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
GOLD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한의학 원전 의학입문] 6치창문 금은화 하고초 포공영 산자고 송지 의학입문 원문 및 해석

중국 명(明)나라 때 이천(李)이 지은 한의학 서적. 19권. 이 책을 쓰게 된 동기는 저자가 병에 걸려 여러 의서를 살펴보고서 책은 많은데 일목요연하게 요령을 삼을 만한 책이 없어 의학에 입문하기 어려움을 느낀 데서 시작되었다. 왕숙화(王叔和)의 〈맥결 脈訣〉과 이동원(李東垣)의 약성편주(藥性編註)와 병기(病機), 〈의방첩경 醫方捷經〉·〈의학권여 醫學權與〉 등의 책이 좋기는 하나 편집이 잘 되어 있지 않고, 〈상한론 傷寒論〉·〈활인서 活人書〉·〈백문가 百問歌〉 등은 편집이 잘 되어 있으나 어려서부터 배우지 않으면 온전히 알기 힘들며, 〈의경소학 醫經小學〉은 편집이 잘 되어 있고 내용이 간략하여 입문서가 될 만하나 처방이 미미하고 뜻이 너무 간략하여 배우는 사람이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있기 때문에 이런 모든 문제점들을 보완한 입문서인 〈의학입문〉을 만들게 된 것이다. 〈의학입문〉은 내집(內集) 9권과 외집(外集) 10권으로 되어 있다. 내집에는 운기(運氣)·경락(經絡)·장부(臟腑)·문진(問診)·맥진(脈診)·침구(鍼灸)·본초(本草) 등으로 나뉘어 실려 있다. 외집은 온서(溫署)·상한(傷寒)·내상(內傷)·잡병(雜病)·용약(用藥)·부인(婦人)·소아(小兒)·옹저(癰疽)·개창(疥瘡) 및 습유(拾遺) 치료방법의 개요 등이 실려있다. 내상은 이동원과 여러 이름난 학자의 설을 참고했고, 침구는 난경(難經)과 소문(素門)의 내용을 따랐고, 본초는 의경소학과 의방첩경석약집운(醫方捷徑釋藥集韻)을 기본으로 했고, 상한은 도씨육서(陶氏六書)를 위주로 했고 잡병은 위(危)씨의 득효방(得效方) 및 단계용약총법(丹溪用藥總法)을 바탕으로 했으며, 온서는 유하간(劉河間)의 〈원병식 原病式〉에서 따오고, 부인과는 〈부인양방〉을 따르고, 소아과는 양사영(楊士瀛)의 설을 따르고, 두증(痘證)은 〈의학정전 醫學正傳〉을 위주로 했고 외과는 〈외과추요 外科樞要〉를 참고로 하여 내용을 갖추어 대체로 명망있는 외가의 외서를 종합하여 완성한 것이다. 특히 본초 930종(種)을 효용에 따라 치풍(治風)·치열(治熱)·치습(治濕)·치조(治燥)·치한(治寒)·치창(治瘡)·식치(食治) 등 7문으로 나누고 각 문을 또 몇 개의 세목으로 나누어 설명했는데 대규모로 약물을 정리하여 의학에 입문하는 사람에게 편리하게 한 점이 장점이다. 〈의학입문〉은 〈동의보감〉보다 30여 년 앞서서 출간되어 〈동의보감〉의 편찬에 많이 인용되었고, 조선시대의 의사선발고시에 〈의학입문〉이 기본과목으로 채택되는 등 한국 의학의 발전에 기여했다.
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08.24 최종저작일 2005.08
8P 미리보기
[한의학 원전 의학입문] 6치창문 금은화 하고초 포공영 산자고 송지 의학입문 원문 및 해석
  • 미리보기

    소개

    중국 명(明)나라 때 이천(李)이 지은 한의학 서적.

    19권. 이 책을 쓰게 된 동기는 저자가 병에 걸려 여러 의서를 살펴보고서 책은 많은데 일목요연하게 요령을 삼을 만한 책이 없어 의학에 입문하기 어려움을 느낀 데서 시작되었다. 왕숙화(王叔和)의 〈맥결 脈訣〉과 이동원(李東垣)의 약성편주(藥性編註)와 병기(病機), 〈의방첩경 醫方捷經〉·〈의학권여 醫學權與〉 등의 책이 좋기는 하나 편집이 잘 되어 있지 않고, 〈상한론 傷寒論〉·〈활인서 活人書〉·〈백문가 百問歌〉 등은 편집이 잘 되어 있으나 어려서부터 배우지 않으면 온전히 알기 힘들며, 〈의경소학 醫經小學〉은 편집이 잘 되어 있고 내용이 간략하여 입문서가 될 만하나 처방이 미미하고 뜻이 너무 간략하여 배우는 사람이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있기 때문에 이런 모든 문제점들을 보완한 입문서인 〈의학입문〉을 만들게 된 것이다.

    〈의학입문〉은 내집(內集) 9권과 외집(外集) 10권으로 되어 있다. 내집에는 운기(運氣)·경락(經絡)·장부(臟腑)·문진(問診)·맥진(脈診)·침구(鍼灸)·본초(本草) 등으로 나뉘어 실려 있다. 외집은 온서(溫署)·상한(傷寒)·내상(內傷)·잡병(雜病)·용약(用藥)·부인(婦人)·소아(小兒)·옹저(癰疽)·개창(疥瘡) 및 습유(拾遺) 치료방법의 개요 등이 실려있다. 내상은 이동원과 여러 이름난 학자의 설을 참고했고, 침구는 난경(難經)과 소문(素門)의 내용을 따랐고, 본초는 의경소학과 의방첩경석약집운(醫方捷徑釋藥集韻)을 기본으로 했고, 상한은 도씨육서(陶氏六書)를 위주로 했고 잡병은 위(危)씨의 득효방(得效方) 및 단계용약총법(丹溪用藥總法)을 바탕으로 했으며, 온서는 유하간(劉河間)의 〈원병식 原病式〉에서 따오고, 부인과는 〈부인양방〉을 따르고, 소아과는 양사영(楊士瀛)의 설을 따르고, 두증(痘證)은 〈의학정전 醫學正傳〉을 위주로 했고 외과는 〈외과추요 外科樞要〉를 참고로 하여 내용을 갖추어 대체로 명망있는 외가의 외서를 종합하여 완성한 것이다.

    특히 본초 930종(種)을 효용에 따라 치풍(治風)·치열(治熱)·치습(治濕)·치조(治燥)·치한(治寒)·치창(治瘡)·식치(食治) 등 7문으로 나누고 각 문을 또 몇 개의 세목으로 나누어 설명했는데 대규모로 약물을 정리하여 의학에 입문하는 사람에게 편리하게 한 점이 장점이다.

    〈의학입문〉은 〈동의보감〉보다 30여 년 앞서서 출간되어 〈동의보감〉의 편찬에 많이 인용되었고, 조선시대의 의사선발고시에 〈의학입문〉이 기본과목으로 채택되는 등 한국 의학의 발전에 기여했다.

    목차

    6치창문
    금은화
    하고초
    포공영
    산자고
    송지

    본문내용

    松脂
    송지

    苦甘 溫無毒하니風痺惡癩 幷頭禿을!
    고감 온무독하니 풍비악라 병두독을!
    송지는 고미 감미로 온성이며 독이 없으며, 풍비와 나쁜 나병과 대머리를 치료한다.
    淸胃伏熱 潤心肺요生津固齒 明耳目을!
    청위복열 윤심폐요, 생진고치 명이목을!
    송지는 위의 잠복한 열을 맑게 하고 심과 폐를 윤택케 하고 진액을 생성하고 치아를 견고케 하고 귀와 눈을 총명케 한다.

    松液이 流地하야 凝成이라.
    송액이 유지하야 응성이라.
    소나무 진액인 송진이 땅에 흘러 응결하여 생성한다.
    主惡風으로, 歷節痠痛, 風痺 死肌와, 癰疽, 惡風. 癩瘡 瘙疥, 頭瘍 白禿이오.
    주악풍으로 역절산통 풍비 사기와 옹저 악풍 라창 소개 두양 백독이오.
    송지는 나쁜풍사로 관절을 돌아다니며 시큰거리며 아픔과 풍비와 죽은 살갗과 옹저와 악풍 문둥병종창, 옴, 머리부스럼, 백색 대머리를 주치한다.
    煎膏하야 貼諸瘡瘻爛하면, 排膿 生肌 止痛, 抽風 殺虫하다,
    전고하야 첩제창루란하면 배농 생기 지통 추풍 살충하다.
    송지를 달여 고를 만들어 여러 종기와 부스럼으로 문드러짐에 붙이면 농을 배출하고 살을 생기게 하고 진통하고 풍사를 뽑아내고 살충한다.
    除胃中伏熱하며, 潤心肺, 生津 止渴, 固齒, 聰耳 明目이오.
    제위중복열하며, 윤심폐 생진 지갈 고치 총이 명목이오.
    송지는 위 속의 잠복한 열을 제거하고 심과 폐를 윤택케 하고 진액을 생성하고 갈증을 멎게 하고 치아를 견고케 하고 귀와 눈을 총명케 한다.
    入滋補藥하야 和服이면, 壯陽 實陰莖하야 令人으로 有子요,
    입자보약하야 화복이면 장양 실음경하야 령인으로 유자요.
    송지를 자보약에 넣어서 함께 복용하면 양을 건장케 하고 음경을 충실하게 하여 사람으로 하여금 자식을 가지게 한다.
    久服하면 輕身 延年이니라.
    구복하면 경신 연년이니라.
    송지를 오래 복용하면 몸을 가볍고 수명을 연장케 한다.
    ⃝通明者가 佳라.
    통명자가 가라.
    송지는 투명한 것이 좋다.
    用河水로 煮化하야, 投冷水內하야, 令兩人으로 扯拔하야, 旣凝이어든 再煮하야, 如此三次하고, 再用酒煮三次하되, 仍前扯拔하야, 以白如飴糖으로. 爲度요.
    용하수로 자화하야 투랭수내하야 령양인으로 차발하야 기응이어든 재자하야 여차삼차하고 재용주자삼차하되 잉전차발하야 이백여이당으로 위도요.
    扯(찢어버릴 차; 手-총7획; chě):裂開
    강물을 사용하여 송지를 달여 변화하여 찬물속에 넣어서 두 사람으로 하여금 찢어서 뽑게 하여 이미 응결하면 다시 달여서 이와 같이 세 번하고 다시 술을 사용하여 3번 달이고 앞처럼 찢고 뽑아서 수수엿처럼 희게 함을 기준으로 여긴다.
    煎膏藥에는 用桃柳桑槐와芙蓉葉 煎水로 煮拔이오.
    전고약에는 용도 류 상 괴와 부용엽 전수로 자발이오.
    송지를 달인 고약에는 복숭아 버드나무 뽕나무 괴화나무와 연꽃잎을 사용하여 달인 물로 달여 뽑아낸다.

    참고자료

    · 의학입문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