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저작권법] 디지털 컨텐츠 유통과 저작권 보호 문제에 관한 연구 :미국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책임 한계와 공정이용 조항을 중심으로

22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01.24 최종저작일 2003.08
22P 미리보기
[저작권법] 디지털 컨텐츠 유통과 저작권 보호 문제에 관한 연구 :미국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책임 한계와 공정이용 조항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소개

    근래 이슈가 되고 있는 저작권법 관련 논문으로써 실례와 판례 등을 적절히 인용함으로써 체계적이고 내실있는 자료라 생각됩니다.

    많은 도움 되길 바랍니다.

    목차

    요약문

    I. 들어가는 말

    II. 저작권 보호 제도의 본질과 디지털 환경의 도전

    III.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책임의 한계
    1. 저작권 침해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책임 한계와 관련된 사례
    2. 판례의 시사점

    IV. P2P 방식의 컨텐츠 유통과 공정이용 조항의 적용
    1. 냅스터 사례와 공정이용 조항의 해석
    2. 냅스터 사례의 경우

    V. 맺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저작권 보호의 개념이 처음 법률화되었을 때 저작물의 제작, 유통은 주로 유형적 매체를 통한 일방적 방식에 불과 하였다. 정보통신네트워크의 전송 기술 및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디지털화 된 무형적 정보가 인터넷을 통하여 빠르게 이동하는 환경을 맞이하였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인류는 정보의 제작, 축적, 전달, 이용 과정에서 혁신적인 편리함을 향유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저작권 보호라는 관점에서 컨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전달하고 이용하는 주체 간 모두에게 새로운 규제의 틀을 필요로 하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김행남·김흥수·정상기, 1997). 이러한 상황은 과거에는 거의 상상할 수 없었던 발전이며 급변하는 기술과 이에 대응하는 법의 경계점에서 저작물의 제작자, 전달자 및 이용자들이 디지털 컨텐츠의 유통 및 이용과 관련하여 적법성 또는 불법성을 고민할 수밖에 없는 매우 복잡하고 미묘한 처지에 직면에 있다고 할 수 있겠다(박문석, 1997).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 컨텐츠의 유통과 저작권 보호 문제를 생각해 볼 때 이런 미묘한 위치에 자리잡고 있는 주체 중의 하나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net Service Provider)이다. 인터넷에서 디지털 컨텐츠가 유통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가치사슬에 정보제공자, 정보전달자, 정보사용자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는 정보전달자의 역할을 하면서 정보통신설비를 이용하여 정보제공자와 정보사용자가 서로 사이버 공간에서 교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는 정보전달자로서 정보제공자와 정보이용자를 매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저작권 침해행위와는 관련이 없어 보인다. 하지만 디지털 컨텐츠에 의한 저작권 침해행위가 발생하는 경우 정보전달자인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설비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사이버 공간이 그 토대가 되기 때문에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는 저작권 침해의 책임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도 없는 입장이다.

    참고자료

    · 참고문헌
    · 김행남·김흥수·정상기(1997). 정보통신망의 발달과 지적재산권법의 대응. 《계간저작권》 가을호.
    · 박문석(1997). 《멀티미디어와 현대저작권법》, 서울:지식산업사.
    · 박문석(1998). 글로벌 디지털시대의 방송환경 변화와 바람직한 저작권 정책 방향. 《저작권 세미나 글로벌 디지털시대의 방송통신 융합현상이 저작권에 미치는 영향》 문화관광부.
    · 유선실(2000). MP3 서비스로 살펴본 인터넷음악산업의 현황과 전망. 《KISDI IT FOCUS 3월》. 3-19.
    · 유의선(2000). 전자출판 저작물의 적정보호 수준. 《한국언론학보》 44-3. 222-255.
    · 윤기호·우지숙·김병준(1999). 지식정보화사회에서의 지적재산권보호에 대한 경제적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보고 99-18.》
    ·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1999). 《온라인 서비스제공자의 저작권 침해 책임》.
    · 전영표(1993). 《정보사회와 저작권》 서울:법경출판사.
    · 정상기(1999). 《MP3 등 디지털음악저작물의 보호 및 이용에 관한 연구》 문화관광부.
    · 정상기(1996). 분야별 법적 보호 방안- 신문계 뉴미디어. 《뉴미어와 저작권》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총서.
    · 정상조(2000). 《인터넷과 법률》 서울:현암사.
    · 한겨레(2001, 3.7). “냅스터, 음악파일 3일내 차단하라.”
    · http://www.hani.co.kr/section-010000000/2001/010000000200103072337559.html.
    · 한국일보(2001, 2.13)“냅스터 음반 무료다운로드 위법.”
    · http://www.hankooki.com/netInfo/200102/ni20010213185932n001347.htm
    · 한승헌(1992). 《정보화시대의 저작권》 서울:나남.
    · 허희성(1996). 뉴미디어 출현과 저작권 환경변화. 《뉴미어와 저작권》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총서.
    · 황희철 (1996). 정보통신망 발전과 저작권. 《뉴미어와 저작권》 서울: 한국언론연구원 총서.
    · Auf Der Maur, R. (1999). Internet distribution of music performances, International Business Lawyer, 27(4). 165.
    · Bloom, N.A.(1997). Protecting copyright owners of digital music- no more free access to cyber tunes. Journal of the Copyright Society of U.S.A. 42(1), 179-204.
    · Boldan, J.(2000). Who is responsible for shrinking market? http://korea.cnet.com/news/2000526e.html.
    · Forrester Research (2000). Digital download accelerate.
    · Ginsburg, J.C. (1999). Copyright legislation for the "digital millennium," Comubia-VLA Journal of Law and the Arts, 23(2), 137-79.
    · Greenfeld, K.T.(2000, March 27). The free juke box. http://www.time.com/everyone/magazine/sidebar napster.html.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