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 김성국, "중산층 위주의 사회", {민족지성} 1987.10. 77쪽
· 12. 같은 글, 같은 쪽.
· 13. 김영모, "한국의 사회변동과 계층구조",{사상과 정책} 1(2),6-18 쪽.
· 14. 서관모, "현대 한국사회의 계급구성 : 쁘띠 부르조아지의 추세를 중
· 심으로." {한국 사회학 연구} 7,113쪽 이하
· 15. 서관모, "한국사회의 계급구조" 김진균,조희연 편 {한국 사회론} (한
· 울,1990),117-121 쪽.
· 16. 같은 글 140 쪽.
· 17. 구해근, "한국 중간계급 연구의 이론적, 방법론적 문제점." 서울대학
· 교사회학 연구회 편, {사회계층 : 이론과 실제} (다산 출판사,1991),
· 144 쪽.
· 18. 송복, {한국사회의 갈등구조} (현대문학,1990), 88-89 쪽.
· 19. 구해근, 앞글, 148쪽.
· 20. 송복, 앞책, 21-23 쪽.
· 21. 같은 책 92쪽.
· 22. 경제기획원, {사회지표} 1981, 1986, 1989.
· 23. 최장집, "해방 40년의 국가, 계급구조, 정치변화에 대한 서설" 최장
· 집 편 {한국 자본주의와 국가} (한울,1985), 52-54.
· 24. 김진균,조희연, "분단과 사회상황의 상관성에 관하여," 변형윤 등, {
· 분단시대와 한국사회} (까치, 1985), 427-28 쪽.
· 25. 서관모, "중간계층의 구성과 민주변혁에서의 지위" {80년대 한국 인
· 문사회과학의 현단계와 전망} (역사와 비평사, 1988), 264 쪽.
· 26. 한상진, "{중심화} 변혁 모델의 탐색," {사상} 1989 (여름),172-232
· 쪽.
· 27. 같은 글, 212 쪽.
· 28. 같은 글, 213 쪽.
· 29. 같은 글, 214 쪽.
· 30. 한상진, {민중의 사회과학적 인식} (문학과 지성사, 1987), 105 쪽.
· 31. 한완상, 권태환, 홍두승, {한국의 중산층} (한국일보사, 1987),
· 32-40 쪽.
· 32. 한상진, 앞 책, 110-11 쪽.
· 33. 송복, 앞 책, 102-105 쪽.
· 34. 한완상 등, 앞책, 10쪽.
· 35. 홍두승, "직업 및 계층구조의 변화와 전망," 한국사회학회 편,{한국
· 사회 어디로 가고 있나} (현대사회 연구소, 1983), 73 쪽.
· 36. 한상진, "한국 중산층의 개념화를 위한 시도 : 중산층의 규모와 이데
· 올로기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 사회학} 21. 여름(1987), 130-31
· 쪽.
· 37. 김성국, 앞글, 81 쪽.
· 38. 같은 글, 같은 쪽.
· 39. 같은 글, 79 쪽.
· 40. 구해근, "현대한국 계급구조에 관한 시론" 박현채 외 공편, {한국사
· 회의 재인식} (한울, 1986), 296 쪽.
· 41. 이 문제에 대하여는 다음을 참고하라. 한상진, "중간(산)층 연구는
· 어떻게 해야 하나." {민족지성} 1987. 10, 42-58 쪽.
· 42. 김대모, "분배문제와 현실 진단과 개선방안." {분배의 격차,노사문제
· 의 근원적 해결방안} (국제 문화 연구소,1990), 20-21 쪽.
· 43. 강봉균, {한국의 경제개발 전략과 소득분배} 한국개발 연구원, 정책
· 연구자료 89-96, 1989, 85 쪽.
· 44. 김대모, 앞글, 30 쪽.
· 45.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전환기의 한국사회-국민의식 <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