    발달장애인의 지원고용을 위한 프로그램의 모델과 전략에 관한 연구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의의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방법

    Ⅱ. 지원고용프로그램의 개념 및 모델
    1. 지원고용의 개념과 과정
    1) 지원고용의 개념
    2) 지원고용의 단계
    2. 지원고용의 모델
    1) 개별배치모델
    2) 소집단 현장통합훈련 모델
    3) 이동작업단 모델
    4) 하청업 모델
    5) 전환기고용 모델

    Ⅲ. 장애유형별 특성과 지원고용에 대한 시사점
    1. 자폐인의 지원고용
    1) 자폐인의 인지 및 행동특성
    2) 자폐인을 위한 지원고용 모델의 단계
    2. 뇌손상인의 지원고용
    1) 외상성 뇌손상인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3. 정신지체인의 지원고용
    1) 정신지체인의 특성
    2) 지원고용에 대한 시사점

    Ⅳ. 지원고용을 위한 전략
    1. 프로그램 운영전략
    1) 평등한 기회제공
    2) 공정한 임금
    3) 지원구조
    4) 통합
    2. 효율적인 고용전략
    1) 기관의 책임규정
    2) 예산과 협력규정
    3) 실행과정 규정
    4) 자원활용의 융통성
    5) 프로그램 실시에 관한 자료의 수집, 보고 및 검토

    Ⅴ. 요약 및 결론

    본문내용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의 지원고용을 위한 프로그램의 모델과 전략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달장애인의 지원고용과 관련된 문헌을 조사하였다. 첫째, 지원고용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시하였고, 둘째, 자폐인, 뇌손상인, 정신지체인의 지원고용에 대한 시사점 및 전략에 대해 언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원고용프로그램 모델중 어느 모델이 가장 좋은가를 찾으려고 하기보다는 지역사회의 특성을 고려할 때 특정장애인에게 어느 모델이 가장 적합한가를 탐색해야 하며, 특정모델에 의존하기보다는 여러 가지 모델을 종합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지원고용을 위한 모델 개발을 위해서는 재활대상자에게 평등한 고용기회를 제공하고, 합리적인 임금을 지불할 수 있는 직장의 제공과 안정되고 통합된 고용기회를 마련할 지원구조의 체계가 중요하며 일반인들과 통합된 고용기회의 제공이 필수 불가결한 과제들이다.
    셋째, 지원고용을 위한 체계적인 전략으로서는 재활기관의 책임규정, 예산과 협력규정, 실행과 정의 규정, 자원활용의 융통성, 프로그램 실시에 관한 자료의 수립, 보고 및 검토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Ⅰ. 서 론


    1. 연구의 의의

    장애인의 직업재활은 그들이 지니고 있는 잔존능력을 개발하고 결함을 지닌 영역을 보완할 수 있는 보상능력을 발달시켜서 자립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다. 인간은 평등하게 태어났다는 말은 평등한 기회를 보장받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관점은 장애인의 직업분야에서도 예외일 수는 없다.
    지원고용이란 공공기금의 지원을 받는 통합된 환경에 배치되어 일정한 임금을 받으며 직업활동을 계속하는 것을 말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경쟁적 노동과 통합된 작업환경속에서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 가지 요인을 내포하고 있다. 지원고용프로그램은 고용기간동안 집중적이고도 지속적인 지원을 받지 않고서는 독자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없는 정신지체인을 비롯한 발달장애인, 중증 외상성 뇌손상인, 만성정신장애인, 신체장애인 등을 대상으로 삼고 있다(조인수, 1997).

    참고자료

    · 박희찬, 김은영, 김선옥, 유병주(1994). 장애인직업 : 정신지체인을 위한 직 업프로그램의 구성과 적용. 서울 : 인간과 복지.
    · 오승길(역)(1994). 발달장애인을 위한 지원고용 지침서.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 조인수(1993). 정신지체인과 뇌손상인의 지원고용을 위한 프로그램 구상과 전략. 직업재활연구 제3집. 한국직업재활학회.
    · 조인수(1994). 중증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위한 지원고용 프로그램의 관리와 평가. 직업재활연구 제4집. 한국직업재활학회.
    · 조인수(1997). 자폐인의 지원고용 대책에 관한 연구. 직업재활연구 제6집. 한국직업재활학회.
    · 조인수(1997). 중증장애인의 지원고용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과 방략. 직업 재활연구 제7집. 한국직업재활학회.
    · Bellamy, G. T., Rhodes, L. E., Mank, D. M., & Albin, J. M. (1988). Suppoted Employment : A Community Implementation Guide. Baltimore :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 Ben-Yishay, Y., Silver, S. M., Piasetsky, E., & Rattok, J.(1987). Relationship
    · between employability and vocational outcome after intensive holistic cognitive rehabilitation. Journal of head Trauma Rehabilitation. 2.
    · Boles, S. M., Bellamy, G. T., Horner, R. H., & Mank, D. M.(1984). Specialized training program: The structured employment model. In S.C. Paine, G. T. Bellamy, & B. Wilcox(Eds.). Human services that work : From innovation to standard practice. Baltimore : Paul H.Brookes Publishing Co.
    · Bourbeau, P. E.(1985). Mobile work crews: An approach to achieve long-
    · term supported employment. In P. McCarthy. J. Everson. S. Moon, & M. Barcus(Eds.). School to work transition for youth with severe dis-
    · abilities. Richmond :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Rehabilitation
    · Research and Training Center.
    · DePoint, B., Noren, L., & Lavin, D.(1990). Tools of the trade: A hand-on training program for supported employment personel. Minneapolis, Minn : Rise, Inc.
    · Donnellan, A. M., LaVigna, G. W., Zambito, J., & Thvedt. J.(1985). A time-
    · limited intensive program model to support community placement for persons with severe behavior problems. Journal of Association the for Persons with Severe Handicaps, 10(3).
    · Faye, W., & Schuler, A. L.(1980). Emerging language in autistic children. Baltimore : University Park Press.
    · Greenspan, S., & Shoultz, B.(1981). Why mentally retarded adults lose their jobs : Social competence as a factor in work adjustment. Applied Research in Mental Retardation. 2, 23-38.
    · Hagner, D., Nisbet, J., Callahan, M., & Moseley, C.(1987). Payment mechanisms for community employment: Realities and recommenda -tions.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Persons with Sevre Handicaps. 12(1). 45-52.
    · Hill, M., Cleveland, P., Pendleton, P., & Wehman, P.(1982). Strategies in
    · the follow-up of moderately and severely handicapped competitive -ly employed workers. In P. Wehman & M. Hill (Eds.). Vocational training and placement of severely disabled persons(Project Employability. Vol, 3.). Richmond :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 Mank, D.M., Phodes, L. E., & Bellamy. G. T.(1986). Four supported employ -ment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ltimore :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129-153.
    · O`Bryan, A.(1985). The STP Benchwork model. In P. McCarthy. J.M. Everson. M.S. Moon. & J. M. Barcus(Eds.). School-to-work transition for youth with severe disabilities. Richmond :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Project Transition into Employment, Rehabilitation Research and Training Center. 183-194.
    · Rehab Brief.(1986). Supported Employment, 10(1). Washington. DC : U.S. De partment of Education, National Institute on Disability and Rehabili -tation Research. Office of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ve Services.
    · Wehman, P. & Moon, M. S.(1988).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supported Employment. Baltimore :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 Wehman, P., & Moon, M. S.(1987). Vocational Rehabilitation. Baltmore : Paul H, Brooks Publishing Co.
    · Wing, L.(1978). Social, behavior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An epid -emiological approach. In M. Rutter & E. Schopler(Eds.). Autism : A Reappraisal of concepts and Treatment. New York: pleunem. 27-45.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