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행정학]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정보격차 해소와 지역사회 발전방안

"[행정학]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정보격차 해소와 지역사회 발전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27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06.21 최종저작일 2005.05
27P 미리보기
[행정학]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정보격차 해소와 지역사회 발전방안
  • 미리보기

    목차

    Ⅰ.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도래

    Ⅱ.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이슈 ; 정보격차와 지역발전
    1.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이슈
    2. 정보격차와 지역정보화
    3. 지역발전 : 지역정보화

    Ⅲ. 우리나라 지역간 정보격차 실태와 문제점
    1. 지역간 정보격차의 실태
    2. 정보격차현상의 문제점 진단

    Ⅳ.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정보격차 해소와 지역사회 발전방안
    1. 지역정보격차 해소의 필요성
    2.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의 지역사회 비전과 발전방안

    Ⅴ. 맺는말

    본문내용

    최근 사회변동의 거대조류로서 디지털화, 융합화, 지방화 등이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조류는 단선적으로 흐르지 않고 복잡하게 얽히고 설키면서 우리사회를 소용돌이치고 있다. 여기서 디지털 컨버전스(Digital Convergence)는 디지털기술의 발전에 따라 유선과 무선, 방송과 통신, 통신과 컴퓨터 등 기존의 기술, 산업, 서비스, 사업자, 네트워크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새로운 형태의 융합상품과 서비스들이 등장하는 현상을 포괄적으로 일컫는다. 디지털 컨버전스는 미래사회를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촉매제가 될 것이다. 왜냐하면 과거 독립된 영역에서 불균형 발전을 초래해왔던 국가사회 시스템이 `통합―융합―결합'의 유기적 형태로 연계돼 조화로운 균형점을 찾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환경에서 우리사회는 산업화과정에서 누적된 중앙집중화에 따른 폐해가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로 인해 자칫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에서는 산업사회에서의 중앙과 지방간 격차보다 더욱 심화되지 않을지 염려스럽다. 이런 상황을 인식한 듯 노무현정부는 국가균형발전특별 제정과 함께 지방분권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물론 지역정보화, 주민생활 정보화 등 지방분권시대에 부합하는 정보격차해소 노력도 강화되는 듯하다. 주지하다시피 정보사회는 정보네트워크기반에서 새로운 인간관계가 형성됨에 따라 접속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정보네트워크에 기반을 둔 사회에 누구는 들어갈 수 있고 누구는 배제될 때 또한 접속관계에서는 연결되는 사람과 연결되지 못하는 사람으로 구분될 때 네트워크 상에 있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과의 차이가 정보불평등 및 갈등을 야기할 소지가 크다. 게다가 이러한 정보격차 문제는 네트워크사회에서 더욱 심각한 양상을 가져올 수 있다. 왜냐하면 정보격차로 인한 접속에의 배제는 곧 개인에게 단절과 고립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 Anttiroiko, Ari-Veikko(2000). Building Regional Capacity for Information Age, Public Administration Working Group Meeting, Issue Paper.
    · Bell, Dl(1980), Sociological Journeys: Essays, 1960-1980, London: Heinemann.
    · Box(1998). Citizen Governance: Leading American Communities into the 21st Century. Thousand Oak , CA: Sage Publications.
    · Brand, S(1987). The Media Lab, New York: Penguin Books.
    · Castells, Manuel(1996), The Information Age: Economy, Society, and Culture, Cambridge, MA: Blackwell Publishers.
    · Dutton, W.H., Kubicek, H., Williams, R(1997), The Social Shaping of Information Superhighways -European and American Roads to the Information Society. St. Martin's Press Inc.
    · Garnham, N(1996), "Constraints on Multimedia Convergence" in Dutton, W.H.(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Visions and Realities, Oxford a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Kenichi Ishii(1996). "Factors Influencing the Adoption of New Information Media in Japanese Families-Assessing the Social Factors of Information Media Adoption," Media Asia, Vol. 23, No. 1.
    · Loader, Brian D.(ed.) (1998). Cyberspace Divide: Equality, Agency and Policy in the Information Society. London & New York: Routledge.
    · Morgan, Douglas and Shinn, Craig(1999). Community Capacity. Social Trust and Public Administration: An Introduction. Administrative Theory & Praxis. 21(1): 10-11.
    · National Academy Press(1996). The Unpredictable Certainty: Information Infrastructure Through 2000.
    · Negroponte, N(1995). Being Digital, London: Hodder and Stoughton.
    · Perelman, Michael(1998). Class Warfare in the Information Age. New York: St. Martin's Press.
    · Rifkin, J(2000), The Age of Access. 이희재역(2001), 소유의 종말, 서울: 민음사.
    · Rogers E. M(1995), Diffusion of Innovations, New York: Free Press.
    · Schiller, I. Herbert(1966), Information Inequality : The Deepening Social Crisis in America. New York: Routledge.
    · Warf, Barney(1995), "Telecommunications and the Changing Geographies of Knowledge, Transmission in the Late 20th Century," Urban Studies32.2.
    · Wresch, W(1996), Disconnected: Haves and Have-Nots in the Information Age. New Brunswick, New Jersey.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