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유전공학]된장을 통한 연구와 고찰

좋은 자료가 되시길 바랍니다.
2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12.01 최종저작일 2005.07
20P 미리보기
[유전공학]된장을 통한 연구와 고찰
  • 미리보기

    소개

    좋은 자료가 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론
    1. 된장
    1.1.된장의 역사
    1.2. 된장의 영양
    1.3. 된장의 효능
    1.3.1. 항암효과
    1.3.2. 간기능 강화
    1.3.2. 항산화 효과
    2. 된장의 항산화 및 혈전용해 활성 대한 실험
    2-A.시료 및 실험 방법
    2-A-a. 시료
    2-A-b. 항산화 활성 측정
    2-A-c. 혈전 용해 활성 측정
    2-A-d. 형태적 특성
    2-B. 균주의 분리. 동정
    2-B-a. 선정된 균주의 생화학적 성상조사
    2-B-b. B. subtilis BH-23의 항산화 활성 및 혈전 용해효소 최적 생산조건
    2-B-c. pH
    2-B-d. 식염농도
    ◎선별 균주를 이용한 된장의 제조
    1) 재료
    2) 콩 메주의 제조
    3) 된장의 제조
    4) 시판 재래식 된장구매
    5) 일반 성분 분석
    6) 관능검사

    Ⅲ. 결과 및 고찰

    본문내용

    된장은 예로부터 내려오는 전통 발효 식품으로 우리 식탁에 없어서는 안 될 대표적인 조미식품이다. 된장은 아미노산, 지방산, 비타민, 무기질 등이 풍부하며, 특수성분인 피토에스트로겐류가 들어있어 항산화(Kim, M. H.외 4명, 1994), 항돌연변이(Park, K. Y.외 3명, 1996), 항암(Lim, S. Y.외 2명, 1999), 혈전용해(Kim, S. H.외 4명, 1994) 등의 기능성이 우수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된장은 미생물을 이용하는 가장 복잡한 양조기술이 요구된다. 된장을 제조할 때 메주에서 성장한 수많은 미생물에 의해 숙성되면서 단백질은 저분자의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으로 당질은 단당류로 분해된다. 이 때 된장 숙성 중 발효에 관련이 있는 미생물에 의해 각종 향기성분이 생성되어 된장의 풍미를 높여 준다. 된장에 관련된 국균으로는 Aspergillus sojae, Aspergillus oryzae, Rhizopus 속 등 수많은 곰팡이가 된장 숙성에 관련이 있고, 유산균으로는 Lactobacillus sp. Streptococcus 등이 관여하며, 세균으로서는 Bacillus subtilis, Bacillus natto, 그리고 효모로는 Saccharomyces cerevisiae, Zygosaccharomyces rouxii, Torulopsis versatilis. 등에 대한 연구가 있다.

    참고자료

    · Ⅳ.참 고 문 헌
    · 1. Abel, K., H. De Shmertzing and J. I. Peterson. 1963. Classification of microoganism by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I. Flasability of utilizing gas chromatography. J. Bacteriol. 85, 1039-1044.
    · 2. Asociation of Korean Standadization 1992. Genernal Method of Organoleptic Test, KS A 7001.
    · 3. Astrup, T. and S. Mullertz, 1952. The fibrin plate method for estimating fibrinolytic activity. Archs. Biochem. Biophys. 40, 346-350.
    · 4. Finley, N. and M. L. Fields. 1962. Heat actication and heat induced dormarcy of Bacillus stearothermophilus spores. Appl, Microbiol.
    · 10,1110-1118.
    · 5. Fukuda, Y., Osawa, T., Namiki, M. and T. Ogaki. 1985. Thiocyanate methanol. Agri. Biol Chem. 49, 301. 6. Gerhardt, P. 1967. Cytology of Bacillus anthracis. Fedproc. 26, 1504-1517.
    · 6. Gerhardt, p. 1967 Cytology of Bacillus anthracis. Fed. proc.
    · 26 .1504-1517
    · 7. Gordon, R. E., W. C. Haynes and C. H. N., Pang. 1973. The genus Bacillus handbook No. 427.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 8. Ji, W. D., E. J. Lee and J. K., Kim. 1992.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soybean pastes manufactured with traditional and improved method. J. Korean Agric. Chem. Soc. 35, 248-253.
    · 9. Kim, D.W. 1990. Food chemistry. Thamkudang press, Seoul pp. 401-447.
    · 10. Kim, I. J., J. O. Lee., M. H. Park., D. W. Son., Y. L. Ha and C. H. Ryu. 2002. Preparation method of meju by three step fermentation, Koeran J. Food Sci. Technol. 34, 536-539.
    · 11. Kim, J. K. and C. S. Kim. 1995. The taste components of ordinary korean soy sauce and consumer sensory evalu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38, 521-526.
    · 12. Kim, M. H., S. S. Im., S. H.. Kim., G. E. Kim and J. H. Lee. 1994. Antioxidant materials in domestic meju and doenjang (Ⅱ). J. Korean Soc. Food Nutr. 23, 251- 260.
    · 13. Kim, N. D. 1996. Study on the browning and it`s inhibition in soybean paste (deonjang). Ph.D. dissertation, Kon-Kuk Univ., Seoul, Korea.
    · 14. Korean Food Industry Association 1999. Food Codex, pp. 715-717 Hanil printing, Seoul
    · 15. Korean Food Industry Association 1999. Food Codex, pp. 719-720 Hanil printing, Seoul.
    · 16. Korean Food Industry Association 1999. Food Codex, pp 968-969 Hanil printing, Seou
    · 17. Kim, S. H., N. S Choi., W. Y .Lee., J. W. Lee and D. H. Kim. 1998. Isolation of Bacillus strains secreting fibrinolytic enzyme from doenjang. Kor. J.Microbiol., 34, 87-90.
    · 18. Lee. C. Y. 1989. Korean soy seasonings and culture. Food Sci. Ind. 22, 3-7.
    · 19. Lee, J. H., M. H. Kim., S. S. Im., S. H. Kim and G. E Kim. 1994. Antioxidant materials in domestic meju and doenjang (Ⅲ). J. Korean Soc. Food Nutr. 23, 604- 613.
    · 20. Lim, S. Y., K. Y. Park and S. H. Rhee. 1999. Anticancer effects of doenjang in in vitro sulforhodamine B (SRB) assay. J. Kor. Soc. Food Sci. Nutr., 28, 240-245.
    · 21. MacFaccin, J. F. 1980. Biochemical tests for identification of Medical Bacteria, 2nd ed., Baltimore, Williams and Wilkins.
    · 22. Park, K. Y., S. H. Moon., H. S. Cheigh and H. S. Baik. 1996. Antimutagenic effects of doenjang. J. Food Sci. Nutr. 1, 151-158.
    · 23. Pries, F. G., M. Goodfellow and C. Todd. 1988. A Numerical Classification of the Genus Bacillus. J. Gen. Microb. 134, 1847-1882.
    · 24. Sneath, P. H. 1986.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pp. 1104-1138. Vol. 2. Baltimore, Williams and Willkins Co.
    · 25. Wuh, J. S., S. G. Lee and M. K. Ryu. 1982. Effect of Bacillus strains on the chungkookjang processing(Ⅱ).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30-314.
    · 26. Park. G. Y. 1997. 한국 전통의 발효 식품 82-102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해당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