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출생해서 기육이 두텁고 온 몸의 혈색이 홍색 윤택해서 1달을 찬 뒤에 점차 마르며 눈이 흰자가 분홍색이며 5심에 열이 있고 대변 보기 어렵고 때때로 침을 토함이 이것이 태비이다.
更看父母肥瘦, 肥不可生瘦, 瘦不可生肥, 治亦天麻浴湯.
*浴湯:澡(씻을 조; ⽔-총16획; zǎo)堂, 浴池 。 ≒沐浴湯
다시 부모가 살찌고 마름을 보고 살찌면 마른 아이를 낳을 수 없고 마르면 살찐 아이를 낳을 수 없으니 치료도 또한 천마 목욕탕으로써 한다.
胎熱
태열
兒生下有血氣, 時叫哭, 身壯熱, 如淡茶色, 目赤, 大便黃赤, 糞稠, 急食乳, 此胎熱也.
아이가 탄생해 혈기가 있고 때로 통곡하려고 하며 몸이 고열이 있고 마치 담담한 차색이며, 눈이 충혈되며 대변이 황적색이며 변이 끈적하면 급히 젖을 먹으려고 함이 이것이 태열이다.
治亦宜天麻浴湯.
태열치료도 또한 천마욕탕이다.
治小兒胎怯, 胎肥, 胎熱等諸疾, 天麻浴湯
소아 태겁, 태비, 태열등의 여러 질병 치료는 천마욕탕이다.
天麻(二錢) 蠍尾(去毒, 爲末) 硃砂末 白礬末(各半錢) 麝香(一字) 烏蛇肉(酒浸, 去皮, 焙乾, 爲末)青黛末(各三錢)
*麝의 원문은 射이다
천마 8g, 독을 제거하여 가루낸 전갈미, 주사가루, 백반가루 각 2g, 사향 9g, 술에 담가 껍질 제거하고 약한 불로 구워 가루낸 검은뱀고기, 청대가루 각 12g
右爲末勻, 每服三錢, 水三碗, 桃枝葉五七條, 煎十數沸, 帶熱浴之, 勿得浴背, 湯須適溫熱用.
위 약제를 고르게 가루내어 매번 12g을 복용하니 물 3사발을 복숭아가지와 잎 5,7가지에 달여 십여번 끓게 하며, 열을 띠고 목욕하며 등은 목욕하지 않게 하며 탕물은 반드시 온열을 적당하게 하여 사용한다.
治小兒胎熱, 或乳母飲食麄惡辛苦, 乳汁不起, 兒色如淡茶黃色, 瘦瘠不爲肌膚, 四支痿躄 繚戾, 服之充悅健壯.
위 약은 소아 태열이나 혹은 유모가 추악하고 맵고 쓴 것을 먹어 유즙이 돌지 않음, 아이 색이 담담한 차의 황색, 수척해 살이 되지 않음, 사지가 늘어져 힘이 없음, 비틀리고 굽어서 복용하면 건장하게 한다.
*茶黄[cháhuáng]황토색.
*肢의 원문은 支이다
*繚戾:回旋曲折엉성하게 얽어지다, 비틀리고 굽은 것.
*茶黃: 옛날 병명의 하나. 어린이의 온몸이 누리면서 붓는 병증
*充悦:chōng yuè。欣(기뻐할 흔; ⽋-총8획; xīn)喜自得貌。形容精神焕发。
芍藥(二兩半) 柴胡(去苗, 二兩半) 鼇甲 茯苓(去黑皮, 各一兩半) 人參(去蘆) 大黃(各一兩)甘草 乾薑(各半兩, 如熱, 卽用枳實)
작약 100g, 싹을 제거한 시호 100g, 별갑, 흑색껍질 제거한 복령 각 60g, 노두 제거한 인삼, 대황 각 40g, 감초, 열증이면 지실을 사용한 건강 각 20g
*柴胡의 二兩半의 원문은 二兩.
右爲末, 煉蜜和丸, 大豆大, 百日至一歲兒服一丸.
위 약제를 가루내어 졸인꿀로 콩 크기로 환을 만들어 100일에서 1세 아이에게 한 환을 복용하게 한다.
乳服, 日二, 量兒大小增減.
젖을 복용하길 하루에 두번 하고 아이 대소를 헤아려 증감한다.
胎不治病
*諸의 원문은 胎(아이 밸 태; ⾁-총9획; tāi)이다
신생아
胎內十二證
태내의 12가지 불치병 증상
一、雙瞽, 二、隻眇, 三、駢拇, 四、六指, 五、體殘, 六、支廢, 七、獨腎, 八、瘖啞, 九、缺脣, 十、社老, 十一、攣拳, 十二、侏儒.
*眇(애꾸눈 묘; ⽬-총9획; miǎo)
*骈(나란히 할 변; ⾺-총9획; pián)拇[piánmǔ]1육손이. 육발이.2군더더기. (=骈枝)
*社(토지의 신 사; ⽰-총8획; shè)조직체. 단체. 조합.地神. 지신제(地神祭). 지신제 의례. 지신제 장소. 지신 제삿날.
1 두눈 시력멀음, 2 사팔뜨기 3육발이 4 육손이 5 몸이 장애, 6사지장애, 7고환 한쪽만 8 벙어리 9 입술 결손 10 사노, 11 말린주먹 12난장이
胎外十二證
태외 12증
一、睛凸, 二、近覩, 三、鼻齆, 四、耳返, 五、結喉, 六、項癭, 七、舌短, 八、節彈, 九、龜胸, 十、駝背, 十一、膝並, 十二、交脛.
1 눈동자돌출, 2 가까이만 봄, 3비옹, 귀가 뒤집힘, 5아담스애플 튀어나옴, 6뒷목의 영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