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성구, 신자유주의 역사와 진실, 문화과학사, 2000
· 심백강, 제3의 사상 : 신자유주의와 제3의 길을 넘어서, 청년사, 2000
· 김성구, 경제위기와 신자유주의, 문학과학사, 1998
· 한국사회경제학회, 신자유주의와 국가의 재도전, 풀빛 1999
· 김동춘 외, NGO란 무엇인가, 2000
· 박상필, NGO와 정부 그리고 정책, 2000
· 박재창, 정부와 NGO, 서울: 법문사, 2000
· 안병영,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 이념, 현실 , 대응 = Globalisation and Neoliberalism“, 나남, 2000
· 강치원, “세계화와 한국사회의 미래 :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미국, 그 대안은 없는가”, 백의, 2000
· 한국김성구, "경제위기와 신자유주의", 문학과학사, 1998
· 사회경제학회, “신자유주의와 국가의 재도전”, 풀빛, 1999
· 허철행, “신자유주의 이데올로기의 한국적 적실성”, 부산대학교행정대학원 지방행정연구소, 1999
· 강상구, “신자유주의의 역사와 진실”, 문화과학사, 2000
· 심백강, “제3의 사상 : 신자유주의와 제3의 길을 넘어서”, 청년사, 2000
· 구춘권, “지구화. 현실인가 또 하나의 신화인가”, 책세상, 2000,
· 김병권, “Robert Nozick의 자유지상주의 비판”, 풀빛, 1996
· 박용수, “세계화와 국민국가: 한국의 경제․통상정책 운용 사례를 통해 본 세계화와 국민국가간의 관계”, 한국국제정치학회, 2001
· 강내희, “신자유주의와 문화”, 서울: 문화과학사, 2000).
· 김병권, “신자유주의 국가론의 이념적 정체성과 정치철학적 기원”, 13호(한국사회경제학회), 1996
· 김병권, “Robert Nozick의 자유지상주의 비판”, (자유주의 비판), 서울: 풀빛, 1996
· 성장환, “신자유주의와 민주주의”. (대구교육대학교 논문집), 제34집(대구교육대학교), 1999
· 이영조, “신자유주의 시대의 민주자본주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8
· 임혁백, “시장, 국가, 민주주의”, 서울: 나남, 1994
· 임혁백, “세계화시대의 민주주의: 현상․이론․성찰” , 서울: 나남출판, 2000
· 임현진, “세계체제는 어떻게 움직이는가?: 국민국가와 민주주의의 미래와 관련하여”, 황해문화 26집(봄)
· 정진영, “국제정치 이론논쟁의 현황과 전망: 새로운 이론적 통합의 향방”, 국제정치논총 제 40집 3호(한국국제정치학회), 2000
· 조완석, “신자유주의에 저항하는 진보운동”, (자유공론) 1998년 8월호
· 조철주, “신자유주의와 계획이념의 갈등: 협동적 계획을 위한 사회 자본의 역할”, (사회과학논집) 제20집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9
· IMF, World Economic Outlook, November 2001. ch. 4.
· F. A. von Hayek, “Die Verfassung der Freiheit”, Tübingen, 1971
· http://www.AFMA.com/afma membership Sales Survey
· http://user.chollian.net/~purnhanl/a_see/02NeoRevalism.htm
· http://100.naver.com/100.php?id=102200&cid=AD1033036743044&adflag...
· http://edupark.ko<font color=aaa<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