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단행본
· 1. 『독립신문』
· 2. 강만길외 共著,『일본과 서구의 식민통치 비교 : 강만길외 공저』, 선인, 2004.
· 3. 김영한•임지현 編 ,『서양의 지적운동 1•2』, 지식산업사, 1994.
· 4. 박노자,『당신들의 대한민국』, 한겨레신문사, 2001.
· 5. ______,『나를 배반한 역사』, 인물과 사상사, 2003.
· 6. 박지향,『제국주의 ; 신화와 현실』, 서울대 출판부, 2000.
· 7. ______,『일그러진 근대』, 푸른역사, 2003.
· 8.. 전복희,『사회진화론과 국가사상 : 구한말을 중심으로 』, 한울아카데미, 1996.
· 9. 조현범,『문명과 야만: 타자의 시선으로 본 19세기 조선』, 책세상, 2002.
· 10. 유길준, 허경진 옮김,『서유견문』, 서해문집, 2004.
· 11. A. Nandy, 이옥순 옮김,『친밀한 적 : 식민주의 시대의 자아의 상실과 재발견』, 신구문화사, 1993.
· 2. 학술논문
· 1. 강철구,「서양의 제국주의와 그 역사적 유산」, 이대사원, Vol. 32(1999)
· 2. ______,「서양문명과 인종주의 : 이론적 접근 」, Vol.70, No.1(2001)
· 3. 김병곤,「사회진화론의 발생과 전개」, 역사비평, Vol- No.1(1996)
· 4. 박창호,「스펜서의 사회진화론과 오리엔탈리즘」, 담론201, Vol.6, No.2(2003)
· 5. 신연재,「구한말의 사회진화론 수용과 그 영향 :신채호의 국가사상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Vol.6 No.2(1996)
· 6. 신행선,「Ernest Renan의 “인종” 과 인종주의」, 서양사론, Vol.73, No.0(2002)
· 7. 박지향,「영국 제국주의와 일본 제국주의의 비교(1) : 인종주의를 중심으로」, 영국 연구, Vol.2, No.0(1998)
· 8. 박찬승,「한말•일제시기 사회진화론의 성격과 영향」, Vol.0, No.1(1996)
· 9. 박 희,「"세계"와 "타자": 오리엔탈리즘의 계보(2)」, 담론201, Vol.5, No.2(2002)
· 10. 전복희,「사회진화론의 19세기말부터 20세기 초까지 한국에서의 기능」, 한국정치학회보, Vol.27, No.1(1993)
· 11. ______,「19세기말 진보적 지식인의 인종주의적 특성 : 독립신문과 윤치호일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Vol.29, No.1(1995)
· 12. 정낙근,「개화지식인의 대외관의 이론적 기초」, 한국정치학회보, Vol.27, No.1(1993)
· 13.정용화,「한국인의 근대적 자아 형성과 오리엔탈리즘」, 정치사상연구, Vol.10, No.1(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