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장애인]절단장애인의 의지에 대한 평가와 고려사항에 대한 문헌 고찰

절단장애인의 의지에 대한 평가와 고려사항에 대한 문헌 고찰
22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6.02.20 최종저작일 2002.12
22P 미리보기
[장애인]절단장애인의 의지에 대한 평가와 고려사항에 대한 문헌 고찰
  • 미리보기

    소개

    절단장애인의 의지에 대한 평가와 고려사항에 대한 문헌 고찰

    목차

    I. 서 론

    II. 본 론
    1. 절단의 종류
    1) 절단의 원인
    2) 상지절단의 종류
    3) 하지절단의 종류
    4) 특수한 절단
    2. 절단단(stump)의 관리
    1) 상처치유(wound healing)
    2) 수술 후 즉각적인 임시의지 착용(Immediate Postoperative Fit ; IPOF or early-fit prosthetic device)
    3) 관절가동범위(range of motion) 운동
    4) 감각도(sensibility)
    3. 상지의지
    1) 상지의지의 종류
    2) 절단장애인의 특성의 평가
    3) 상지의지 디자인의 선택
    4) 상지의지 부품의 고려사항
    4. 하지의지
    1) 하지의지의 종류
    2) 보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
    3) 절단장애인의 평가시 가장 기본적인 평가사항
    4) 절단장애인에 대한 기능적 보행평가
    5) 절단장애인의 비대칭 보행
    6) 절단장애인의 시공간적 보행측정
    7) 절단장애인의 운동형상학적 및 운동역학적 보행측정

    III. 결 론

    본문내용

    본 연구는 절단장애인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위해 절단수술의 역사와 종류, 절단의 원인, 절단단의 관리, 그리고 의지의 종류를 상지와 하지절단으로 나누어 조사하였으며, 이에 따른 의지의 선택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살펴보았다. 아직까지 우리 나라의 경우 절단과 이에 적합한 의지의 선택시 이를 위한 정확한 평가와 고려사항에 대한 연구와 기초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선진국의 재활과정에서 일어나는 평가와 의지의 고려사항에 대해 알아보았다. 상지절단장애인을 위해서는 일상생활동작과 관련된 기능적인 측면에서, 상지의지를 선택할 경우 부품의 고려사항을 알아보았으며, 하지절단장애인의 경우에서는 보행을 위주로 평가사항과 평가시 고려사항, 평가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I. 서 론


    절단(amputation)이란 외상이나 수술에 의해 또는 선천적 골격계 질환으로 야기되는 사지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실된 신체의 상태를 말하며, 생명에 위협이 있거나 활동에 심각한 제한이 있을 경우에 생명유지와 기능향상을 위하여 시행한다. 절단된 사지의 기능 및 외관을 위해 남아있는 신체부분에 착용하여 절단된 사지를 대신하는 것이 의지(prostheses)이다(Houghton et al., 1992 ; Kottke et al., 1982). 의지는 절단장애인에게 신체기능상의 장애를 경감 또는 완화시켜줌으로써 다음의 재활과정인 교육적, 직업적, 사회심리적 재활을 보다 용이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며, 소실된 신체의 일부로서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을 가능하게 해주어 최대한으로 독립적인 생활을 하도록 해주는 것이다(한국장애인복지체육회, 1998). 또한 의지는 절단된 절단인에게 적용되는 인공적인 하지를 말하며, 크게 상지의지와 하지의지로 분류되고, 절단레벨에 따라 소분류된다(Shurr와 Cook, 1990).
    초기의 절단은 출혈과다와 패혈증에 의한 쇼크로 인하여 거의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다. 설사 수술한 후 생존하더라도 수술 후에 감염이나 괴저로 사망하였다. 수술시 절단되고 남은 신체부위의 모양보다 수술의 시간이 더 강조되었다. 19세기 중반부터 소독법과 마취제가 사용되면서 절단수술동안 특별한 수술적 기술, 조직보호, 그리고 수술후 관리에 초점을 두기 시작했다. 역사적 기록에 의하면, 최초의 절단은 BC 484년 Hegesistratus가 자신의 발목을 잘라내고 탈출한 것이며, 나무를 사용하여 직접 만든 의지를 사용하여 기능을 개선하였다고 되어있다. 15세기 기록에 의하면 기사들이 그들의 검을 쥐기 위해 철로 만든 인공 손을 사용하였다고 한다(May, 1996).

    참고자료

    · 김유철, 박창일, 신정순(1990). 우리 나라 절단자에 대한 재활의학적 고찰, 최신의학, 33(4), 35-46.
    · 김혜원, 강세윤, 고영진, 구명회(1995). 사지절단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 재 활의학회지, 19(1), 97-102.
    · 한국장애인복지체육회(1998). 재활보조기구 품목고시에 관한 연구.
    · Bowker, J. H., & Michael, J. W.(1992). Atlas of limb prosthetics, Mosby Year Book.
    · Craik, R. L., & Oatis, C. A.(1995). Gait analysis : Theory and application. Mosby Year Book.
    · Eberhart, H. D., & Inman, V. T.(1951). An evaluation of experimental procedures used in a fundamental study of human locomotion, Annals of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5, 1213-1228.
    · Engsberg, J. R., Tedford, K. G., & Harder, J. A.(1992). Center of mass location and segment angular orientation of below-knee amputee and able-bodied children during walking",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3, 1163-1168.
    · Fess, E. E., & Philips, C. A.(1987). Hand splinting principles and methods, C. V. Mosby Co.
    · Fisher, S. V., & Gollickson, G.(1978). Energy cost of ambulation in health and disability : A literature review,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59, 124-133.
    · Gage, J. R., & Hicks, R.(1985). Gait analysis in prosthetics, Clinical Prosthetics and Orthotics, 9(3), 17-22.
    · Gailey, R. S.(1996). One step ahead : An integrated approach to lower extremity prosthetics and amputee rehabilitation. Advanced Rehabilitation Therapy.
    · Hannah, R. E., & Morrison, J. B.(1984). Prostheses alignment : Effect on the gait of persons with below-knee amputation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65, 159-162.
    · Houghton, A. D., Taylor, P. R., Thurlow, S.(1992). Success rates for rehabilitation of vascular amputee : implications for preoperative assessment and amputation, British Journal of Surgery, 79, 753-755.
    · Inman, V. T., Ralston, H. J., & Todd, F.(1981). Human walking, Williams & Wilkins.
    · Jacobs, R. R., & Brady, W. M.(1975). Early post-surgical fitting in upper extremity amputations, Journal of Truma, 15(22), 966-968.
    · Kerstein, M. D., Zimmer, H., Dugdale, F. E., & Lerner, E.(1974). Amputation of the lower extremity : A study of 194 cas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55, 454-459.
    · Kottke, F. J., Stillwell, G. K., & Lehmann, J. F.(1982). Krusen`s handbook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W.B. Saunders Co.
    · Laaperi, T., Pohjolainen, T., Alaranta, H., Karkkainen, M.(1993). Lower-limb amputations, Annales Chirurgiae Gynaecologiae, 82, 183-187.
    · May, B. J.(1996). Amputation and prosthetics, F.A. Davis Co.
    · Nader, M., & Nader, H. G.(1994). Otto Bock prosthetic compendium, Schiele & Schon Co.
    · Nelson, A. J.(1974). Functional ambulation profile, Physical Therapy, 54(10), 1059-1065.
    · Nissen, S. J., & Newman, W. P.(1992). Factors influencing reintegration to normal living after amputa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3, 548-551.
    · Olney, S. J., Elkin, N. D., Lowe, P. J., et al.(1979). An ambulation profile for clinical gait evaluation, Physiotherapy Canada, 31, 85-90.
    · Radcliffe, C. W.(1962). The biomechanics of below-knee prostheses in normal, level, bipedal walking, Artificial Limb, 6(2), 16-24.
    · Shurr, D. G., & Cook, T. M.(1990). Prosthetics and orthotics, Appleton & Lange.
    · Skinner, H. B., & Effeney, D. J.(1985). Special review gait analysis in amputee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64(2), 82-89.
    · Tinetti, M. E.(1986). Performance-oriented assessment of mobility problems in elderly patien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t, 34(2), 119-126.
    · Walker, C. R. C., Ingram, M. G., Hullen, M. G., et al.(1994). Lower limb amputation following injury : A survey of long-term functional outcome, Injury, 25, 387-392.
    · Weaver, S. A., Lange, L. R., & Vogts, V. M.(1986). Comparison of myoelectric and conventional prosthesis in adolescent amputees. Hospitals for Crippled Children.
    · Whittle, M. W.(1990). Gait analysis, an introduction. Butterworth Heinemann.
    · Winter, D. A.(1990). Biomechanics and motor control of human movement. John Wiley & Sons, Inc.
    · Winter, D. A.(1985). Concerning the scientific basis for the diagnosis of pathological gait and for rehabilitation protocols, Physiotherapy Canada, 37(4), 245-252.
    · Winter, D. A., & Sienko, S. E.(1988). Biomechanics of below-knee amputee gait, Journal of Biomechanics, 21(5), 361-367.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정보가 풍부하고, 내용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어 과제를 작성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