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연구의 필요성
학업은 진로 준비를 위해 중요한 과제이며, 이는 학생들이 미래의 직업 생활을 대비하는 데 필수적인 과정이다[1]. 또한 성공적인 대학 생활에서 학업 성취도는 중요한 변수로, 이는 학생들이 재학 기간 학업적 요구를 얼마나 충족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객관적 지표이다[2].
최근 몇 년간 증가하는 취업난으로 인해 고등학생들은 취업 전망이 밝은 학과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간호학과는 취업 전망이 좋아 많은 학생의 주목을 받고 있다. 실제로 간호학과 입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많은 학생이 주로 취업 전망을 고려하여 간호학과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
그러나 취업 전망만을 보고 간호학과에 입학한 대학생들은 자신의 강점과 전공 사이의 차이를 경험하게 되며, 이는 학습 흥미도의 저하로 이어져 낮은 전공만족도를 초래할 수 있다. 낮아진 전공만족도는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셀프리더십의 저하와도 연결될 수 있다.
셀프리더십은 자신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자기 스스로의 행동이나 사고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끄는 과정을 의미한다[4]. 셀프리더십이 높은 간호학과 학생일수록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며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지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셀프리더십, 진로 태도 성숙, 전공만족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에서도 전공만족도는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5].
이론 강의 및 실습을 병행하며 간호사 면허증 취득을 위한 과정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간호대학생들은 학업 성취도 저하를 경험할 수 있다[6]. 따라서 이러한 학생들의 효과적인 진로 준비를 위해 학업 성취도 향상과 높은 전공만족도와 셀프리더십이 중요하다. 그러나 전공만족도, 셀프리더십, 학업 성취도 간의 관계를 연구한 선행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관계를 직접 분석하여 간호대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높이기 위하여 필요한 전공만족도와 셀프리더십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학업 성취도를 향상 시키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김영숙. (2020). 간호대학생의 비판적사고와 문제해결 능력과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7), 100-108.
· 박동진, & 지은미. (2022).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임상수행능력의 관계: 간호전문직관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3(8), 268-275.
· 김명숙. (2021). 간호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사회적 책임성, 변혁적 리더십이 진로 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7(4), 248-258.
· 김두리, 임효남, & 김진일. (2020).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3), 369-377.
· 오은진, & 공정현. (2019).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및 진로태도성숙, 전공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통합의학회지, 7(1), 135-144.
· 김영주. (2023).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업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비즈니스융복합연구, 8(3), 31-35.
· 박지연, & 조경덕. (2019). 전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진로사고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32(1), 61-76.
· 김성준. "블렌디드 러닝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셀프리더십이 학업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4.
· 김명희. (2021).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셀프리더십, 간호전문직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Doctoral dissertation, 부경대학교)
· 주은경, & 한정원. (2021). 간호대학생의 내재적 전공선택동기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전공만족도의 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2(6), 1267-1281.
· 문미영. (2019).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과 학습태도, 학업성취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의 관련성.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4), 665-675.
· 김종임. (2018).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셀프리더십, 심리적 안녕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12), 574-583.
· 김영숙. (2020). 간호대학생의 비판적사고와 문제해결 능력과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7), 100-108.
· 김영선, & 이현주. (2021). 간호대학생의 창의적 리더십과 셀프리더십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 531-546.
· 오윤정, 이은선, 박명숙, & 이은미. (2021).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셀프리더십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23(2), 787-797.
· 문숙자. (2020). 액션러닝 교수학습방법을 활용한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간호리더십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1(1), 494-503.
· 유민영.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셀프리더십 및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 국내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서울
· Karaman, F., KavgaoĞlu, D., Yildirim, G., Rashidi, M., Ünsal Jafarov, G., Zahoor, H., & Kiskaç, N. (2023).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leadership scale for nursing students: a methodological study. BMC nursing, 22(1), 110.
· Yildirim‐Hamurcu, S., & Terzioglu, F. (2022). Nursing students' perceived stress: Interaction with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leadership. Perspectives in Psychiatric Care, 58(4), 1381-1387.
· Yildirim, N., Kantek, F., & Yilmaz, F. A. (2022). Relationships between leadership orientations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nursing students. Perspectives in Psychiatric Care, 58(3), 903-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