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신겸, “그린투어리즘 수요활성화 방안”, 한국농업정책학회 2004 학술 심포지엄 발표 논문집, 한국농업정책학회, 2003.7.
· 광주전남발전연구원, 「광주 전남 비전21 - 전남 농촌관광 활성화를 위한 과제와 방안 -」, 2003.
· 권오옥․김천성, “농촌 활성화를 위한 그린투어리즘 추진방안”, 韓國協同組合硏究 第20輯 第2號. 2001.
· 권용대․홍종숙, “농촌 어메니티자원을 활용한 그린투어리즘의 경제성 분석”, 농촌계획 Vol. 9, 2003.
· 김범수, “일본의 그린투어리즘”, Journal of Forest Recreation Vol 3., 1999.
· , 한상열, 이주희, “한국과 일본의 그린투어리즘에 대한 비교연구”, 관광연구 제16권 제1호, 2001.
· 김상윤, “일본의 그린투어리즘 체험 프로그램의 효율적 연구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5권 2호, 한국산림휴양학회, 2001.
· 김 호, “녹색농촌 조성사업의 정책과제와 발전방향, 한국유기농업학회지 제11권 4호, 한국유기농업학회, 2004.
· 남해군, “남해군 관광개발 10개년 사업계획”, 남해군, 2004.
· 류선무, 「관광농업의 개발과 경영」, 형설출판사, 1995
· , 「농촌관광개발론」, 청농관광농업연구소, 백산출판사, 2002.
· , 「농촌관광성공전략」,청농관광농업연구소, 백산출판사,2003.
· 박덕병, “시민사회, 사회적 자본의 형성을 위한 지역사회개발 프로젝트로서 그린투어리즘”, 한국지역사회개발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한국지여사회개발학회, 2002.
· 박시현 외, 「우리나라 농촌관광 발전 방향 및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3.
· 배성의․김정태, “지속가능한 농촌건설을 위한 농촌관광발전 방향 - 충청남도 홍성군 문당리의 사례 -”, 한국농촌지도학회지 제10권 제1호, 한국농촌지도학회, 2003.
· 송광인, “일본 그린투어리즘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제18권 제1호, 2003.
· 송미령․성주인, “도농교류 촉진을 위한 농촌 어메니티 형성방안”, 새국토연구협의회 공동개최 세미나 발표 3주제, 2003.
· 유덕기․함병은, “환경관광농업 활성화를 위한 수요자 선호도 연구”, 한국유기농업학회지 제11권 3호, 한국유기농업학회, 2003.
· 이경진, “농촌관광계획의 그린투어리즘 도입에 관한 연구”, 관광정책학연구 제2호, 1996.
· 이동기, “그린투어리즘의 성공을 위한 공무원들의 파트너십 인지에 관한 연구 - 지식 요인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15권 제1호, 한국지방자치학회, 2003.
· 이호철, “그린투어리즘에 의한 지역사회 개발방안 - 대구시의 약초 시민농원 개발을 중심으로 - ”, 농촌사회 제 10 집, 2000.
· , “지역경영형 그린투어리즘의 추진주체 형성과 지역개발”, 경북대학교, 2001.
· , 최수영․박재홍, “경영 차별화를 통한 그린투어리즘 활성화 전략 - 관광농원과 지역 이벤트의 연계를 중심으로 -”, 농촌사회 12집 제2호, 2002.
· 장근조, “전북지역 녹색농촌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관광정보연구 제16권, 한국관광정보학회, 2004.<f<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