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김경민, 『어디까지 가자 일본 자위대』, 아침바다, 2003.
· 2. 다나카 아키히코, 『전후 일본의 안보정책』, 중심, 2002.
· 3. 권호연, 『일본 신방위정책의 분석 및 자료』, 세종연구소, 1996.
· 4. 김경민, 『일본인도 모르는 일본』, 자유포럼, 1998.
· 5. 김득주, 『일본의 군사력 증강과 한국 국제문제』, 국제문제연구소, 1991.
· 6. 겐이치신도, 『일본 군사대국화의 현장』, 사계절, 1994.
· 7. 김영춘, 『일본의 군사안보전략과 한반도』, 통일연구원, 2003.
· 8. 신희석, 『일본의 외교정책』, 을유문화사, 1991.
· 9. 이민룡, 『한국 안보 정책론』, 진영사, 1996.
· 10. 이원덕 외, 『동북아지역안보와 일본의 역할』, 세종연구소, 1998.
· 11. 이춘군, 『주한미군과 한미안보협력』, 세종연구소, 1996.
· 12. 이진영외, 『일본자위대』, 1995,
· 13. 최선근, 『탈냉전기 한국대외정책의 분석과 평가』, 세종연구소, 1998.
· 14. 하정열외, 『일본의 전통과 군사사상』, 1999,
· 15. 국제문제연구소, 『국방연감』, 1989,
· 16. 국방대학원, 『한국안전보장 논총 제11집』, 1984,
· 17. 국방군사연구소, 『일본연구 제2집』, 1994,
· 18. 강한구, 『월간국방저널』, ‘최근 일본의 동해 전력강화 의미’, 2000,
· 19. 육군본부 군사연구실, 『일본탐구』, 1989
· 20. 국방정보본부, 『2000년 일본 방위백서』. 2000,
· 21. 국방정보본부, 『2002년 일본 방위백서』, 2002,
· 22. 국방정보본부, 『2003년 일본 방위백서』, 2003,
· 23. 송영선, 송화섭, 박민규, 『일본 군사력 평가와 전망』, 1993,
· 24. 국방부, 『한일 군사외교정책 방향』, 1999,
· 1. 김동철, “통일이후 군사력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일본자위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경상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2. 김진흥, “일본의 군사대국화와 이에 대한 우리의 대응”(창원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 3. 권호연, “일본의 신방위대강 해설” 『국가전략』제2권 1호, 1996.
· 4. 남창희, “일본의 군사정책과 방위력 증강” 『군사논단』, 1997년 겨울호.
· 5. 노용래, “일본 자위대 연구” 『월간국방』제25권 2호, 2000.
· 6. 박민규, “탈냉전시대의 일본방위정책” 『국방논집』제37호, 1997.
· 7. 박홍석, “일본의 군사력 증강이 한국안보에 미치는 영향”, 1999,
· 8. 김영작, “일본 군사 대국화와 동북아 정세”-관훈클럽 세미나 발표문, 2003.
· 9. 최성계, “일본의 군사력 증강이 한국안보에 미치는 영향”, 2003.
· 10. 김경상, “한일 해군력 비교를 통한 통일 한국해군의 적정규모에 관한 연구”, 2002.
· ․국내일간지 : 경향신문, 국민일보,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한국일보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