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
GOLD 등급의 판매자 자료

정부와 집단지성_학술에세이

"정부와 집단지성_학술에세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5.03.30 최종저작일 2021.04
8P 미리보기
정부와 집단지성_학술에세이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정부와 집단지성_학술에세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전문가 집단을 압도하는 집단 지성
    2. 집단지성의 일정 조건
    3. 21세기의 집단지성
    4.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노력은
    5. 미국의 challenge.gov
    6. Challenge.gov와 ‘도전.한국’
    7. 앞으로의 도전.한국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2020년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키워드는 코로나 19일 것이다. 이 바이러스가 속히 ‘우한 폐렴’이라고 불리우던 2월 경부터 지금 현재 6월까지 코로나 19 바이러스는 우리나라 뉴스 1면에 나오는 중요 이슈이자 전국민의 생활 방식을 바꿔 놓은 주범이다. 이러한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나름 효과적인 대응에는 정부와 전문가들의 효율적인 대처가 있었다. CNN 뉴스에서 ‘이러한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위기에서 한국의 대통령은 전문가의 말을 잘 받아들여 공격적으로 대응함으로써 빠져 나왔다.’라고 소개할 정도이다.
    하지만 이번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대응에는 정부와 전문가 외에도 일반 국민들의 기여가 매우 컸다. 가장 대표적인 예시로는 많이들 알고 있는 마스크 부족 현상에 대한 경북 문경의 현직 약사의 아이디어가 있다. 약국에 있는 DUR, 한 약국에서 약을 조제 받으면 다른 약국에서도 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을 이용하여 주민등록번호의 생일을 이용한 마스크 5부제를 도입해 사재기를 방지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전문가와 정부 기관도 생각하지 못한 묘안들을 국민의 집단지성으로부터 얻기 위해 서울시를 비롯한 다양한 기관에서 공모전을 개최하고 있다. 다양한 기관 중에는 뒤에서 중요하게 다뤄볼 대한민국 정부도 있다. 인지도는 낮지만 광화문 1번가 홈페이지를 통해 대한민국 정부는 코로나 19의 대응을 위한 국민의 아이디어를 모으고 있다. 여기서 의문이 생긴다. 나름 꼼꼼한 평가를 통해 뽑은 전문가들로 구성된 정부의 다양한 기관에서는 왜 아이디어를 공모전을 통해 모으려는 것일까? 비전문가의 의견을 모으려는 정부의 노력은 무의미하지 않을까?

    참고자료

    · 박동숙 외 지음, 한국방송학회 방송과수용자연구회 엮음, 『소셜 미디어 연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 제임스 서로위키 지음, 홍대운 외 역, 『대중의 지혜, 시장과 사회를 움직이는 힘』, 랜덤하우스코리아, 2005
    · 피에르 레비 지음, 권수경 역, 『집단지성: 사이버 공간의 인류학을 위하여』, 문학과 지성사, 2002
    · 박근수, 「지방자치단체의 비인지형 집단지성 사례 연구: 소셜미디어(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와 CNS운영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 16권 제1호 pp97~123, 2013서지원, 「함께사는 법과 집단지성의 힘」,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지방행정』 67권 779호 pp 44-45, 2018
    · 양미경, 「집단지성의 특성 및 기제와교육적 시사점의 탐색」, 『열린교육연구』 제18집 제4호 p13, 2010
    · 최항섭, 「레비의 집단지성: 대중지성을 넘어 전문가지성의 가능성 모색」, 2009
    · Lucia Orlando and Rebacca Hyde, 「Challenge.gov: Solving Problems Together」, 『Dttp, Documents to the People』, 2014
    · Lu Hong and Scott E.Page, 「Groups of diverse problem solvers can outperform groups of high-ability problem solvers」, PNAS, 2004
    · The White House Office of the Press Secretary, 「FACT SHEET: Administration Celebrates Five-Year Anniversary of Challenge.gov with Launch of More than 20 New Public- and Private-Sector Prizes」, the WHITE HOUSE PRESIDENT BARACK OBAMA, 2015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미국, ‘Challenge.gov’사이트 개설 5주년 기념 성과 소개」, 과학기술전략 57호, 2015https://now.k2base.re.kr/portal/trend/mainTrend/view.do?poliTrndId=TRND0000000000028279&menuNo=200004&searchSubj=01&pageIndex=30
    · 광화문 1번가, 국민 집단지성 사회문제 해결사업 도전.한국, 2020https://www.gwanghwamoon1st.go.kr/front/intropage/intropageShow.do?page_id=498f0c53b675468992bd0ba5dcaadaf0
    · 대한민국 청와대 http://www.president.go.kr/
    · 마스크 판매에 대한 제안, 청와대 국민청원, 2020 https://www1.president.go.kr/petitions/586034
    · 정부 24, 공모전 https://www.gov.kr/portal/cnstexhb?Mcode=11184
    · Dr. Terence Kealey, 「South Korea listened to the experts」, CNN, 2020https://edition.cnn.com/2020/04/07/opinions/terence-kealey-south-korea-listened-to-the-experts/index.html
    · KOSIS, 「청년사회・경제실태조사:정치문제 관심 정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년사회·경제실태조사」, 2019
    · Lior Zoref, 「Mindsharing, the art of crowdsourcing everything」, TED Talks, 2012https://www.youtube.com/watch?v=din2UVvRnGU
  • AI와 토픽 톺아보기

  • 자료후기

      Ai 리뷰
      정부의 집단지성 활용 노력이 아직 부족해 보이지만, '도전.한국' 프로젝트와 미국의 Challenge.gov 사례를 통해 그 발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