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GOLD
GOLD 등급의 판매자 자료

인천 남동구 지역사회 건강사정, OMAHA 체계 통한 간호문제 진단, 우선순위 설정, BPRS, 간호계획, 간호계획표 지역사회간호학실습 보건소실습, 간호진단 4개

11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5.08.02 최종저작일 2023.11
115P 미리보기
인천 남동구 지역사회 건강사정, OMAHA 체계 통한 간호문제 진단, 우선순위 설정, BPRS, 간호계획, 간호계획표 지역사회간호학실습 보건소실습, 간호진단 4개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인천 남동구 지역사회 건강사정, OMAHA 체계 통한 간호문제 진단, 우선순위 설정, BPRS, 간호계획, 간호계획표 지역사회간호학실습 보건소실습, 간호진단 4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지역사회 건강사정 1
    가. 지역사회의 특성 1
    나. 대상 인구의 특성 9
    다. 지역사회의 각종 자원 44
    라. 보건사업 현황 82

    II. OMAHA 문제분류체계를 적용한 지역사회 간호문제(진단) 90

    III. 지역사회 간호문제 우선순위 설정 91

    IV. 지역사회간호 계획 106

    V. 참고문헌 111

    본문내용

    I. 지역사회건강사정

    가. 지역사회 특성
    1. 역사와 성장과정

    삼국시대의 남동구는 주요 교통로의 기능이 강했다. 고려시대에는 도로와 역원제도가 한층 확립되어 신라시대의 역과 간선도로가 많이 정비되었다. 그 결과로 만들어진 중림역과 경신역은 조선시대에까지 이어져서 조선시대에 인천에서 부평이나 한양으로 갈 경우, 사람들은 대개 남동구 지역을 거쳐 다녔다. 이와 같이 고려시대는 물론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남동구는 인천부의 변두리 지역에 불과했다.
    1914년 3월 일제는 부령 제111호에 따라 부천군을 새로 만들었는데 현재의 남동구는 대부분 부천군으로 편입되었다. 일제는 부천군을 만들면서 이전의 15개 면을 통폐합하였는데, 남동구 지역은 다주면(多朱面)과 남동면(南洞面)에 속하였다. 그 후 1921년 남동 염전이 생겼으며 그 이후로도 인천 지방에 염전이 많이 만들어졌다. 그 결과, 1932년 남동 염전을 비롯한 인천 관내 염전에서 전국 소금 생산량의 절반인 15만 톤을 생산하였다. 1937년 개통한 수원~인천 간의 수인선 철도는 남동염전의 남쪽 해안을 매립하고 소래에 철교를 놓아 만들어서 처음부터 소금을 운반하는 기능을 담당하였다. 한편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생긴 부천군 다주면은 1937년, 남동면은 1940년에 인천부에 편입되면서 없어졌다. 1945년 광복 후 남동구 지역은 지방자치법 실시에 따라 인천시 남동출장소가 설치되면서 그 관할 구역이 되었다. 1968년 1월에는 구(區) 설치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인천시가 중, 동, 남, 북구 등 4개 구를 설치해 시 전역을 나누었고, 이때 남동구 지역은 남구에 편입되었다.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소래포구가 새우젓 시장으로 점차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 시작하여 1981년 7월 인천시가 직할시로 승격된 뒤 남구 지역의 인구가 급격히 증가했다. 1980년 7월 그동안 남동염전이 있던 논현동과 고잔동 일대 해안에 남동공단 조성 계획이 확진되어 추진되어 대규모 국가 공단이 되었다. 남동공단이 추진되는 사이에 인구가 늘어난 남구는 1988년 1월 대통령령 제12367호에 따라 남동구와 남구로 나뉘어졌다. 1984년 구월동 1138번지 일대에는 인천광역시청 청사가 건립되어 남동구 일대가 인천의 중심 지역으로 자리 잡아가기 시작했다.

    참고자료

    · SNUH 서울대학교병원 N 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List.do
    · 고용노동부, https://www.moel.go.kr/index.do
    · 국가통계포털(KOSIS), https://kosis.kr/index/index.do
    · 남동구 보건소 홈페이지, https://www.namdong.go.kr/clinic/
    · 남동구청 홈페이지, https://www.namdong.go.kr/
    ·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https://www.mohw.go.kr/
    · 소래포구축제 홈페이지, https://www.namdong.go.kr/soraefestival/
    ·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 https://www.nfds.go.kr/
    · 에어코리아, https://www.airkorea.or.kr/web/
    · 인천광역시 남동문화재단, https://www.namdongcf.or.kr/user/index.php
    · 인천광역시 인천데이터포털, https://www.incheon.go.kr/open/index
    · 인천광역시 정보공개포털, https://www.incheon.go.kr/open/index
    · 인천광역시수도사업본부, https://www.incheon.go.kr/water/index
    · 행정안전부 https://www.mois.go.kr/frt/a01/frtMain.do
    · 2021 인천의 사회지표
    · 2022 남동구정백서
    · 2022 인천의 사회지표
    · 2022 지역사회 건강통계 인천 남동구
    · 2022년 제34회 남동구 기본통계
    · 2023 인천 남동구 문화다양성 기초조사연구 결과보고서
    · 2023년 9월 대기질 평균자료
    · 2023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안내_구강보건
    · 고용노동부, 2022년 전국지방자치단체 일자리대상 우수사례집
    · 국가통계포털(KOSIS), 2022년 가구원수별 가구
    · 국가통계포털(KOSIS), 2022년 성 및 연령별 1인 가구
    · 국가통계포털(KOSIS), 인구동태건수 및 동태율(출생)
    · 국가통계포털(KOSIS),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시도/시/군/구)
    · 남동구보건소, 제8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인천 남동구
    · 남동구청, 2023년 기초생활수급자 현황
    · 남동구청, 2023년 독거노인 및 장수노인 현황
    · 남동구청, 2023년 의료급여 대상자 현황
    ·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 [행정구역-인천광역시-남동구] 화재건수
    · 인천광역시 정보공개포털, 2023년 3분기 환경소음측정망 측정결과
    · 인천광역시 정보공개포털, 하천 및 도시관류 수질현황(2023년 10월)
    · 인천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2023년 10월 원정수 및 수도꼭지 수질검사 결과
    · 인천광역시청, 2023년 기초생활수급자 현황
    · 주간 건강과 질병•제15권 제26호(2022. 6. 30.), 2021-2022절기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 사업 현황
    · 행정안전부, 2022년 전국 지역안전지수 공표
    · 행정안정부, 2023년 연령별 인구현황
    · 김미경 (2023.11.09.). `둘 중 한명 중산층 인식`...사회갈등 원인은 빈부격차. 디지털타임스,Retrieved from https://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3110902109958044002&ref=naver
    · 김민 (2021.04.14.). 인천지역 최근 3년간 자살시도자 40% 증가. 경기일보, Retrieved from http://www.kyeonggi.com/2358212
    · 김주리 (2023.02.28.). 저소득층, '자살 생각' 2배 높아…10명 중 7명은 '만성질환'. 서울경제, Retrieved from https://www.sedaily.com/NewsView/29LXED3O14
    · 김주연, 민나리, 윤연정, 최훈진 (2022.01.03.). 외로움이 불러올 미래는...코로나 기간 우울증 환자 10년 새 최대폭 ‘증가’. 서울신문, Retrieved from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
    · 모두가 알면서도 해결 못 하는 OECD 1위 한국 자살률. (2022.07.27.). 매일경제,Retrieved from https://www.mk.co.kr/news/editorial/10400837
    · 박동혁. (2023.07.13.). 천안시, 노인 구강건강관리 서비스 ‘눈길’...TV 방영. 충청뉴스. Retrieved from http://www.cc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1328
    · 박양명 (2021.02.15.). 독감 환자 줄자, 건보재정 지출도 덩달아 줄었다. 메디컬타임즈,Retrieved from https://www.medicaltimes.com/Users/News/NewsView.html?mode=view
    · 박흥서 (2023.04.01.). 인천시, 비대면 정신건강 서비스 확대 실시. 대한경제, Retrieved from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304011602195120677
    · 서민지 (2021.10.15.). 2030년 불안·우울증으로 연간 1조 달러 손실. MEDI:GATE NEWS, Retrieved from https://m.medigatenews.com/news/2527741344
    · 성진규 (2023.04.24.). 우울증도 전염된다? 부부 중 한 명이 우울증 있다면 배우자도 우울증 위험↑. HiDoc 뉴스, Retrieved from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786863
    · 신선혜 (2023.10.06.). 질병관리청, 학생 연령대 중심 인플루엔자 유행 빠르게 확산. 미디어이슈, Retrieved from http://m.mediaissue.net/2280478
    · 안상준 (2023.10.04.). 우울증, 10년 새 60% 급증·연간 손실 1270조. 대책 마련 시급. 브릿지경제, Retrieved from https://www.viva100.com/main/view.php?key=20231003010000213
    · 원성훈. (2023.08.14.). 조명희 "잔존 치아 1개 증가 시 5년 생존율 4% 상승…임플란트 보험적용 확대해야". 뉴스웍스. Retrieved from https://www.newswork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24335
    · 유진주 (2022.02.24.). 인천 실업률은 남동구, 고용률은 옹진군 '최고'. 경인일보,Retrieved from http://m.kyeongin.com/view.php?key=20220223010004465
    · 이경화 (2023.11.28.). 저출산·고령화에 국민연금·건보조기고갈 우려… 걸음마 뗀 개혁 ‘가시밭길’. 뉴스핌, Retrieved from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21128000285
    · 이상진. (2021.04.19.). 건양대 웰다잉융합연구소 “구강건강이 만성질환, 신체활동 다음으로 중요”. 금강일보. Retrieved from http://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841919
    · 이영환 (2022.08.23.). 상반기 고용률 역대 최대, 제조업 중심 지역 실업률 높아. 뉴시스,Retrieved from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823_0001987204&cID=10401&pID=10400
    · 이재혁 (2023.08.23.). 지속적인 저소득 상태가 당뇨 위험 높인다 극저소득층 57% 더 위험. 메디컬투데이, Retrieved from https://m.mdtoday.co.kr/news/view/1065600764010396
    · 임재희 (2021.01.30.). 독감백신 미접종 65세이상 사망률, 접종자보다 6.2~8.5배↑. 뉴시스, Retrieved from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0320936
    · 정성식 (2023.11.03.). 저소득층~시설종사자 인천시민 아우르는 복지예산 커진다. 기호일보, Retrieved from http://www.kiho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56488
    · 최봉영 (2023.10.03.). 작년 우울증·불안장애 진료 환자 906만명. 동시 진료는 55만명. M메디 소비자뉴스, Retrieved from http://www.medisobiz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0662
    · Ya-Hong Liang, Chyuan Chou, Ying-Jen Chen, Yen-Fang Chou, Ching-Yi Lin, Caroline Chou, Tze-Fang Wang (2020). Impact of periodontal disease and chewing ability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an affluent community. Journal of the Formosan Medical Association, 119(11), 1693-1701. doi: 10.1016/j.jfma.2020.01.002
    · 강현경 (2019). 저작불편 호소여부에 따른 신체활동, 정신건강, 구강건강 및 삶의 질의 관련성, 한국구강보건과학회, 7(2), 1-8.
    · 최다솜, 손기화, 이해우 (2021). "온라인 기반 우울 자가관리 프로그램 효과성 평가 연구 「마음터치 블루」를 중심으로". 정신건강연구집, 11(-), 22-37.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내용의 깊이가 뛰어나고,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과제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