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문학의 이해와 분석] 조지훈 시의 감상,이해,의의 (선비정신과 관련하여...)

"[문학의 이해와 분석] 조지훈 시의 감상,이해,의의 (선비정신과 관련하여...)"에 대한 내용입니다.
36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08.12 최종저작일 2005.08
36P 미리보기
[문학의 이해와 분석] 조지훈 시의 감상,이해,의의 (선비정신과 관련하여...)
  • 미리보기

    목차

    1.서론

    2.조지훈과 선비 정신

    3.선비 정신 구현의 양상
    1)전통 탐구와 線의 미학
    2)한시적 절제미
    3)동양화의 여백미

    4.결론

    본문내용

    조지훈은 이 시대의 마지막 선비라 일컬어지는 시인이다. 그의 작품 세계는 전통 탐구에서 시작하여 자아에 대한 탐구, 역사의식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같이 다양한 그의 작품에 일관하는 시정신을 선비의식의 측면에서 고찰해 보는 작업 중 한 부분으로 그의 작품 중 초기의 작품 세계를 전통 탐구, 한시적 절제미, 동양화의 여백미의 측면에서 조명해 본다.

    지훈은 지극히 어려운 식민지의 삶을 살아 내며 전통과 민족에 대한 믿음에서 출발하여 우리가 우리다울 수 있음은 전통에의 회귀에서 찾아야 한다고 생각하였는데 이는 그의 역사의식의 천착에서 얻어진 믿음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시대적 암울과 극한 상황에서 매우 힘겹게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초기 시세계에서 전통과 절제와 여백의 아름다움을 보여 주었다.

    한시의 전통을 계승하여 한시 창작의 역량을 현대시로 옮겼으며, 한시와 현대시를 병행하며 상보적인 발전을 꾀하고 전통적인 동양의 정서를 현대시의 정서로 승화 정착시키는 작업, 그리하여 한국의 민족 정서의 현대시적 서정을 정립시키는 성과를 남겼다.

    1.서론
    한국 문학을 우리 고유의 문학 이론으로 접근해야 함은 당위성을 넘어 이 시대의 과제이다. 문화의 차이나 배경에 대한 고려 없이 서구의 이론을 무조건 대입하는 현실에서 우리의 문예 이론으로 해독할 수 있는 우리의 시학을 오늘에 호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1)는 생각에 전적으로 동의하며, 우리의 이론, 동양의 고전적 경전에 근거한 동양의 사상적 기반 위에서 하나의 시학 이론을 구축해 보는 한 방법으로 조지훈 시와 선비 정신에 대해 고찰해 본다.

    우리의 전통, 우리의 체질, 우리의 경험에 뿌리박아야 할 우리의 시를 너무나도 외래의 이론과 규준으로만 생각하려는 현실에서 우리의 전통을 재확인하고 비판적으로 재검토함으로써 한층 발랄한 새로운 전통으로 발전시키는 것, 이것이 주체성의 회복이2)라는 생각으로 우리 문학의 전통을 동양사상 특히 선비 정신에서 찾고자 한다.

    지훈은 전통과 민족에 대해 깊은 관심을 지니고 있었다. 그는 신라 정신에서 새로운 한국을 인식했고, 천도교의 인내천 사상에서 우리의 인본주의를 믿었으며 선비 정신에서 삶의 기준을 삼을만한 기틀을 찾아냈다.

    참고자료

    · 1) 정민, 『한시미학산책』(서울 : 솔, 1996), 490~493면.
    · 2) 김종길, 『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고려대학교출판부, 1998), 18면.
    · 3) 김종균, 『매천ㆍ만해ㆍ지훈의 시인의식』(서울 : 박영사, 1982), 196~250면.
    · 4) 조지훈, “나의 시의 판력,”『청록집 이후』(서울 : 현암사, 1968), 348~351면.
    · 5) 김동리, “삼가시와 자연의 발견,”『예술조선』(1948.4.10~8.25).
    · 6) 박두진, “조지훈의 시세계”『사상계』.
    · 7) “士農工商四民有業 學以居位日士 土植穀曰農 作巧成器曰工 通財 穀曰商”(『漢書』, 「食貨志」)
    · 8) "古者學道之人名之曰士" (丁若鏞 『餘裕當全書』제1집 17권)
    · 9) "一士讀書澤及四海功垂萬世 易日 見龍在田天下文明基謂讀書之士乎 (朴趾源ㆍ『嚥岩集』권10)
    · 10) "至若搏通群聖人之書探색名理恥一物之不知如可謂之大儒" (李德懋, 『靑壯館全書』卷21)
    · 11) "君子動則思예行則思義不爲利回不爲義구" (『春秋左氏傳』, 住所 권53)
    · 12) "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 (孔子, 『論語』)
    · 13) 조지훈, 『趙芝薰 전집』3(서울 : 나남출판사, 1996), 208면. 이하 『전집』이라 함.
    · 14) 조지훈, 위의 책, 201면.
    · 15) 조지훈, 『전집』2, 193면.
    · 16) 이후 조지훈 시의 인용은 가장 최근에 발행된 『조지훈 전집』1(서울 : 나남출판사, 1996)의 표기를 따른다. 전집의 표기에 있어 띄어쓰기는 旣刊 시집의 표기를 그대로 따랐고, 맞춤법은 현행원칙에 맞추었으며 발음이 달라지는 경우는 기간 시집에 그대로 따랐으며 가장 원본에 충실하므로 전집을 텍스트로 한다.
    · 17) 조지훈, 『전집』 8, 427면.
    · 18) 조지훈, 『전집』4, 277~281면.
    · 19) 조지훈, 『전집』 2, 199면.
    · 20) 조지훈, 『전집』 2, 49면.
    · 21) 조지훈, 『전집』 8, 426면.
    · 22) 『事文類聚』. 정민, 『한시 미학 산책』(서울 : 솔, 1996), 187면에서 재인용.
    · 23) 조지훈, 『전집』 8, 426면.
    · 24) 조지훈, 『전집』 2, 180~185면.
    · 25) 조지훈, 『전집』 8, 425면.
    · 26) 조지훈, 『전집』 3, 196면.
    · 27) 신동욱, "조지훈 시에 나타난 저항의식," 金宗吉 外, 『趙芝薰연究』(高麗大學校出版部, 1978), 126면.
    · 28) 이기서, "芝薰詩가 지닌 狀況의 意志化," 金宗吉 外, 앞의 책, 176면.
    · 29) 조지훈, “나의 시의 편력,”『청록집 이후』(서울 : 현암사, 1968), 353면.
    · 30) 정한모, “초기작품의 시세계,”김종길 외, 앞의 책, 24면.
    · 31) 김종길, 『시와 시인들』(서울 : 민음사, 1997), 446면.
    · 32) 조지훈, “서창집,”『전집』2, 200면.
    · 33) 李東歡, 芝薰詩에 있어서의 漢詩傳統, 金宗吉 外, 앞의 책, 232~244면.
    · 34) 김종균, 『매천ㆍ만해ㆍ지훈의 시인의식』(서울 : 박영사, 1985), 186면 참조.
    · 35) 미발표 한시집 流水集은 표지에 『流水集ㆍ習作ㆍ庚辰--甲申ㆍ南里』에 밝혀져 있듯이 1940년에서 1994년에 쓰여진 습작집으로 원본은 분실되었고, 김종균은 필사본을 소장하고 있으며, 그 후 최태호는 그 필사본을 근거로 논문을 썼다. 그런데<font color=aaaaff><font color=aaaaff>..</font>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