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남국(1999). 여가사회의 이해. 서울 : 형설출판사.
· 고기환, 전혜자, 김동원, 성낙민(1998). 야외활동. 서울 : 도서출판 바탕.
· 김기홍(2002). 장애인의 체육활동 및 지도방안. 성모자애 뜨락 p20.
· 김송석(2000). 특수학교 캠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 구 논문
· 김오중(2000). 여가,레크리에이션 총론. 서울 : 도서출판 대경북스 p54.
· 김효윤(1997). 레포츠 가이드. 서울 : 오성출판사.
· 김삼섭, 김송석, 김정주, 정해동(1998). 장애학생을 위한 사회적응 훈련프로 그램. 서울 : (주) 이문기업.
· 김상덕(2000). 열기구 원리와 역사 및 레저스포츠의 활용. 단국대학교 특수 교육연구소 연수교재.
· 김선희(1997). 정신지체학생의 장애정도와 학년수준에 따른 생활기술별 교 수 필요성에 관한 교사의 견해조사. 이화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단대신문(2002. 10. 8.). 사이버 스페이스. 문화기획 9면 박스 기사.
· 대한적십자사(1990). 장애자를 위한 수영. 대한적십자사.
· 문화관광부(1999). 장애청소년의 실태 및 지원정책 개발. 서울 : 문영사.
· 박승희, 김수연(2000). 장애학생을 위한 여가교육의 개념화와 지역사회중심 의 여가교수. 특수교육학 연구 35(3).
· 박원희(2002). 중도,중복장애인 여가활동 프로그램의 방향. 중앙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 논문.
· 박흥식(1997). 놀 테크. 서울 : 도서출판 그린 비.
· 배융호(2002). 장애인의 여가와 레저. 국립특수교육원. 현장특수교육 p39-40.
· 오선균(1989). 맹자교육 사상연구-성선설과인의의교육관을 중심으로. 한양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희수, 백은순, 최돈민, 오혁진(2001). 평생학습체제 종합 발전 방안(Ⅱ). 한국교육개발원.
· 임성만(2002). 우리 나라 정신지체인의 자립생활 적용방안에 관한 제안. 함 께 걷는 길벗회. 발달장애아 어머니대학 연수교재 .
· 전국재, 우영숙(1998). 야외 집단활동 지도론. 서울 : 예영 커뮤니케이션.
· 정진모(1998). 캠프활동을 통한 지체부자유 청소년의 사회,심리적 재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장애인복지신문(2002. 1. 11.).
· 조선일보(2002. 4. 17) 40판 보도.
· 조선일보(2002. 10. 11) 40판 보도.
· 진성민(1999). 동강에는 굽이마다 생명이 흐른다. 서울 : 도서출판 다른 세상.
· 하기노 고우기(2001). 동서문화의 융합과 일본의 복지. 단국대학교특수교육 연구소.
· 한광일(1999). 최신레포츠 백과. 경기 : 도서출판 솔바람.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애인복지팀(2001). 2000년도 장애인실태조사 결과보고.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한성균(1998). 캠프. 서울 : 보이스사.
· 한준상(2001). 학습학. 서울 : 학지사.
· Dewey, J.(1931). Context and thought, In J. Dewey, The later works, 1925 ~1953, Vol. Ⅵ, Carbondale: Illinois Univ. Press.
· G. Bammel et al, Leisure and Human Behavior(iowa : Wm. C. Brown Company Publishers, 1982) p.33.
· Halpern, A. S.(1985). Transition : A look at the foundations, Exceptional Children, 51(6), 479-486.
· Hamre-Nietupski, S., Nietupski, J., Krajewski, L., Maravec, J., Riehle, R., McDonald, J., Sensor, K., Cantine-Stull, P.(1992). Enhancing integra -tion during the summer : Combined educational and community recreation options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tion, 68-74.
· Hoover, J. H., Wheeler, J. J., & Reetz, L. J.(1992). Development of leisure satisfaction scale for use with adolescent and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Initial findings, Education and Training in Mental Retarda -tion, June, 153-160.
· Hughes, C., Hwang, B., Kim, J. H., Eisenman, L. T., & Killian, D.J. (1995). Quality of life in applied research : A review and analysis of empirical measure, American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99(6).
· Kopp, C. B.(1982). Antecedents of self-regulation : A developmental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18(2), 199-214.
· Moon, M. S.(1994), Making school and community recreation fun for everyone places and ways to integrate, Baltimore : Paul. H. Brookes.
· Nerney, T.& Shumway, T.(1996). Beyond managed care : Self-determin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Concord, NH : Institute on Disability, University of New Hampshire.
· Ray,M.T, Chleien, S.T, Larson, A, Rutten,T, & Slick,C.(1986). Integrating persongs with disabilities into community leisure environments. Journal of Expanding Horizons in Therupeutic Recreation, 1, 45-55.
· Rogers, C.(1969). Freedom to learn, Westerville, OH : Merrill.
· Sandys, J., & Leaker, D.(1987), The impact of integrated employment on leisure lifestyles, Journal of Leisurability, 13(4), 65-72.
· Schleien, S. J., Green, P., & Heyne, L. A.(1993), Integrated community recreation, In M. E. Snell, Instruction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 -lities(4th.), New York: MacMillian, pp.526-555.
· The Arc(2000). Self-determination, Silver Spring, MD.
·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2000). Olmstead decision : Assuring access to community living for the disabled, Washington, DC : Author.
· Whiteman, T. L.(1990). Self-regulation and mental retardation, American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94(4).
· Wlodkowski, R. J.(1986), Motivation and Teaching, Washington D.C : NEA Professional Libr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