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다윗 (2011). 연도별 청소년 성 및 에이즈 지식과 태도 추이 연구, 석사학위논문, 삼육대학교, 서울.
							
											· 김소영, 이진석, 박수경, 김용익 (2008). 일반인의 에이즈에 대한 지식 및 태도.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5(4), 13-28.
							
											· 김영미, 한종숙, 이옥철 (2014). 간호계와 비간호계 여대생의 에이즈와 만성 B형 간염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인식 비교. 대한보건연구 40(2), 31-40.
							
											· 김예순, 백형원, 남영희, 김선용, 김명 (2015). 보건학 전공 대학생의 장에인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8(2), 185-201.
							
											· 김혜성 (2015). 대학생의 에이즈 예방 인식 유형에 대한 연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31, 68-83.
							
											· 대한 에이즈 예방 협회 (2003). 에이즈에 대한 편견과 차별 해소 및 인권증진 방안.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50, 12-15.
							
											· 박종숙, 구정아 (2011). 간호학생의 HIV/AIDS에 대한 태도와 지식에 관한 연구.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46, 391-398.
							
											· 서경현, 양승애 (2012). 간호사의 강박신념, 경험회피, 에이즈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에이즈 공포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17(3), 731-746.
							
											· 성미혜 (2009). 의학계열 대학생의 에이즈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취약성 인지정도. 기본간호학회지, 15(2), 221-228.
							
											· 손애리 (2009). 서울시 고등학생의 에이즈에 대한 낙관적 편견. 보건과 사회과학 25, 57-78.
							
											· 손애리 (2013). 고등학생의 에이즈 지식, 낙인 및 감염인 차별: 에이즈 공익광고 노출여부를 중심으로. 보건과 사회과학, 34, 211-235.
							
											· 손정태 (1999). 간호사의 AIDS에 대한 지식과 태도. 기본간호학회지, 6(3), 544-558.
							
											· 양영란 (2015). 국내성인의 에이즈 지식과 태도의 유형과 관련요인. 대한보건연구 41(4), 51~62.
							
											· 오현정, 전의성, 이병관 (2016). 텔레비전을 통한 에이즈 정보 습득이 에이즈 및 감염인 관련 지식, 태도,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에 따른 차이 및 에이즈 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미디어 경제와 문화, 14(4), 55-101.
							
											· 윤미정(2006). HIV/AIDS에 대한 낙인이 예방, 치료, 감염인과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서울.
							
											· 이미라 (2011).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들의 AIDS에 대한 지식,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11(2), 213-222.
							
											· 이영선 (2016). 사회복지학 및 간호학 전공 대학생의 에이즈 감염인의 대한 인식, 지식, 편견 및 사회적 거리감. 한국산학기술학과눈문지, 17(10), 338-344.
							
											· 이영선, 송명섭, 박은미 (2017). 에이즈[AIDS]에 대한 대학생의 주관적 태도. 주관성 연구, 38, 145-163.
							
											· 이윤재(2007). 언론의 HIV/AIDS에 대한 보도경향분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서울.
							
											· 이종경 (2010). 에이즈교육이 대학생의 에이즈에 대한 지식, 편견, 민감성, 심각성, 안전한 성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4(2), 258-269.
							
											· 이종남 (1994). 장애인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심여자대학교, 서울.
							
											· 이지혜 (2014). HIV 감염인 상담간호사의 에이즈 관련 인식 변화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 이춘신(2002). 대학생의 AIDS에 대한 지식과 태도, 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김해.
							
											· 정명실 (1997). 지체장애인의 장애인식에 대한 주관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서울.
							
											· 한종숙, 조희, 김영미, 김옥현 (2012). 간호사의 에이즈와 만성 B형 간염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간호의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1(3), 201-208.
							
											· 한안나, 최순희 (2014). 종합병원 간호사의 AIDS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적 감염관리 행위. 한국학교, 지역보건교육학회지, 15(2), 1-12.
							
											· Brown, Y., Calder, B., & Rae, D. (1990). The effect of knowledge on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individuals with AIDS. Jourmal of Nursing Education, 29(8), 367-439.
							
											· Christina, O., & Konstantinos, N. (2012). HIV/AIDS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urs of student nurses. HEALTH SCIENCE JOURNAL, 6(1), 129-150.
							
											· Choi, E. J., Kim, W. S., Jung, S. B., Whang, I. S., & Yang, J. N. (2009).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HIV/AIDS among Health Care Officers in S. Korea. Korea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5), 41-55.
							
											· Jun, M. K. (1998). AIDS-related knowledge, attitudes and AIDS-education needs of male workers in Seoul and Kyungki areas. J Korean Soc Heal Edu Promotion, 16(2), 1-17.
							
											· Lee, G. H, B. H. Chang, D. M & Shin, E. C (2006). Developing National Strategy on Preventing HIV/AIDS.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Yiu, J. W.,  Mak, Winnie. W. S.,  Ho, Winnie. S., &  Chui, Y. Y. (2010). Effectiveness of a knowledge-contact program in improving nursing students' attitudes and emotional competence in serving people living with HIV/AIDS. Citation data: Social science & medicine, 71(1), 38-44.