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 문 초 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모병제로의 전환 가능성을 병력동원 관점, 소요비용 관점, 사회적 인식 관점에서 우리나라와 관련하여 검토하는 것이다.
최근 독일을 포함한 많은 유럽 국가들과 대만이 징병제에서 전문병사에 의한 병역 이행인 모병제로 전환하였다. 21세기는 냉전종식, 민주화, 인구 노령화 등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제대군인 가산점제도는 1999년 12월 23일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결정이 내려졌다. 그러나 최근에 국방부와 정치계에서 재도입이 논의되고 있다. 수정된 새로운 개정안에 따르면 제대군인의 가산점 비율이 상당히 제한되어 있어 합리적으로 규율되어 있다.
징병제는 평등원칙, 국민주권주의, 공화주의에 부합하는 제도라는 점과 모병제가 시행되고 있는 미국과 독일에서 현재 징병제가 법적으로 완전히 폐지된 것이라기보다는 ‘정지’되어 있는 현실을 고려해 볼 때 징병제를 유지하면서 전문요원제를 활성화함이 바람직하다.
통일 이후 모병제로의 전환을 검토해 볼 수 있으며 미국의 사례가 모델이 될 수 있다. 미국의 경우 베트남전과 징병제의 불공정이 징병제를 변화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닉슨 행정부는 게이츠 보고서에서 모병제로의 전환에 의해 예산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합리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중매체를 통한 효과적인 정책 홍보와 적극적인 설득이 여론을 변화시켰다. 이것은 우리나라에 많은 점을 시사한다. 국제 정세와 국민의 인식 변화와 모병제로의 전환을 위한 명확한 정부의 목표가 국회의 입법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징병제, 모병제, 병력동원, 병역의 형평성, 제대군인 가산점제도, 전문요원제, 국민의 인식변화.
· 이상목, “모병제도입과 국방인력비용의 추정에 대한 연구,”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11.
· 김광식, “유럽병역제도 변화에 따른 한국의 시사점,” 주간국방논단 제1401호, 한국국방연구원, 2012.
· 김민수, “평화적 생존권에 관한 헌법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김원홍, 백영주, 박복순, “주요국의 여성정책 추진체계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 김주찬, 선종렬, “병역제도 변화요인 분석,”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08. 12.
· 남궁곤, 김근혜, “미국의 모병제 도입 연구 – 닉슨 행정부의 수정병역법(1971) 입법적 성공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3(2), 2012.2.
· 박영준, 김현준, “병역제도 재설계를 위한 모병 – 징병 간 행태적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5.
· 윤지원, “‘모병제 도입,’ 세계 주요 국가들의 모병제 현황과 대안 모색,” 국방과 기술, (452).
· 윤진숙, “여성의 병역의무에 대한 법이론적 고찰,” 공법학연구 제8권 제4호, 2007. 11.
· 이경주, “평화적 생존권의 헌법실천적 의의,” 민주법학, 제41권, 2009.
· 이태우, “한국군의 모병제 전환 가능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정연주, “군가산점제 재도입의 헌법적 문제,” 공법학연구 제13권 제1호, 2011.
· 정혜인, “모병제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법조 제63권 제4호, 2014.
· 한인섭, “양심적 병역거부 그 처벌의 위헌성,”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 법과 정책 제21권 제3호, 2015.
· Bailey Beth, “America’s army: making the all-volunteer for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of Harvard, 2009.
· Bicksler, Barbara A., “The All-Volunteer Force: Thirty Years of Service,” Washington D. C.: Brassey’s, 2004.
· Margaret Levi, “Conscription : The Price of Citizenship,”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8.
· Martin C. Anderson, “The Making of the All-volunteer Armed Force,” Hoover Institution Press, 1991.
· ONeal, John O, “Bugetary Savings from conscription and burden sharing in NATO, in: Defense Economics,” Vol. 2, 1992.
· Rostker Bernard, D., “I want you!: the evolution of the All-Volunteer Force,” Santa Monica : RAND Corporation, 2006.
· , “America Goes to War : Managing the Force During Times of Stress and Uncertainty,” Santa Monica : RAND Corporation, 2007.
· Tarr, Curtis W., “By the Numbers: The Reform of the Selective Service System,” 1970-1972. Washington D. C.: National Defense University Press,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