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A0] 한국 언론의 문제점과 대응방안에 대한 고찰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수업에서 중간고사 대체 과제로 작성했던 리포트입니다. 선정성, 편파성, 출입처 관행을 한국 언론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원인으로 보고, 각각의 문제점, 확산배경, 대응방안에 대해 고찰하였습니다.
1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24.12
13P 미리보기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A0] 한국 언론의 문제점과 대응방안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소개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수업에서 중간고사 대체 과제로 작성했던 리포트입니다.

    선정성, 편파성, 출입처 관행을 한국 언론의 신뢰도가 떨어지는 원인으로 보고,
    각각의 문제점, 확산배경, 대응방안에 대해 고찰하였습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클릭 베이트
    2. 출입처 관행
    3. 극단적 정파성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영국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의 ‘2024 디지털뉴스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 중 10명 중 3명만이 전반적으로 뉴스를 신뢰하고 있었다. 31%라는 응답률은 47개국 중 38위, 아시아·태평양 11개국 중 최하위로 매우 저조한 수준이었다(이현우·박영흠·김선호, 2024). 비슷한 결과로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23 언론수용자 조사’에서도 37.8%의 응답자만이 ‘뉴스 및 시사정보 전반에 대해 신뢰한다’고 답했다(한국언론진흥재단, 2023). 언론의 신뢰도 하락 현상은 오래전부터 세계 각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한국의 경우 그 정도가 특히 심각하다. 정보나 사실을 전달하는 언론은 수용자가 그 정보를 믿을 수 있어야 존재의 가치가 증명되기 때문에(김학희, 2011), 신뢰받는 언론이 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언론의 신뢰는 민주주의가 제대로 작동하는 것에도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오현경, 2022), 민주주의에 위기가 닥친 현 상황에서 시급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언론을 신뢰한다는 것은 “특정 언론사의 기능에 대해 만족할 것을 기대하면서 해당 언론사가 제공하는 뉴스 콘텐츠의 영향을 기꺼이 받아들이고자 하는 수용자의 의향”(Hanitzsch, van Dalen, & Steindl, 2018, p. 5)으로, 수용자가 특정 언론사가 잘 작동할 것이라 믿고, 그들이 제공하는 뉴스 내용을 수용하려는 태도를 말한다. ‘2023 언론 수용자 조사’에 따르면, 수용자들은 ‘낚시성 기사’, ‘편파적 기사’, ‘어뷰징 기사’를 한국 언론의 문제점으로 지적했는데(한국언론진흥재단, 2023), ‘2010 언론 수용자 조사’에서도 언론의 우선적 개선점으로 ‘특정기업이나 광고주를 위한 편파적 보도태도’,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보도’를 제기하고 있었다(한국언론진흥재단, 2010). 10년이 넘는 세월동안 동일한 문제는 반복되었고, 수용자들은 변함없는 태도를 지켜보며 믿음을 잃어버린 것이다.

    참고자료

    · 금준경 (2023, 11, 12). [해외 미디어 동향] 뉴욕타임스 유료구독자 1000만 돌파의 의미. <미디어오늘>. URL: https://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3729
    · 김경희·송경재 (2018) 누가 2위 포털인 다음 뉴스를 이용하는가? 포털 뉴스 이용자의 특성과포털 뉴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2권 6호, 141-164.
    · 김수정·정연구 (2011). 무(無)보도 현상과 언론윤리 그리고 한국사회의 이념갈등: 국정원, 기무사 민간사찰 관련 보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53권, 5-28.
    · 김수정·정연구 (2018). 한국 언론의 정치편향 성격에 관한 연구 19대 대선 보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88권, 110-145.
    · 김영욱 (2011, 5월). <한국 언론의 정파성과 사회적 소통의 위기>.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 김태웅 (2018, 6, 22). 온라인을 낚시터로 만드는 ‘클릭 베이트’, 언론의 자유냐? 책임이냐? [지식용어]. <시선뉴스>. URL: https://www.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4838
    · 김학희 (2011). <취재보도 과정의 윤리에 관한 투명성 고찰>.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현아 (2020, 8, 21). 네이버, 스포츠·연예 매체도 전재료 폐지, 광고수익 배분. <이데일리>. URL: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16&mediaCodeNo=257&OutLnkChk=Y
    · 남재일 (2006) 1987년 민주화 이후 취재관행에 나타난 정권-언론 관계 변화 : 청와대 출입기자의 경우. <한국언론학회>, 50권 4호, 95-124.
    · 남재일 (2021) 언론과 의견은 함께할 수 없나 ‘허술한 객관주의’보다 ‘진실 추구하는 의견’이 백배 낫다. <신문과방송>, 604권, 8-13.
    · 류석우·김양진 (2023, 3, 14). 출입처, 패거리 저널리즘의 출처. <한겨레21>. URL: https://h21.hani.co.kr/arti/society/society/53491.html
    · 박나리 (2020). 신문 헤드라인의 언어적 특성. <어문론집>, 81권, 7-41.
    · 박서연 (2022, 11, 30). 유료독자 5000명 모은 중앙일보에 자극? 콘텐츠 유료화 발걸음 빨라진다. <미디어오늘>. URL: https://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7190
    · 박영흠 (2024) 한국 언론 정파성의 기원과 형성 : 신문의 적대적 정파성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32권 2호, 165-212.
    · 박재영·허만섭·안수찬 (2020). <언론사 출입처 제도와 취재 관행 연구> (한국언론진흥재단 지정 2020-02).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 박재영 (2023). 출입처에서 사실은 얻을 수 있지만, 진실은 구할 수 없다. <신문과방송>, 629권, 87-89.
    · 배정근 (2023). 혼돈과 분열의 시대독립적 언론의 가치. <신문과방송>, 645권, 73-75.
    · 손가영 (2020, 11, 18). 외신 기자가 보는 한국 출입처 기자는 “주둔자, 세입자”. <미디어오늘>. URL: https://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0408
    · 안정임·김양은·박상호·임성원 (2009). <미디어 교육 효과측정 모델: 미디어 리터러시 지수 개발>. 서울: 한국언론재단.
    · 오현경 (2022). 언론 신뢰도의 개념적 고찰. <언론과 사회>, 30권 1호, 99-132.
    · 윤수현 (2020, 11, 18) 뉴스 사막과 홍수를 만들어내는 언론 출입처 관행. <미디어스>. URL: https://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8505
    · 이명진 (2024, 7, 5). [반론보도닷컴 포럼 현장] 어뷰징 기사, 전체 언론의 신뢰도 떨어뜨려... '한국형 낚시성 기사 탐지 모델' 필요하다. <반론보도닷컴>. URL: https://www.banronbodo.com/news/articleView.html?idxno=23043
    · 이봉현 (2024, 5, 16). 국민 절반 “정치성향 다르면 밥도 같이 먹기 싫어”. <한겨레>. URL: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140728.html
    · 이상덕 (2024, 3, 6) 구글, AI로 찍어낸 ‘자동화 콘텐츠’ 철퇴. <매일경제>. URL: https://www.mk.co.kr/news/it/10958170
    · 이선민 (2019, 5월). <클릭베이트가 뉴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정보학회 2019년 봄철 정기학술대회.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이신행·이주연 (2024). 소셜미디어 환경에서의 뉴스 정서화 : 언론의 트윗메시지와 기사 헤드라인, 리드에 대한 KoELECTRA 모델 기반 감성분석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20권 3호, 96-135.
    · 이정환 (2022, 7, 27). ‘기자실’에 갇힌 기자들을 풀어줘야 한다. <미디어오늘>. URL: https://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5138
    · 이진우 (2017, 6, 13). 출입처 너머에 목소리가 필요한 사람들이 있다. <한국기자협회>. URL: https://journalist.or.kr/news/article.html?no=41915
    · 이현우·박영흠·김선호 (2024). 디지털뉴스 리포트 2024 한국. URL: https://www.kpf.or.kr/front/research/selfDetail.do?seq=598278&link_g_homepage=F
    · 임재섭 (2016, 7, 3). 노무현, 최악 언론탄압…2003년 그날 '저주의 굿판'. <뉴데일리>. URL: https://www.newdaily.co.kr/site/data/html/2016/07/03/2016070300025.html
    · 장레이·고흥석 (2024). 소셜미디어 이용과 비판적 사고에 관한 연구: 미디어 의존 이론과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4권 10호, 310-320.
    · 조항제 (2021). <한국 언론의 공정성>. 서울: 컬처룩.
    · 최용석 (2017, 12, 13). 클릭을 부르는 키워드 3위 ‘충격’, 2위 ‘단독’, 압도적 1위는?. <동아일보>. URL: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171213/87712381/2
    · 최종범 (2013). <한국 신문의 헤드라인 유형 및 표현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한국언론진흥재단 (2010). 2010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조사분석 2010-03). URL: https://www.kpf.or.kr/front/research/consumerDetail.do?miv_pageNo=3&miv_pageSize=&total_cnt=&LISTOP=&mode=W&seq=527607&link_g_topmenu_id=&link_g_submenu_id=&link_g_homepage=F&reg_stadt=&reg_enddt=&searchkey=all1&searchtxt=
    · 한국언론진흥재단 (2023). 2023 언론수용자 조사 (조사분석 2023-01). URL: https://www.kpf.or.kr/front/research/consumerDetail.do?miv_pageNo=&miv_pageSize=&total_cnt=&LISTOP=&mode=W&seq=595996&link_g_topmenu_id=&link_g_submenu_id=&link_g_homepage=F&reg_stadt=&reg_enddt=&searchkey=all1&searchtxt=
    · 한선 (2023, 2, 22). 투명성 높이는 ‘보도 설명박스’ 실험 [한선의 미디어전망대]. <한겨레>. URL: https://www.hani.co.kr/arti/society/media/1080681.html
    · 허만섭·박재영 (2022) 국내 언론의 출입처 의존과 뉴스의 심층성 문제: <한겨레>와 <뉴욕타임스> 교육기사 비교. <한국소통학보>, 21권 1호, 57-92.
    · Artero, J. P. (2015). “Political parallelism and media coalitions in Western Europe.” Available: https://reutersinstitute.politics.ox.ac.uk/sites/default/files/Political%20Parallelism%20and%20Media%20Coalitions_0.pdf
    · Clickbait (2016). Oxford English Dictionary. Retrieved from https://www.oed.com/dictionary/clickbait_n?tab=factsheet#1189163040
    · Hallin, D., & Mancini, P. (2004). Comparing media systems.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
    · Hanitzsch, T., van Dalen, A., & Steindl, N. (2018). Caught in the nexus: A comparative and longitudinal analysis of public trust in the pres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Politics, 23(1), 3∼23.
    · Mancini, P. (2012). “Instrumentalization of the media vs. political parallelism,” Chinese Journal of Communication, 5(3), pp.262~280.
    · van Kempen, H. (2007). “Media-party parallelism and its effects: A cross-national comparative study,” Political Communication, 24, pp.303~320.
  • 자료후기

      Ai 리뷰
      한국 언론의 주요 문제점과 이에 대한 실질적인 대응방안을 체계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특히 클릭 베이트, 출입처 관행, 극단적 정파성 등 오랜 기간 지속된 문제에 대해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안하고 있어 주목할 만하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