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상징주의
1-1. 상징주의 (Symbolism) 의 전개.
상징주의는 1880년대 프랑스 상징주의 시의 영향으로 시작되었다. 일반적으로 상징주의는 고답파의 객관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났고, 분석에 의하여 포착할 수 없는 주관적 정서의 시적 정착을 목표로한다. 그러나 A.티보데는 고답파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롱사르로부터 위고에 이르기까지 프랑스시 전반에 대해서 상징파는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켰다고 풀이하였다. 티보데가 말하는 상징파의 새로운 바람이란 다음의 세 가지 점이다.
a)자유시: 그 시작은 민중적인 노래의 형태를 필요에 따라 채용한 랭보의 《지옥의 계 절》이다. 이에 대해 의식적 ․계통적으로 자유시를 발전시킨 것은G.캉이었다. 이후 프랑스의 시인은 정형을 채용하는 자와 자유시 형태를 쓰는 자의 두 갈래 로 나누어졌다.
b) 순수시: ‘음악에서 그 부를 빼앗는다’라는 말라르메의 말로 요약되는 순수시의 개념은 상징파에서 비롯된다.(이 경우의 음악은 주로 바그너의 음악이다.) 시 속에서 산문적 요소를 배제하고 순수하게 시적인 것을 찾으려는 의식적 노력은 바그너 의 영향 아래 말라르메에서 시작되어 발레리에서 완성되었다.
c) 문학적 혁신과 발전의 개념: 상징파는 처음으로 젊은 세대에게 전세대의 문학개념을 부 정하는 권리와 의무를 인정했다. 전위(아방가르드)의 개념이 탄생한 이후 문학 은 전통적 문학과 전위문학으로 나누어졌고 유파의 수도 늘었으며, 선언이 유 행하게 되었다.
이상이 티보데가 말하는 상징주의의 특징인데 이 경우, 순수한 문학사적 의미에서 상징주의는 1890년에 전성기에 달했고 1902년에 종지부를 찍은, 대략 15년간에 걸친 일군의 시인들의 활동을 지칭한다. 즉,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시인들이다. G.캉, J.라포르그, A.사맹, F.잠, E.뒤자르댕 등등.. 외국인으로서 여기에 호응한 사람은 벨기에의 조르지 로당바크, E.베르아렝 등이며, 앙리 드 레니에, 장 모레아스는 일시적인 상징파 동지였다. 또한 상징파 비평가로는 레미 드 구르몽을 들 수 있다. 티보데는 말라르메, 베를렌, 랭보, 코르 비에르, 로트레아몽을 상징파의 선구자로 보았으며 발레리를 그 후계자로 보았는데, 만일 이 해석이 옳다면 상징파는 선구자와 후계자에 필적할 만한 대시인이 없다는 결과가 된다. 그러므로 말라르메를 비롯하여 티보데가 말하는, 선구자를 포함한 상징주의적 시인들이 활약한 15년간이라는 운동기간을 떠나, 좀더 넓게 상징주의를 문제삼을 필요가 있다. 즉, 보들레르를 선구자로 말라르메, 베를렌, 랭보에 의하여 전개되었으며 발레리, 잠, 클로델에게 계승되어 마침내 완성된 시적세계와 그 이론을 생각하게 된다. 보들레르는 하나의 시적 혁명을 일으켰다 하겠다. 이는 첫째로 그 의식적 방법에서, 이윽고 이것은 말라르메를 탄생시켜야 했고, 둘째로 원죄의식에서 베를렌을 탄생시켰다. 그리고 셋째로 그 감수성과 대응의 이론에서, 이것은 마침내 랭보를 탄생시켰다. 또한 말라르메와 발레리, 베를렌과 잠, 랭보와 클로델의 밀접한 관계를 증명하기는 어렵지 않다.
· 김숙희, 「아르토의 극작품에 나타난 잔혹성 연구」, 이화 여자 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1990.
· 김형석, 『서양 철학사』, 서울, 가람기획, 1994.
· 신현숙, 『20세기 프랑스 연극』,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97.
· 이상호, 『희곡원론』,서울, 둥지, 1993.
· 조태준, 「앙토넹 아르토에 있어서 연극의 이론과 그 실현」, 성균관 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 최승규, 『한권으로보는 서양미술사 100장면』, 서울, 가람기획, 1996.
· 한국 연극학회, 『20세기 독일어권 연극』서울, 연극과 인간, 2001.
· Artaud, Antonin , 박형섭 역,『잔혹 연극론』, 서울, 현대미학사, 1995.
· Brauneck Manfred, 김미혜, 이경미 역, 『20세기 연극』, 서울, 연극과 인간, 2000.
· 크로이든 마가렛 , 송혜숙역, 『20세기 실험극』,서울, 현대 미학사, 1994.
· Hasenclever, Walter,《아들 Der Sohn》, 독일, 1914.
· 인네스, 크리스토퍼, 김미혜역,『아방가르드 연극의 흐름』, 서울, 현대미학사, 1997.
· Kaiser, Geore,《아침부터 자정까지 Von Morgens bis Mitternachts》, 독일, 1916.
· 포티어 마크 , 백현미, 정우숙공역,『현대 이론과 연극』, 서울, 월인, 1999
· 쌩크, 테오도르, 『현대 연극의 이론과 실제』, 서울, 청하, 1992
· 스타이안, J. L. , 윤광진 역, 『표현주의 연극과 서사극』, 서울, 현암사, 1988.
· Wedekind, Frank, 《봄의 잠깨임 Fruhlings Erwachen》, 독일, 18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