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독도 영유권 미해결 문제 고찰

많은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12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06.12 최종저작일 2005.01
12P 미리보기
독도 영유권 미해결 문제 고찰
  • 미리보기

    소개

    많은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일한 양국의 독도영유권 주장을 해결하는 시점
    2. 메이지정부의 독도한국영토 증거자료
    3. 독도를 제외한 대한지지에 기록된 한국영토권에 관한 고찰
    (1) 독도를 제외한 대한지지 와 조선상식문답
    (2) 대한지지가 쓰여진 경위
    (3) 대한지지에서 독도가 한국영토에서 제외된 이유

    【결론】

    본문내용

    1.일한 양국의 독도영유권주장을 이해하는 시점

    1870년부터 1905년까지에 관한 일한 양국의 독도영유권주장을 이해하기 위해선 다음의 예비지식이 필요하다. 첫째로 한국에선 역사적으로 독도를 우산도(于山島)라 불렀고 일본에선 울릉도를 竹島(다케시마) 독도를 松島(마쓰시마)라 부르고 있었다는 것을 사실을 명확히 하는 것이다. 특히 1600년대 이후는 한시기를 제외하고, 한국에선 '독도는 우산도', 일본에선 '독도는 마쓰시마'라고 하는 인식은 일반적인 것이었다. 이 사실은 독도 연구자들간에선 상식이 된 사항이다. 두 번째로, 메이지 시대와 거의 일치하는 이 시기에 서양지도가 일본에 들어와, 일본에선 그 때까지 竹島(다케시마)라고 부른 울릉도를 1880년대경부터 松島(마쓰시마)라고 부르기 시작하여 독도를 서양식으로 '리앙코르토 섬(량코 섬)'이라고 부르게 됐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그때문에 1870년부터 1905년까지의 독도관련문서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선 독도에 관한 복잡한 명칭의 변경에 관해서 바르게 파악해갈 필요가 있다.

    참고자료

    · (1) 예를 들면 김명기의 『독도연구』(법률출판사, 1997)는, 권두언에 있어서 "我"韓'"領土"島は‹Œ韓末、帝'主義日本による侵略の第1次的‹'点として選定されたという事Ž?1904年2月23日"「韓日議定書」"同年8月22日"「第1次韓日協約」"締結"、韓'"?質的な外交Œ"?奪した後、1905年2月22日"島に'??先占措置"??「島根告示第40†」"宣言"????事"?"充分""??。" 라고 하여 이 연구가 독도는 한국의 영토다고 하는 전제로부터 출발하고 있다는 것을 명언하고 있다. 그와 같이, 김병렬의 『독도에 대한 일본사람들의 주장』(dadamedia, 2001)는, 역시 권두언에서 "本人"日本人"?w者たちの主張"紹介"??
    · 言っても、彼らの主張に同意するというのでは絶'?."고 주장하고 있다. 또, 양태진의 『독도연구문헌집』의 권둬언에서는, "(前略) 第4編"?、"島の民族的地‰性"史料"反"??原文"官纂史料"????、私纂資料"共"、日本側"?島‹A'問題提起の不"-性"論"???援用"????。"라고 주장하여 역시 자료의 수집목적이 일본측의 주장에 대한 반박임을 명확히 하고 있다. 일본의 학자중에는 川上健三 의『독도의 역사 지리학적 연구』(재금서원, 1966)과 大熊良一 의 『독도사고』(원서방, 1968)가 유명하지만, 모두 독도가 일본의 영토라는 것을 전제로 하여 전개해 나가고 있다. 또한 일본의 학자중에는 독도가 한국의 영토라는 것을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堀和生의 논문"1905년 일본의 다케시마 영토편입"(『조선사 연구회 논문집』No24, 1987)가 대표적이다.
    · (2) 외무성 공식 사이트의 '독도문제' :
    · http://www.mofa.go.jp/mofa/area/takeshima/index.html
    · (3) 일본측으로부터는, 우산도는 울릉도의 다른이름이며, 결코 독도=우산도는 아니다고 비판되어지지만, 『세종실록』지리지 강원도 울진현의 조에 있는 "于山武陵二島在Œ正東海中 二島相去不遠風日明
    · 則可望見"라는 문장에 의해, 우산도와 울릉도는 다른 섬이라는 것이 인식되어진다. 그러나, 울릉도와 독도에 관해서는 한국에서는 오랜 시간 공도정책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한국측의 인식이 혼란했던 시기도 있고, 일본측의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 (4) 『일본외교문서』, 제3권, 사항6, 문서번호87, 1870년 4월 15일부.
    · (5) 김병렬, 『독도(독도자료총람)』(다다미디어, 1998), pp314-315
    · (6) 『공문록』, 내무성지부1, 1877년 3월 17일조.
    · (7) 신용하 저 한성역, 『사적연구 독도(竹島)』, 'C'"'^"[ 출판, 1997, p103.
    · (8) 천상건삼, 『독도의 역사 지리학적 연구』(재금서원), 1966, pp5-6.
    · (9) 예를 들면 【서론】에서 언급했던 대웅양일의 『다케시마사고』는, 15세기로부터 20세기에 이르는, 독도에 관한 모든 자료를 망라하고 있지만, 1877년의 이 자료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 (10) 현채, 『대한지지』(한국국립중앙도서관장), 1899, p.1.
    · (11) <font color=aaaaff>..</font>
  • 자료후기

    Ai 리뷰
    자료의 품질이 높고, 전문적인 내용이 많아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지식판매자에게 감사드리며, 계속해서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2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