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본 글은 최근 우리사회의 화두인 얼짱, 몸짱, 웰빙, 다이어트 열품 현상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는 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본 글은 제가 최선을 다해 작성한 자료입니다. 지금 이 가격에 제 자료를 선택하시고 나서 후회하실 일은 아마 없을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습니다.
목차
*몸, 육체 그 논의의 대상을 무엇으로 할 것인가?1. 육체 담론의 역사
2. 어떻게 이데올로기를 생산했는가?
① 욕망을 창조하는 자본주의 전략
②능력 표출의 수단
③ 주체가 되지 못하고 대상으로 전락한 몸
④ 타인의 시선이 지배하는 내 몸
- 맥킨리(McKinley;1995)가 제안한 '객체화된 신체의식' 개념
⑤ 가부장제
3. 현실사회의 수용자 읽기
① 얼짱, 몸짱
- 루키즘
- 미인대회
- 다이어트
- 웰빙
- metrosexual.
② 누드열풍 - 아름다운 몸 간직하기의 사회적 열망
③ TV프로그램분석
④ 몸값
4. 실제 사례(논문) 분석
- 여성의 날씬한 몸에 관한 미디어 담론 분석 (윤태일, 한국언론학보, 2004)
5. 질문 및 대답
<참고문헌>
본문내용
*몸, 육체 그 논의의 대상을 무엇으로 할 것인가?몸이 이 시대의 화두가 되고 있다. 언론매체를 고정적으로 장식하는 미용과 건강관련기사, 다이어트와 성형수술 광고에서부터 외모차별 논란, 비만과 섭취장애문제, 에로티시즘과 성의 상품과 논란, 연예인 누드열풍, 동성애담론, 그리고 이른바 '꽃미남', '얼짱', '몸짱','웰빙'신드롬까지... 이 모든 주제를 관통하는 하나의 기호는 몸이다. 몸의 문제는 일상생활에서 뿐 아니라 철학, 문학, 사회학, 인류학, 심리학, 의학 등 여러 학문 영역에서도 중요한 연구주제로 등장했다.
몸의 관리는 신체 내부를 위한 관리와 신체 외부를 위한 관리로 나눌 수 있다. 신체 내부를 위한 관리에는 건강을 지키고 몸을 즐겁게 하는 데 필요한 소비 품목들이 주로 해당된다. 그것은 각종 비타민, 건강보조식품, 보약, 정력제와 보양탕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주로 건강이 염려되는 중년층이 주요 소비층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몸에 대한 물신 숭배적 가치관이 증대하면서 지금은 이들 제품의 소비계층의 연령대가 점차 넓어져서 젊은 사람들도 각종 보양식을 즐기는 것이 현실이다.
한편 신체 외부를 위한 관리는 외모의 아름다움을 가꾸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이것은 주로 여성들의 몫으로 간주되었다. 신체 외부를 위한 소비 품목으로 다이어트식품은 기본이고, 체지방 줄이기를 위한 각종 약물과 주사, 체지방 제거수술, 연예인 OOO의 눈, XXX의 코와 같이 원하는 이목구비를 위한 미용성형, 피부 톤을 투명하게 만들기 위한 각종 피부 스케일링, 주름 제거를 위한 보톡스(Botox) 주사에 이르기까지, 마음에 드는 외모와 아름다운 몸을 위해서 우리가 지출하고 투자할 수 있는 항목의 수는 셀 수 없이 많다. 더욱이 최근에는 남성들도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경향이 뚜렷해져 남성을 위한 화장품과 향수, 남성전용 미용실 등이 늘어나고, 귀걸이나 목걸이 등 액세서리로 치장한 남성을 거리에서 쉽게 만나게 되었다. 이제 외모 가꾸기는 여성만의 관심사가 아니며, 20~30대 젊은이들만의 몫이 아님이 분명해진 것이다.
육체의 담론은 욕망하는 육체, 소비하는 육체로서의 몸을 그 핵심으로 한다. 여성의 경우 육체는'살과의 전쟁'이 일어나는 장소요, '날씬함'이라는 미적 욕망을 실현시키기 위한 소비의 대상이다
이렇게 몸의 문제가 일상생활에서나 학문적으로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된 이유는 몸이 경합의 대상이 되었기 때문이라고 터너는 한마디로 요약한다. 그리고 이런 몸의 경합은 몸이 중요한 생산체계들의 접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오늘날 몸은 '상품들의 집합체이거나 그 상품들의 영역'이고 '의학적 실험 및 발전의 상업적 대상'이며, 생물학적 발전 및 군사적 연구의 소재'이며, '광고 메시지와 판촉의 매개체'이자 대상이고, '법적 도덕적 논쟁의 문제 거리'로 되었다. 또 몸은 자아 정체성의 일부로 수행되어야 하고 완성되어야 할 일종의 프로젝트의 예이며, 우리에게 몸은 이제 <font color=aaaaff>..</font>
참고 자료
크리스쉴링, <몸의 사회학>권영신, <몸에 관한 수다들> -바자 1997. 9
이영자, <소비자본주의 사회의 여성과 남성> -나남
김용호, <몸으로 생각한다>
터너, <몸과 사회>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몸의 사회학 4페이지
- 거식증과 폭식증의 사회적 의미와 원인분석 11페이지
- [사회와문화] 몸의 사회학 8페이지
- 외모지상주의 10페이지
- [여성]사회적 접근으로 바라본 다이어트와 식이장애 2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