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의 근본 요소인 생산성 향상은 기술진보, 규모의 경제 등에서 기인하며 이중 기술진보의 중요한 요인은 연구·개발이다. R&D투자는 연구개발의 중요한 활동이며 공정혁신과 제품혁신을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생산성 향상을 유도한다 (장진규, 1993). 연구·개발활동의 효과는 직접적으로는 지적 생산물의 획득과 그것에 기초를 둔 새로운 제품 생산방법 등의 기술진보를 통해서 재화·서비스의 질·양·종류의 충실, 생산성의 향상 등의 형태로 구현된다. 한편 경제·사회적으로는 통신.교통의 발달 등에 의한 생활환경개선, 보건·의료기술의 발달에 의한 국민복지의 향상, 설비기술생산기술의 고도화 등에 의한 국민경제의 발전, 그리고 환경파괴 등의 부정적 영향의 해소 등으로 나타난다.
연구개발 투자정책은 투자재원의 효율적인 배분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나, 연구개발투자로 설명할 수 있는 경제성장의 측면은 상당히 제한되어 있다 (성소미, 1995). 연구개발투자로 인한 기술진보의 경제·산업성장으로의 공헌 자체를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측정방법으로 성장이론에 의한 생산성의 분석, 전요소생산성 (TFP)상승과 연구개발스톡과의 상관성 검증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방법들은 연구개발투자를 독립적인 요소로 취급하거나 연구개발이 경제성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연구개발투자와 경제성장간의 관계에 대한 수많은 연구 (Hardy, 1980; Leff, 1984; Wilson & Teske, 1990; Norton, 1992; Saunders, et al., 1994; Edirisuriya, 1995) 들은 연구개발투자와 경제성장간에 강한 양 (+)의 관계가 존재함을 제시하고 있다 (Maddock, 1995). 연구개발과 경제성장 간의 강한 양 (+)의 관계는 연구개발 투자가 경제 성장율의 중요한 결정요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Blomstrom et al. .
· 과학기술부 (2001), [2000년 연구개발활동조사].
· 김신행 (1999), [경제성장론], 경문사.
· 김인수 (2000), "한국의 수출과 성장의 인과관계 분석", [산업경제], 제11집.
· 대한매일 (2001.6.9), "과기분야 R&D 투자 돈만 쓴다", 경제면.
· 박추환, 정동헌 (2001), "국내 산업별 성장에 있어서 정보통신자본 및 R&D 스톡 변동이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경영과학회/대한산업공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pp. 240-241.
· 성소미 (1995), "기술혁신의 경제분석: 혁신의 경제성장 제고를 위한 국가전략의 모색", [한국개발연구원].
· LG경제연구원 (2000), [밀레니엄 리포트].
· 이경원 (1992), "정부팽창의 인과관계에 관한 시계열 분석: 외생성 검증을 위한 Granger 인과관계", [지방행정연구], 제7권 제4호.
· 장진규 (1993), "국내 제조업 연구개발비의 파급효과 분석", [기술경영경제학회지], 제1권 제1호, pp. 170-185.
· 정진현 (1998), "정부지출과 경제성장간의 인과관계", [경제학논집], 제7권, pp. 303-318.
· 정창영 (1998), [경제학원론], 법문사.
· 주만수 (2000), "정부 소비지출 및 투자지출과 국민소득의 인과관계 분석", [재정논집], 제14집 제2호, p. 248.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1), "기술개발 촉진을 위한 조건 조사: 일본의 연구개발자금 확보에 관한 분석", [연구개발의 경제적 효과 (2)], 2001. 2.
· 허태회 (1995), "아시아의 경제발전과 국제분쟁의 관계: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 [국제정치논집], 제35집 2호.
· 홍순기, 홍사균 (1994), "산업간 기술흐름 구조와 연구개발투자의 파급효과 분석", [과학기술정책], Vol. 16, No 1, p. 3.
· Akaike, H. (1969), "Fitting Autoregressions for Prediction", Annals of the Institute of Statistical Mathematics, Vol. 21, pp. 243-247.
· Ammon, J. S. & R. M. Ben (2001), "The Economic Benefits of Publicly Funded Basic Research: A Critical Review", Research Policy, Vol. 30, pp. 509-532.
· Blomstrom, M., R. E. Lipley & M. Zejan (1996) "Is Fixed Investment the Key to Economic Growth?",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 111, pp. 269-276.
· Engle, R. F. & C. W. J. Granger (1987), "Cointegration and Error Correction: Representation, Estimation and Testing", Econometrica, Vol. 55 (March), pp. 251-276.
· Gary, M. & J. S. Scott (1998), "CEE Telecommunication Investment and Economic Growth", Information Economics and Policy, pp. 173-195.
· Granger, C. W. J. (1969), "Investigating Causal Relation by Econometric and Cross- sectional Method", Econometrica, Vol. 37 (May), pp. 424-438.
· Griliches, Z. (1993), "R&D and Productivity: Econometric Results and Measurement Issues," The Economics of Technical Change, Oxford: Edward Elgar Publishing Limited.
· Leff, N. H. (1984), "Externalities, Information Costs, and Social Benefit-cost Analysis for Economic Development: An Example from Telecommunications", Economic Development and Cultural Change, Vol. 32, No. 2, pp. 255-276.
· Maddock, R. (1995), "Telecommunications and Economic Development", Discussion Papers 95-14, School of Economics and Commerce, Australia: La Trobe University.
· Muhammad, M. & R. Matiur (1995), "Capacity Utilization in the USA and Inflation: Testing for Cointegration and Granger Causality", Applied Economics Letters, Vol. 2, No. 10, pp. 355-358.
· Pantula, S. G., G. Gonzalez-Farias & W. A. Fuller (1994), "A Comparison of Unit- root Test Criteria", Journal of Business and Economic Statistics, pp. 449-459.
· Phillips, P. C. B. & P. Perron (1988), "Testing for a Unit Root in Time Series Regression", Biometrika 75, pp. 335-346.
· Pindyck, R. S. & D. L. Rubinfield (1997), Econometric Models and Economic Forecasts, (4th ed.), Singapore: McGraw-Hill.
· Schwartz, G. G. (1990), "Telecommunications and Economic Development Policy",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Vol. 4, No. 2, pp. 83-91.
· Thirtle, C. & R. Townsend & J. Zyl (1998), "Testing the Induced Innovation Hypothesis: An Error Correction Model of South African Agriculture", Agricultural Economics, Vol. 19, pp. 145-157.
· Kim, S. G. (2000), "Is Government Investment in R&D and Market Environment Needed for Indigenous Private R&D in Less Developed Countries?: Evidence from Korea", Science and Public Policy, Vol. 26, No. 1, pp. 1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