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금융산업은 양적 성장과 질적 성장의 괴리, 금융자율화 추진과정에서 야기된 책임경영체제 확립의 미흡과 금융감독의 소홀, 금융권은 망하지 않는다는 그릇된 인식의 고착 등으로 인해 내. 외부의 충격에 취약한 구조를 갖게 되었고, 그 결과 우리는 외환위기를 맞게 되었다. 외환위기 이후 금융구조조정에 초점을 맞춘 결과 금융권의 구조조정은 상당히 진척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국내외적인 환경변화와 경쟁개념 및 고객의 변화는 금융경영에서 전략적 마케팅 개념의 도입을 더욱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포지셔닝 전략이 금융시장의 생존여부를 가늠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우리나라 금융시장은 급변하는 금융환경 속에서의 생존을 위한 제도 개선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노력들을 진정한 의미의 마케팅 기능 수행이라고는 보기 어렵다.
물론 고객위주로 마케팅 조직을 개편하는 경향들도 지금까지 금융기관이 지녀온 보수적인 체제와 비혁신적인 성향을 완전 탈피하여 마케팅 기능이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금융기관들의 효율적인 마케팅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전략적 연구와 보다 적극적인 시행 노력이 필요한 바, 선진국과 비교하여 금융 상품이나 서비스의 특수성을 감안한 경쟁력 있는 마케팅의 추진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미래의 고객은 다양한 호기심과 왕성한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철저한 고객중심인 데이터베이스 마케팅(data-base marketing)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의 금융마케팅은 사회의 많은 부분에서의 사이버마케팅에 주안점을 두고 디지털 경제로의 패러다임 전환에 대비하여 마케팅의 정보화에 가일층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물류, 유통, 판매, 서비스 등 마케팅의 모든 영역에서 컴퓨터와 인터넷을 활용함으로써 비용절감과 효율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고객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위해서 사후의 마케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관계마케팅(relationship marketing)을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사이버 마케팅은 글로벌 마케팅이기 때문에 세계의 모든 문화와 언어의 장벽을 초월하는 거래가 증가할 것이므로 나라별로 다른 고객의 보호규정에 의해 피해를 입지 않도록 대비해야 한다.
따라서 세계시장을 상대로 서비스와 정보를 판매하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법적, 정치적, 그리고 윤리적으로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상되는 피해에 대한 국제적인 규정을 만들어 고객의 피해를 최소화할 때 비로소 사이버마케팅이 건전하게 발전될 수 있다.
지금까지 금융환경의 변화에 대한 대응방안을 전략적 마케팅 차원에서 살펴봄으로써 금융시장의 고부가가치 창출 및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는 글로벌화 시대의 우리나라 금융기관들이 효과적인 대응으로 국제경쟁력 향상에 기여 될 것으로 보인다.
· 고성수, 『금융기관 부실자산 정리방안』, 한국금융연구원, 2000.
· 권재중 『금융기관 인허가제도 개선방안』, 한국금융연구원, 1999.
· 김동원, “경제위기의 원인과 금융구조 분석”, 『경제학연구』 제46집 제4호, 1998
· 김동환, 『은행과 기업의 관계와 금융시스템의 향방』, 한국금융연구원, 1999.
· 김병덕․손상호․이지언․정재욱, 『금융기관 퇴출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금융연구원, 2000.
· 김병연, “전자금융거래 확대가 금융산업에 미치는 영향”, 『전자금융의 현황과 과제』, 한국금융학회 발표자료, 2000.
· 김병연, 이상제, 『전자금융거래 확대에 따른 법․제도 정비방안』, 한국금융연구원, 2000.
· 김정한․차백인, 『국경간 금융서비스 거래 확대에 따른 규제 재정비 방안』, 한국금융연구원, 2000.
· 박대근․이창용, “한국의 외환위기: 전개과정과 교훈”, 『경제학연구』 제46집 제4호, 1998.
· 백웅기․정지만, “은행위기의 원인과 예측가능성: 한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의 분석』 제5권 제2호, 1999.
· 손상호, 『금융산업 소프트웨어 개선의 과제와 전망』, 한국금융연구원, 2001.
· 안종길, “은행위기의 발생원인과 향후과제”, 『한국경제연구』, 한국경제연구학회, 1999.
· 어윤대․임윤수, 『국제금융』, 학현사, 2002.
· 오정근․김기화, 『구조전환기의 한국 통화금융정책』, 다산출판사, 2003. 2.
· 이영섭․이종욱, “한국의 외환위기: 예측 가능했는가?”, 국제금융연구회 발표논문, 1998.
· 이종욱, “효율적 금융 및 기업 구조조정을 위한 공적자금 투입 개선방안”, 한국금융학회 발표논문, 2000.
· 정지만, 『은행의 수익성 제고를 통한 경쟁력 강화방안』, 한국금융연구원, 2000.
· 최두열,『종금사에 대한 규제감독과 외환위기 발생』, 한국경제연구원, 2001.
· 한국금융연구원, 『금융지주회사제도 개선방향』, 2000.
· 한국금융연구원, 『한국금융산업의 과거.현재.미래』, 2001.
· 한국은행, 『한국은행 50년사』, 『조사통계월보』, 각호, 2003.
· Balio, T.J.T. and A. Ubide, "The Korean Financial Crisis of 1997-A Starategy of Financial Sector Reform", IMF Working Paper WP99/28, IMF, March 1999.
· Caprio,G. Jr. and L. Summers, "Finance and its Reform: Beyond Laissez-Faire", Policy Research Working Paper No. 1171, The World Bank.
· Chang, R. and A. Velasco, "The Asian Liquidity Crisis", Working Paper 98-11, July 1998b, Federal Reserve Bank of Atlanta.
· Demirgüç-Kunt, A. and E. Detragiache, "The Determinants of Banking Crises in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IMF Staff Papers Vol. 45. No. 1, 81-109, IMF, March 1998.
· Demirgüç-Kunt, A. and E. Detragiache, "Financial Liberalization and Financial Fragility", IMF Working Paper WP98/83, IMF, June 1998.
· F<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