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단행본
· 김창모,『생명과 영성의 치유윤리』, 서울: 한들출판사, 2003.
· 이숭구,『인간복제, 그 위험한 도전』,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2003.
· 이정주, 『의학대백과사전』, 서울: 아카데미서적, 1990.
· 한일법학회(편), 『의료기술의 발달에 따른 의료법의 대응』세창출판사, 1999.
· 2. 논문
· 김무환, “인간 복제에 대한 신학적 고찰”, 영남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03.
· 김상득, “윤리학적 관점에서본 생명복제” 『신앙과 학문』 기독교 학문연구소, 1999.
· 길성환, “인간배아복제와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윤리신학적 성찰”, 광주가톨릭대학교대학원,2002.
· 박인숙, “인간복제의 윤리성에 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 안병덕, “생명복제에 대한 기독교윤리학적 고찰”, 영남신학대학교 대학원, 1999.
· 전홍기, “기독교윤리 측면에서의 생명복제이해”, 한일장신대학교 대학원, 2002.
· 3. 잡지, 신문 및 인터넷
· 『과학동아』, “난치병치료의 두기지 돌파구”, 2000.9-12호.
· 강경선(서울대 수의대 교수), “생명윤리 공개 세미나”, 사랑의 교회, 2004. 5. 18.
· 강희원, “배아복제와 인간존엄성의 정치학,” 『법제연구』 제20호, 2001. 6
· 국민일보, “영국, 인간배아 복제승인”, 2004. 8. 11.
· 국민일보, “노태통령, 황우석 교수팀에 훈·포장”, 2004. 6. 18.
· 국민일보, “생명윤리법 원안대로 통과”, 2003. 4. 18.
· 국민일보, “교계반발-감시기구 만들어야”, 2003. 10. 7.
· 김형철, “인간복제에 대한 윤리적 평가”, 『연세학술논집』, 제26권 1호, 1997. 8.
· 김환석, “우리나라 인간 배아 연구의 윤리적 쟁점과 입법방향,” 『인간줄기세포 연구의 가능성과 한계 및 대안』, 대중심포지엄-참여연대 시민과학센터, 2001.10.18.
· 김흡영, “인간 배아줄기 세포”‘ 「기독교 사상」, 제 525호.
· 동아일보, “교황청, 태반-탯줄활용은 묵인”, 2001. 1. 3.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생명복제기술합의회의 2차 시민패널 예비모임자료집”, 1999. 8. 7.
· 이양림, “인간복제, 어떻게 할 것인가?”, 『창조』 97년 5-8월호 통권 103호.
· 장경철, “생명복제와 창조주 주권의 문제”, 『기독교사상』, 97년 7월호.
· 정규원, “체세포핵치완술에 의한 인간 배아 복제에 대한 법적 고찰”, 『생명윤리』제1권 제1호, 2000.
· 차중희, “인간복제에 대한 구약성서적 평가”, 『기독교사상』 97년 7월호.
· http://www.hli-korea.org/sub_07/index11.php?PHPSHSSID=8b
· 서정인, “인간복제”,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p225
· 군혁찬, “stem cell을 이용한 치료법과 문제점” p.24
· 황우석, “배아줄기 세포-연구현황 및 전망”, p.19
· 「한겨레 신문」 (2002.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